[편집자주]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 보험사들의 올해 3분기 성적표가 공개됐다. 보험사들은 아시아와 유럽, 북미 각국에서 공격적인 투자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한화생명, 삼성화재, 코리안리 등 3개 주요 보험사의 해외사업 실적과 전망을 총 3회에 걸쳐 살펴본다. [FETV=장기영 기자] 재보험사 코리안리의 유럽지역 수재 거점인 스위스법인 영업이익이 3배 이상 급증했다. 글로벌 일류 재보험사 도약을 목표로 내건 코리안리는 세계 10위 규모의 인도 보험시장에 추가로 진출하며 보폭을 넓히고 있다. 21일 코리안리에 따르면 홍콩법인, 영국법인, 스위스법인, 미국법인 등 4개 해외법인의 올해 1~3분기(1~9월) 영업이익은 171억원으로 전년 동기 102억원에 비해 69억원(67.2%)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 59억원을 3배 가까이 웃도는 금액이다. 당기순이익은 83억원에서 132억원으로 49억원(59.2%) 늘었다. 코리안리의 해외법인 성장세를 주도한 것은 유럽지역 수재 거점인 스위스법인이다. 스위스법인의 영업이익은 34억원에서 111억원으로 77억원(222.2%), 당기순이익은 31억원에서 89억원으로 58억원(183.5%) 급증했다. 코리안리
[FETV=장기영 기자] 한화그룹 보험계열사인 한화생명과 한화손해보험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나란히 통합등급 ‘A’ 등급을 획득했다. 한화생명과 한화손보는 한국ESG기준원(KCGS)이 실시한 ‘2025년 ESG 평가’에서 각각 통합등급 ‘A’ 등급을 획득했다고 20일 밝혔다. 이에 따라 한화생명은 2020년 이후 6년 연속, 한화손보는 2021년 이후 5년 연속 통합등급 ‘A’ 등급을 유지했다. 통합등급 ‘A’ 등급은 전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ESG 경영을 실천한 기업에 부여하는 등급이다. 한화생명의 경우 분야별로 환경(E) ‘A+’, 사회(S) ‘A’, 지배구조(G) ‘B+’ 등급을 획득했다. 앞서 한화생명은 2021년 한화손보를 비롯한 한화그룹 금융계열사와 공동으로 ‘탈석탄 금융’을 선언했다. 2022년에는 오는 2030년까지 지속 가능한 내일을 그린다는 의미의 ‘그린라이프(Green Life) 2030’을 ESG 경영 슬로건으로 정했다. 이후 친환경·친사회적 투자 비중 2배 이상 확대하고, 탄소 배출량을 40% 이상 감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한화손보 역시 환경 분야에서 ‘A+’ 등급을 받았다. 이는 에너지 사용량 개선, 환경 관련
[편집자주]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 보험사들의 올해 3분기 성적표가 공개됐다. 보험사들은 아시아와 유럽, 북미 각국에서 공격적인 투자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한화생명, 삼성화재, 코리안리 등 3개 주요 보험사의 해외사업 실적과 전망을 총 3회에 걸쳐 살펴본다. [FETV=장기영 기자] 삼성화재의 아시아지역 거점인 싱가포르 재보험법인 삼성리의 순이익이 3배 이상 급증했다. 북미·유럽지역 거점인 영국 로이즈(Lloyd’s) 캐노피우스(Canopius)에 8000억원을 추가로 투자하며 ‘투트랙(Two-Track)’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거대 정보기술(IT) 기업 텐센트와 손잡은 중국 합작법인 역시 매출이 6배 이상 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20일 삼성화재에 따르면 삼성리의 올해 1~3분기(1~9월) 영업수익은 2654억원으로 전년 동기 2117억원에 비해 537억원(25.4%) 증가했다. 이 기간 당기순이익은 41억원에서 133억원으로 92억원(224.4%) 급증했다. 삼성리의 올해 연간 영업수익은 사상 처음 3000억원을 넘어서 사상 최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삼성화재는 아시아지역 거점인 삼성리와 북미·유럽지역 거점인 캐노피우스를 양대 축으로 해외
[FETV=장기영 기자] 한화생명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6년 연속 통합등급 ‘A’ 등급을 획득했다. 한화생명은 한국ESG기준원(KCGS)이 실시한 ‘2025년 ESG 평가’에서 통합등급 ‘A’ 등급을 획득했다고 19일 공시했다. 이에 따라 한화생명은 지난 2020년 이후 6년 연속 ‘A’ 등급을 유지했다. 통합등급 ‘A’ 등급은 전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ESG 경영을 실천한 기업에 부여하는 등급이다. 올해 분야별 세부 등급은 환경(E) ‘A+’, 사회(S) ‘A’, 지배구조(G) ‘B+’다. 앞서 한화생명은 2021년 한화그룹 금융계열사 공동으로 ‘탈석탄 금융’을 선언했다. 2022년에는 오는 2030년까지 지속 가능한 내일을 그린다는 의미의 ‘그린라이프(Green Life) 2030’을 ESG 경영 슬로건으로 정했다. 이후 친환경·친사회적 투자 비중 2배 이상 확대하고, 탄소 배출량을 40% 이상 감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2023년에는 ESG 경영의 체계화, 고도화를 위해 ESG협의회를 신설하기도 했다.
[FETV=장기영 기자] 현대해상이 업계 최초로 퇴원 후 재택 간병이 필요한 경우에도 간병인을 지원하는 담보를 개발해 배타적 사용권을 획득했다. 현대해상은 손해보험협회 신상품심의위원회로부터 ‘마음을 더하는 케어간병인보험’의 재택 간병인 지원 담보, 프리미엄 간병 서비스에 대해 각 6개월 배타적 사용권을 획득했다고 19일 밝혔다. 배타적 사용권은 보험상품의 독창성, 유용성, 진보성 등을 평가해 부여하는 독점 판매 권한이다. 사용권 부여 기간 다른 보험사는 유사 상품을 판매할 수 없다. 케어간병인보험은 고령화로 늘어나는 간병 수요에 대응해 병원은 물론 가정에서도 간병인을 지원하는 상품으로, 출시 이후 한 달간 1만건 이상 판매되며 호응을 얻고 있다. 배타적 사용권을 획득한 재택 간병인 지원 담보는 퇴원 후 자택을 비롯한 의료기관 이외의 장소에서 재택 간병이 필요한 경우 간병인을 직접 지원한다. 프리미엄 간병 서비스는 전문 간병인 플랫폼을 통해 요양보호사 자격을 갖춘 간병인을 지원한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간병 일정을 관리하고 간병 보고서도 확인할 수 있다. 현대해상 관계자는 “퇴원 후 간병 공백 해소와 질 높은 간병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품을 개발했다”며
[FETV=장기영 기자] NH농협손해보험이 금융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비대면 금융사고 발생 시 신속 배상을 위한 협의체를 신설한다. 농협손보는 지난 18일 서울 서대문구 본사에서 ‘2025년 제2차 소비자권익보호위원회 회의’를 진행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비대면 금융사고 자율배상협의체’ 신설 방안이 논의됐다. 이 협의체는 비대면 금융사고 발생 시 신속한 피해 구제와 배상을 위한 협의체다. 이와 함께 사내 분쟁조정 절차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분쟁조정 심의위원회’를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소비자권익보호위 위원장인 송춘수 농협손보 대표이사는 “소비자의 신뢰를 얻기 위해 내부 제도와 시스템을 꾸준히 개선하고 있다”며 “소비자의 의견이 실제 업무 처리에 반영될 수 있도록 실질적 변화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편집자주]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 보험사들의 올해 3분기 성적표가 공개됐다. 보험사들은 아시아와 유럽, 북미 각국에서 공격적인 투자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한화생명, 삼성화재, 코리안리 등 3개 주요 보험사의 해외사업 실적과 전망을 총 3회에 걸쳐 살펴본다. [FETV=장기영 기자] 글로벌 종합금융그룹으로 도약하고 있는 한화생명의 인도네시아 생명보험사, 손해보험사, 은행 ‘삼각편대’가 올해 3분기까지 3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했다. 동남아시아 핵심 거점 베트남법인의 성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국내 보험사 최초로 인수한 미국 증권사도 글로벌 위상 강화에 힘을 보태고 있다. 19일 한화생명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생명보험법인, 리포(Lippo)손해보험, 노부은행(Nobu Bank) 등 3개 현지 법인의 올해 1~3분기(1~9월) 영업수익은 총 3389억원이다. 이는 지난 2013년 생명보험법인 영업을 개시해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한 이후 거둬들인 최대 규모 매출이다. 2023년 3월 생명보험법인과 한화손해보험이 리포손보 지분 62.6%를 인수한 데 이어 올해 6월 노부은행 지분 40%를 인수해 종합금융그룹 체계를 갖추면서 현지 매출 규모가 크게 확대됐다
[FETV=장기영 기자] 종신보험 사망보험금을 생전에 연금으로 수령할 수 있는 사망보험금 유동화 신청 건수가 서비스 개시 8일만에 600건을 넘어섰다. 신청자들의 평균 연령은 65.6세였으며, 월 평균 수령액은 40만원 수준이었다. 18일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지난 10월 30일부터 11월 10일까지 8영업일간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 신한라이프, KB라이프 등 5개 생명보험사에 접수된 사망보험금 유동화 신청 건수는 605건이다.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는 종신보험의 사망 보장 기능은 유지하면서 사망보험금을 생전에 연금으로 전환해 수령할 수 있는 제도다. 금융당국은 고령화에 따른 노후 소득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제도를 도입했으며, 5개 주요 생보사가 1차로 서비스를 개시했다. 서비스 신청 대상은 계약 기간이 10년 이상 경과한 만 55세 이상의 금리확정형 종신보험 가입자다. 5개 생보사의 신청 대상 계약은 41만4000건, 가입금액은 23조1000억원이다. 이 기간 접수된 사망보험금 유동화 신청의 초년도 지급액은 총 28억9000만원이다. 1건당 평균 지급액은 477만원, 월 평균 지급액은 39만8000원이다. 평균 유동화 비율은 89.2%, 지급 기간
[편집자주] 보험사들의 올해 3분기 실적이 공개되면서 순위 경쟁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장기간 고착화된 기존 대형사 중심의 판도가 요동치면서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변화하는 생명·손해보험업계의 경쟁 구도를 총 2회에 걸쳐 살펴본다. [FETV=장기영 기자] 올해 사상 첫 연간 순이익 1위에 도전하는 메리츠화재는 3분기 삼성화재를 턱밑까지 추격했다. 두 회사의 순이익 격차는 121억원에 불과해 남은 4분기 실적에 따라 ‘초박빙’ 승부가 예상된다. 1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개별 재무제표 기준 메리츠화재의 올해 1~3분기(1~9월) 당기순이익은 1조4511억원으로 전년 동기 1조4928억원에 비해 417억원(2.8%) 감소했다. 보험이익은 1조4043억원에서 1조242억원으로 3801억원(27%) 줄었으나, 투자이익은 5998억원에서 9297억원으로 3299억원(55%) 늘었다. 이에 따라 메리츠화재는 삼성화재에 이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 2위에 올랐다. 같은 기간 삼성화재의 당기순이익은 1조8344억원에서 1조4632억원으로 3712억원(20.2%) 줄어 감소 폭이 더 컸다. 삼성화재의 경우 보험이익과 투자이익이 동반 감소했다. 보험이익은 1조5958억원에서 1
[편집자주] 보험사들의 올해 3분기 실적이 공개되면서 순위 경쟁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장기간 고착화된 기존 대형사 중심의 판도가 요동치면서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변화하는 생명·손해보험업계의 경쟁 구도를 총 2회에 걸쳐 살펴본다. [FETV=장기영 기자] 생명보험업계 ‘톱(Top)2’를 노리는 은행계 중형사 신한라이프는 기존 3대 대형사 중심의 경쟁 구도를 흔들며 목표 달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순이익은 한화생명과 2000억원 이상 격차를 벌리며 역전에 성공했고, 보험계약마진(CSM)은 교보생명을 1조원 이상 앞서나가고 있다. 1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개별 재무제표 기준 신한라이프의 올해 1~3분기(1~9월) 당기순이익은 5193억원으로 전년 동기 4856억원에 비해 337억원(6.9%) 증가했다. 이 기간 보험이익은 5981억원에서 5794억원으로 187억원(3.1%) 줄었으나, 투자이익은 680억원에서 1243억원으로 563억원(82.8%) 늘었다. 신한라이프 관계자는 “주식시장 호조에 따른 유가증권, 변액보험 관련 금융이익 증가로 당기순이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신한라이프는 독보적인 은행계 생보사 1위 위상을 재확인한 데 이어 3대 대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