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조성호 기자] 올해 1분기 코스피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하락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되면서 주가가 크게 떨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코스피지수는 20.16% 급락했다. 이는 2008년 4분기(-22.35%) 이후 분기 기준 최대 낙폭이다.
이 기간 코스피는 2190선에서 1750선까지 추락했다. 시가총액은 1475조9093억원에서 1179조7287억원으로 296조1806조 증발했다. 또한 코스피 관련 업종지수 82개 가운데 78개 지수가 하락했다.
이 기간 상승한 지수는 코로나19에 따른 실적 수혜가 기대되는 ▲KRX헬스케어(11.26%) ▲의약품(11.17%) ▲KRX건강(9.88%) ▲코스피200 헬스케어(3.44%) 등 제약·바이오 관련 지수 4개뿐이다.
특히 지난 3월 코스피는 역사상 유례없는 급락과 반등을 반복했다.
지난달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장중 지수가 8% 이상 급락하면서 모든 주식 거래를 중단하는 서킷브레이커가 두 차례 발동됐다. 또한 선물 가격 급등락에 따라 프로그램 매매 거래를 5분간 중단하는 사이드카도 여섯 차례나 발동됐다.
이에 지난 3월 코스피의 일중 지수 변동성 평균치는 4.27%로 집계됐다.
하지만 이 같은 변동성 장세에도 저가 매수를 노린 개인 투자자를 중심으로 거래가 급격히 늘면서 3월 국내 증시(코스피‧코스닥)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18조4923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편 코스닥지수는 올해 1분기 15.04% 하락했다. 이번 분기 하락률은 2008년 4분기(-17.83%) 이후 최고치다. 코스닥시장에서도 지수가 급등락을 반복하며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가 발동됐다.
특히 지난달 13일과 19일에는 증시 사상 처음으로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동시에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지난달 코스닥지수의 일중 변동성 평균은 5.55%로 역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0월(5.93%)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