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조성호 기자] 한국거래소가 코스피200 지수 내 삼성전자 시가총액비중과 관련 ‘30% 상한제(CAP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2일 거래소 인덱스사업부는 오는 22일까지 코스피200지수 및 KRX300 지수 산출과 관련 시총 비중 상한제도 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 수렴에 나선다고 밝혔다. 거래소 제도 개선방안에는 국내 자본시장의 펀드 운용 관련 규제 완화 등 환경 변화를 고려해 국내용 지수는 상한제도를 적용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거래소가 상한제 적용을 철회하는 데는 전날 시행된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이 영향을 미쳤다. 개정안에는 코스피200 등 대표적인 시장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의 경우 동일 종목 편입 상한을 현행 30%에서 해당 종목이 지수에서 차지하늡 비중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다만 거래소는 해외용 지수의 경우 국가별 규제요건에 부합하는 코스피200 상한제도 지수를 병행해 산출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지난해 6월 도입된 시총비중 30% 상한제는 시장이 특정 종목에 과도하게 쏠리는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코스피200 등 주요 주가지수에서 1개 종목의 시총 비중이 30%를 넘으면 비중을 강제로 하향 조정하는
[FETV=조성호 기자] 하나금융투자는 국내 대표 기술주와 고배당 우량 금융주 등에 주로 투자하는 ‘하나 고배당금융테크랩’을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하나 고배당금융테크랩’은 삼성전자와 3대 금융지주사의 주식 또는 이를 포함하고 있는 상장지수펀드(ETF)가 주요 투자 대상이다. 주요 운용전략은 주가순자산비율(PBR) 지표를 활용해 투자하는 것으로 삼성전자는 PBR 구간을 설정해 투자 시점을 포착 및 비중 조절을 한다. 금융주들은 코스피의 PBR이 특정 수준 이하면 일정 기간 동안 분할 매수해 장기 투자한다. 권창진 하나금융투자 랩운용실장은 “밸류에이션과 배당의 매력이 높아진 삼성전자와 금융주를 토대로 성장성과 안정성을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상품”이라고 설명했다. ‘하나 고배당금융테크랩’은 선취형과 적립식형으로 나뉜다. 선취형의 최저 가입 한도는 1000만원이며 500만원이 넘는 한도에서 추가로 입출금할 수 있다. 적립식형은 최저 가입 한도가 30만원이며 30만원이 넘는 한도에서 추가로 입출금이 가능하다. 단 최저가입금액 상회하는 선에서만 일부 출금이 가능하다. 계약기간은 최초 1년이며, 연단위로 자동 연장된다.
[FETV=조성호 기자]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 예대율(예수금 대비 대출금) 등 금융규제에 대해 업계 의견 및 해외 감독당국 대응사례 등을 바탕으로 한시적 완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2일 밝혔다. 윤 원장은 이날 오전 임원 및 주요 부서장이 참석한 위기대응 총괄회의를 개최하고 코로나19 관련 금융지원대책 관련 현장 방문 및 금융규제 개선 등과 관련해 이 같이 말했다. 윤 원장은 또 “전날(1일)부터 시행하고 있는 정부의 금융지원대책이 신속하고 원활히 이행될 수 있도록 금융현장을 직접 방문해 금융회사 직원이 업무 과정에서 느꼈던 건의사항과 자영업자‧중소기업 등 금융소비자의 애로사항을 청취해 정책 수립에 적극 반영해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일부에서 금감원 제재에 대한 불안감을 갖고 있어 코로나19 피해기업 등에 대한 지원을 위한 여신에 대해서는 검사도, 제재도 없음을 명확히 알려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한 “유럽중앙은행(ECB) 및 영국 건전성감동청 등은 코로나19발(發)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은행에 배당금 지급, 자사주 매입 및 성과급 지급 중단을 권고하고 글로벌 은행들이 동참하고 있다”면서 “국내 금융회사들도 해외사례를 참고
[FETV=조성호 기자] 코스피가 2일 개인과 기관 매수세에 힘입어 1700선을 회복했다. 이날 오후 2시 27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보다 14.34포인트(0.84%) 오른 1699.80을 가리켰다. 지수는 전일 대비 8.07포인트(0.48%) 오른 1693.53에 출발했지만 이내 하락 전환하며 혼조세가 이어졌다. 하지만 오전 11시를 기점으로 반등에 성공하며 장중 1710선까지 회복하기도 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간밤 미국 뉴욕증시의 4% 급락 소식에 혼조세를 보였다. 하지만 뉴욕증시 지수 선물이 상승하고 있는게 국내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은 3406억원, 기관은 1229억원 각각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반면 외국인은 홀로 4458억원어치 팔아치우면서 21거래일 연속 순매도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전일 대비 4.74포인트(0.85%) 오른 556.58을 나타냈다. 지수는 전장 대비 3.56포인트(0.65%) 오른 555.40으로 출발해 하락 구간을 오갔지만 반등에 성공하며 상승폭을 확대하고 있다. 코스닥시장에서 개인과 기관은 각각 385억원, 625억원 순매수했으며
[FETV=조성호 기자] 한국투자증권은 리츠펀드 신규가입 고객을 대상으로 상품권 증정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오는 6월말까지 한국투자증권 영업점 계좌를 통해 지정된 5개 운용사의 13개 공모형 리츠펀드를 신규매수한 고객에게 최대 5만원 상품권을 지급한다. 분리과세 적용 시행일자인 지난달 23일 이후 가입자부터 이벤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리츠‧부동산 펀드 분리과세 신청도 각 영업점에서 진행 중이다. 정부의 '공모형 부동산간접투자 활성화 방안'에 따라 내년 말까지 리츠‧부동산 공모펀드에 가입해 3년 이상 투자해 발생한 배당소득은 금융종합소득세 대상에서 제외되며 세율도 15.4%(지방소득세 포함)가 아닌 9.9%로 과세된다. 이준재 한국투자증권 투자상품본부장은 “리츠‧부동산펀드는 국내외 유망 부동산에 분산투자해 안정적인 배당수익을 올리면서 분리과세 신청시 절세효과도 누릴 수 있는 상품”이라고 설명했다.
[FETV=조성호 기자]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는 30대 자산관리 방법 특집 ‘THE100리포트 62호’를 발간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호에는 △30대는 생애자산관리의 맥점(脈點) △30대를 위한 자산관리 원칙 SMART 하라 △파이어(FIRE)족을 꿈꾸는 미국의 30대 등의 내용을 담았다. THE100리포트는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에서 매월 발간하는 리서치자료로 행복한 100세시대를 위한 생애자산관리 및 100세시대 트렌드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한다. 이번호의 첫 번째 리포트인 ‘30대는 생애자산관리의 맥점(脈點)’에서는 다양한 통계자료를 통해 30대 가구경제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균형 잡힌 자산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두 번째 리포트 ‘30대를 위한 자산관리 원칙 SMART 하라’에서는 30대의 자산형성과 자산관리를 위한 5가지 원칙(Save 저축, Medium 중위험·중수익, Asset allocation 자산배분, Retire plan 3층연금, Tax saving 절세상품)을 제안했다. 마지막 리포트 ‘파이어(FIRE)족을 꿈꾸는 미국의 30대’에서는 40대 초반 조기 은퇴를 목표로 소득의 70% 이상을 저축하는 파이어족의 자산관
[FETV=조성호 기자] KB증권은 오는 5월말까지 국내‧해외주식 입고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지난 2월 실시한 ‘주식 타사대체 입고 이벤트’에 이어 추가로 실시하는 것으로 기존에 국내주식만 진행했던 것과 달리 국내주식과 해외주식을 분리해 각각 진행된다. 국내주식과 해외주식을 각각 입고해 두 이벤트에 모두 참여하는 고객에게는 최대 1130만원의 현금이 지급된다. 국내주식 입고 이벤트는 KB증권 비대면‧은행연계 개설 위탁계좌를 보유한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타 증권사에 보유한 국내 상장주식을 KB증권 계좌로 입고하면 최초 입고 후 5개월 동안 순 입고금액에 따라 매월 지원금을 지급하고 이벤트 기간 내 매매금액에 따라 지원금을 추가로 제공해 최대 1010만원의 현금을 받을 수 있다. 이벤트 참가 신청은 필수이며 ▲3000만원 이상 순 입고 ▲1000만원 이상 매매 ▲입고 후 5개월 동안 3000만원 이상 자산 유지 등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혜택이 제공된다. 다만 추가로 진행하는 이벤트인 만큼 기존 이벤트에 참여했던 고객은 참여대상에서 제외된다. 해외주식 입고 이벤트는 KB증권 모든 고객(법인제외)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타
[FETV=조성호 기자] 코로나19 여파로 지난 3월 펀드 순자산이 전월 보다 45조원 넘게 감소하며 월간 감소 규모로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3월말 현재(이하 월말 기준) 경영참여형 사모펀드(PEF)를 제외한 공모‧사모펀드의 순자산은 총 646조189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월(691조8539억원) 대비 45조6641억원 감소한 수치다. 이는 금투협이 관련 통계 작성하기 시작한 2004년 1월 이후 최대 규모다. 이전 월간 최대 감소액은 금융위기 발발 당시였던 2008년 9월 31조626억원이었다. 이에 따라 3월 펀드 순자산의 전월 대비 감소 비율은 6.60%로 2011년 12월(6.94%) 이후 8년 3개월만에 가장 높았다. 역대 최고 감소율은 2008년 9월의 9.57%다. 유형별로는 단기자금인 머니마켓펀드(MMF)에서 23조6929억원 빠져나가며 감소액이 가장 컸다. 주식형 펀드와 채권형 펀드도 각각 8조9806억원, 8조7396억원 감소했다. 반면 부동산형 펀드는 순자산이 오히려 전월 대비 6528억원 늘었다. 공모펀드는 순자산이 2월 271조7341억원에서 3월 232조6829억원으로 39조512억
[FETV=조성호 기자] 올해 1분기 코스피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하락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되면서 주가가 크게 떨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코스피지수는 20.16% 급락했다. 이는 2008년 4분기(-22.35%) 이후 분기 기준 최대 낙폭이다. 이 기간 코스피는 2190선에서 1750선까지 추락했다. 시가총액은 1475조9093억원에서 1179조7287억원으로 296조1806조 증발했다. 또한 코스피 관련 업종지수 82개 가운데 78개 지수가 하락했다. 이 기간 상승한 지수는 코로나19에 따른 실적 수혜가 기대되는 ▲KRX헬스케어(11.26%) ▲의약품(11.17%) ▲KRX건강(9.88%) ▲코스피200 헬스케어(3.44%) 등 제약·바이오 관련 지수 4개뿐이다. 특히 지난 3월 코스피는 역사상 유례없는 급락과 반등을 반복했다. 지난달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장중 지수가 8% 이상 급락하면서 모든 주식 거래를 중단하는 서킷브레이커가 두 차례 발동됐다. 또한 선물 가격 급등락에 따라 프로그램 매매 거래를 5분간 중단하는 사이드카도 여섯 차례나 발동됐다. 이에 지난
[FETV=조성호 기자] 코스피가 2일 장 초반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23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 보다 0.21포인트(0.01%) 내린 1685.25를 가리켰다. 지수는 전일 대비 8.07포인트(0.48%) 오른 1693.53에 출발했지만 이내 하락 전환했다. 간밤 미국 뉴욕증시가 모두 4% 넘게 급락하는 등 경기침체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뉴욕증시는 미국 내 코로나19 확진자가 20만명을 돌파했다는 소식에 급락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973.65포인트(4.44%) 하락한 2만943.51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푸어스(S&P)500지수는 114.09포인트(4.41%) 내린 2470.50에, 나스닥지수는 339.52(4.41%) 하락한7360.58에 거래를 마쳤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국 증시는 백악관의 부정적인 코로나19 인명 피해 전망, 경제 지표 부진에 의해 큰 폭으로 하락 마감했다”며 “국내 증시는 코로나19의 경제적 여파에 대한 우려감이 다시 불거지면서 위험자산 회피 심리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전장 대비 0.60포인트(0.11%) 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