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이건혁 기자] 하나자산운용(대표이사 김태우)은 7일 ‘1Q 미국나스닥100 ETF’ 순자산이 500억원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나스닥100 ETF는 애플, 구글, 엔비디아, 테슬라, 팔란티어 등 미국 테크 산업을 대표하는 기술주 중심 100개 기업으로 구성된 나스닥 100 지수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개인 및 연금투자자들의 활용도가 높은 미국 대표지수형 ETF로 평가 받는다. 개인투자자들은 상장 이후 1Q 미국나스닥100을 231억원 규모로 순매수하였으며, 이 외에도 은행(신탁, 퇴직), 보험, 기관투자자(기타법인) 등 다양한 투자주체에서 순매수가 이어졌다. 이러한 개인투자자들의 매수세는 가장 낮은 총보수(연간 0.0055%)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1Q 미국나스닥100 ETF는 총 보수가 연 0.0055%로 한국거래소를 포함하여 미국, 일본, 호주, 홍콩 등 주요 금융 선진 국가에 상장된 나스닥100 ETF 중 최저 보수다. 전 세계적으로 나스닥 100을 추종하는 ETF 중 순자산이 가장 큰 Invesco QQQ Trust ETF의 총 보수(연 0.2000%) 대비 100분의 3 미만 수준의 낮은 비용으로 무엇보다 연금 등 장기 투자에 적
[FETV=이건혁 기자] 연금 시즌을 맞아, 안전자산인 채권을 높은 비중으로 편입하여 개인연금 및 퇴직연금(DC, IRP) 계좌에서 100% 투자가 가능한 채권혼합형 ETF가 인기를 끌고 있다. 삼성자산운용은 KODEX 200미국채혼합 ETF가 순자산 4000억원을 돌파해 4358억원을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KODEX 200미국채혼합은 한국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코스피(KOSPI) 200과 미국 채권시장을 대표하는 미국 국채 10년물에 혼합 투자하는 ETF다. KODEX 200미국채혼합은 국내 상장된 채권혼합형 ETF 중에서는 유일하게 국내 주식과 해외 채권을 혼합하여 투자하는 ETF다. 코스피 200에 40%, 미국 국채 10년물에 60% 비중으로 투자한다. 이 ETF는 채권혼합형 ETF의 가장 큰 목적인 '자산배분을 통한 변동성 제어'를 목적으로 설계됐다. 코스피 200에 단독으로 투자했을 경우에 비해 미국 국채 10년물을 혼합해 운용했을 때 포트폴리오 변동성이 큰 폭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운용이 필요한 개인연금 및 퇴직연금 계좌에서 투자하기 적합한 상품이란 평가다. 여기에 코스피 200 투자를 통해 국내 증시의 상승세를 추종하면서 미국 국채 10
[FETV=이건혁 기자]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대표 오경석)는 대학생 대상 서포터즈 프로그램 ‘업투(UpTo)’ 4기 참가팀을 모집한다고 7일 밝혔다. 국가대표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는 미래세대 건강한 투자 문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디지털자산 분야의 차세대 리더를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러한 취지 아래 운영되는 ‘업투(UpTo)’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이 디지털자산 산업을 직접 경험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이번 업투 4기는 개인이 아닌 3~4명의 대학생으로 구성된 팀(총 10팀, 30여 명 내외)으로 참가 신청을 받는다. 소속 대학 상관없이 자유롭게 팀을 구성할 수 있다. 업투 4기는 ‘Team UP for the Next Block’을 슬로건 아래 ▲브랜드 콘텐츠 기획·제작 ▲캠퍼스 프로젝트 등 오프라인 행사 기획 및 실행 ▲업비트 주요 행사 참여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들은 오는 12월 말 발대식을 시작으로 2026년 3월까지 약 4개월 동안 활동한다. 참가자 전원에게는 월 20만원의 활동비가 지급되며, 우수 참가팀 및 개인에게는 총 1200만원 규모의 포상금과 업비트 인턴십
[FETV=이건혁 기자] 카카오페이증권이 증시 회복과 플랫폼 효과를 바탕으로 신규 고객 유입을 빠르게 늘리고 있다. 예탁자산·거래액·신규 계좌 수가 모두 큰 폭으로 늘면서 리테일 시장에서 존재감이 뚜렷해지고 있다는 평가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페이증권의 올해 3분기 예탁자산은 7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주식 관련 자산은 5조1000억원으로 전체의 69.9%를 차지한다. 세부 데이터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나머지 30.1%는 펀드와 일반 예탁금으로 이뤄져 있다. 전년 동기 대비 전체 예탁자산이 127% 늘어나는 동안 주식 관련 예탁자산은 191% 증가하며 성장을 이끌었다. 주식 거래 규모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올해 3분기 주식 거래액은 34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2조5000억원) 대비 173% 늘었다. 월평균 거래 고객 수 역시 33만명에서 103만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이에 따라 실적도 개선됐다. 카카오페이증권의 올해 3분기 매출은 588억원으로 전년 동기(256억원) 대비 130% 증가했다. 같은 기간 비용도 319억원에서 432억원으로 늘었지만 매출 증가 폭이 더 커 영업이익은 156억원을 기록했다. 카카오
[FETV=이건혁 기자] NH투자증권(대표이사 윤병운) 나무증권은 절세형 투자계좌인 중개형ISA(Individual Savings Accoun·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신규 고객을 대상으로 ‘나무랄 데 없는 중개형ISA 시즌4’ 이벤트를 오는 12월 31일까지 진행한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중개형ISA 계좌를 새로 개설하거나 자산을 순입금한 고객에게 최대 62만원 상당의 모바일 상품권 혜택을 지급하는 이벤트로 연말 절세 시즌을 맞아 투자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이벤트 기간 중 나무 중개형ISA를 당사 최초로 개설하고 10만원을 입금한 고객에게는 모바일 상품권 1만원을 지급하며, 추가로 100만원 이상 입금 시 1만원을 추가 지급한다. 또한 순입금 금액 구간에 따라 최대 60만원의 혜택을 제공하며, 타 증권사, 은행, 보험사 등에서 1천만원 이상 자산을 이전한 고객은 순입금 금액을 2배로 인정받는다. 중개형ISA는 증권사별 1계좌만 개설 가능하며, 주식 ,ETF, 채권, 펀드, ELS 등 다양한 상품을 한 계좌에서 운용할 수 있는 종합 절세 계좌다. 계좌 내 투자상품의 손익을 통산해 순이익에 대해서만 과세하므로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일정
[FETV=이건혁 기자] 미래에셋증권은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343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한 수준이다. 3분기 누적 기준으로 당기순이익은 1조79억원으로 집계됐다. 브로커리지(Brokerage)와 WM(자산관리) 부문 모두 분기 기준 최고 실적을 올렸다. 브로커리지 수수료수익은 2637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22% 증가했고 금융상품판매 수수료수익도 전 분기보다 21% 증가한 918억원으로 나타났다. 다만 IB 부문에서는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올해 3분기 별도 기준 미래에셋의 IB 수익은 624억원 수준에 머무르며 전 분기 대비 18% 감소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인주주선 수수료수익은 전 분기 대비 46% 줄어든 151억원, 자문 수수료 수익도 9% 감소한 116억원에 그쳤다. 해외법인 세전이익은 3분기 누적 2990억원으로 전체 세전이익(4472억원)의 23%를 차지해 역대 최고치를 보였다. 선진국에서의 트레이딩 중심 사업과 베트남·인도네이사·인도 등에서는 WM 비즈니스가 힘을 더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앞으로도 해외법인의 독립 거버너스 강화·리스크 관리 체계 고도화·IT 보안 강화 등을 통해 체계적인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