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조성호 기자] 금호그룹이 라임자산운용과 관련된 사모펀드를 통해 상장 계열사들의 자금을 아시아나항공에 지원한 것으로 드러나 상법 위반 논란에 일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의 주가도 이날 소폭 하락했다. 7일 금융투자업계와 항공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이 지난해 3월 발행한 850억원 규모의 무보증 사모 영구채 가운데 300억원을 사실상 금호그룹 계열사들이 출자한 것으로 확인됐다.상법은 상장사가 주요 주주나 그 특수관계인을 위한 대여나 증권 매입 등 신용공여를 금지하고 있다. 이에 아시아나항공 주가는 이날 전 거래일 대비 0.43% 내린 3505원에 장을 마쳤다. 상법 위반 논란이 불거지면서 2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보였던 주가는 하락 전환했다. 이날 종가는 올해 첫 개장일인 지난 1월 2일(5490원)과 비교하면 36.2% 감소한 수준이다. 지난해 11월 12월 HDC현대산업개발이 아시아나항공 우선 협상대상자에 선정된 당시 종가(6580원)와 비교하면 반토막 났다. 이에 HDC현대산업개발의 아시아나항공 인수에도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HDC현산은 계약 당시 아시아나항공 지분 30.77%를 주당 4700원, 총 3229억원에 인수하기로 했는데 코로나19
[FETV=조성호 기자] 코스피가 8일 기관과 외국인의 동반 매도세에 5거래일만에 하락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보다 16.46포인트(0.90%) 내린 1807.14에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7.85포인트(0.43%) 내린 1815.75에서 출발해 등락을 거듭하다 장 막판 하락폭이 커졌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개인이 4590억원 순매수했지만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2854억원, 1394억원 순매도하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외국인은 지난달 5일부터 25거래일 연속 ‘팔자’ 행진을 이어갔다. 간밤 미국 뉴욕증시는 코로나19 사망자 증가 영향으로 하락 마감하면서 국내 증시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산유국들의 원유 감산 합의 불확실성 등이 불거지면서 약보합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종이목재(3.6%), 통신(1.2%), 비금속광물(0.8%), 건설(0.6%) 등이 강세였고 증권(-2.4%), 운수창고(1.9%), 전기전자(-1.6%), 은행(-1.4%) 등은 약세를 보였다. 코스닥지수는 전일 대비 0.47포인트(0.08%) 오른 607.37에 마감했다. 지수는 전장보다 2.44포인트(0.40%) 내린 604.46으로 개장했지만 이내 상승 전환했다. 코스닥시
[FETV=조성호 기자]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금액은 8809억원, 적발인원은 9만2538명으로 모두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금융감독원은 2019년 보험사기 적발금액이 8809억원으로 전년(7982억원) 대비 10.4%(827억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적발 인원 또한 16.9% 늘어났다. 일평균 254명, 24억원의 보험사기가 적발된 셈이다. 1인당 평균 적발 금액은 950만원이었다. 보험사기 적발 건수의 82%가 평균 이하여서 비교적 소액의 보험사기가 많았다. 금감원은 상해·질병 또는 자동차사고 등의 피해를 과장하거나 사실을 왜곡해 보험금을 청구하는 생계형 보험사기가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보험사기 적발자를 직업별로 보면 회사원이 18.4%로 가장 많았으며 전업주부(10.8%), 무직‧일용직(9.5%), 학생(4.1%) 순으로 조사됐다. 보험설계사, 의료인, 자동차정비업자 등 관련 전문종사자의 비중은 4.2% 수준이었다. 연령별로는 40~50대 중년층의 적발비중이 46.7%로 가장 높았다. 특히 60대 이상의 고령층의 경우 2017년 14.3%에서 지난해 18.9%로 보험사기가 증가하는 추세였다. 30대는 17.5%로 소폭 감소했으며
[FETV=조성호 기자] 삼성증권이 8일 개인투자자(일명 동학개미)를 위해 시장의 다양한 전망과 투자 성향을 고려한 3가지 맞춤 투자 솔류션을 내놨다. 먼저 증시가 빠르게 회복되며 V자 반등하거나 일정 기간 횡보 후 회복하는 U자형 반등을 예상하는 투자자들은 삼성전자를 비롯한 우량주나 시장 전체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 등을 직접 매수하는 전략을 제시했다. 다만 주식 직접 투자의 경우 상승 시 이익만큼 하락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으로 불확실한 경제상황이 지속돼 주가가 횡보하는 L자형 추세를 보이거나 회복되더라도 장기간 더디게 회복하는 국면을 예상하는 투자자들에게는 우량주인 삼성전자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주가연계증권(ELS) 시리즈를 추천했다. 그 중 L자형 장세를 예측하는 투자자들을 위해서는 오는 14일까지 모집하는 ELS 24274회를 추천했다. 이 상품은 가입 후 3, 6, 9개월 시점에 돌아오는 조기상환 시점에 주가가 최초 기준가의 2% 이상만 상승하기만 하면 연 18.72%(세전)의 수익을 받을 수 있다. 만약 1년 후 만기시까지 조기상환되지 않을 경우는 만기시점에 상승했으면 상승분 만큼 이익이, 하락했으
[FETV=조성호 기자] 유안타증권은 개인 및 법인투자자 대상으로 안정적인 이자를 추구하는 달러 투자 상품인 ‘달러(USD) 환매조건부채권(RP)’을 출시했다고 8일 밝혔다. 달러 RP는 유안타증권이 보유하고 있는 채권을 고객이 달러로 매수하고 일정 기간 경과 후 매도해 달러로 원금 및 이자를 수령하는 단기금융상품이다. 유안타증권은 “이자수익률은 연 0.2%이나 달러가치 상승 시 환차익을 얻을 수 있으며 최소 투자금액이 1달러로 비교적 적은 금액으로도 투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승찬 유안타증권 채권·외환·상품(FICC)본부장은 “최근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제 위기 등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안전자산 선호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달러 자산은 개인의 금융 포트폴리오에서 빠질 수 없는 상품”이라며 “특히 달러 RP는 다른 달러상품에 투자하면서 유동적으로 운용하기에도 적합하다”고 말했다.
[FETV=조성호 기자] 신한금융투자는 올해 1분기 비대면 계좌 개설이 전년 동기 대비 3배 증가했다고 8일 밝혔다. 신한금융투자 빅데이터센터가 2020년 1분기 비대면 계좌 개설 고객을 분석한 결과 계좌 개설은 2019년 1분기 대비 3.2배 증가했다. 2020년 1월 대비 3월의 비대면 계좌 개설 건수 역시 3.5배 늘었다. 또한 이 기간 계좌를 개설한 고객의 연령대는 20대가 32%, 30대가 28%로 전체의 60%를 차지했으며 40대와 50대도 각각 비대면 계좌 개설 투자자의 22%, 11%의 비중을 보였다. 신한금융투자 측은 “코로나19로 인한 시장 변동성 확대에 개인 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었다는 점이 확인됐다”면서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2019년 1분기 대비 비대면 계좌개설이 3배가량 증가해 비대면 계좌 개설에 대한 관심은 연령 구분 없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계좌 개설 후 평균 매수 금액은 20대 1838만원, 40대 4090만원, 60대 고객의 경우 5365만원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채널로 계좌를 개설한 후 주식을 매수한 평균 매수금액은 2981만원이었다. 매수 금액을 구간별로 나누면 500만원 이하 매수한 고
[FETV=조성호 기자] 국제 신용평가회사 무디스가 국내 6개 증권사의 신용등급 하향조정 검토 소식에 해당 증권사들의 주가가 일제히 약세를 보이고 있다. 8일 오전 10시 53분 현재 한국금융지주는 전일 대비 2.23% 내린 4만595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각 미래에셋대우 역시 1.93% 하락한 5070원, NH투자증권도 2.02% 떨어진 8720원을 나타냈다. 삼성증권 역시 2.25% 하락한 2만8250원에 거래됐다. 이 같은 하락세는 무디스가 이들 증권사의 신용등급 하향을 검토한다는 소식이 전해진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앞서 무디스는 이날 KB증권(A3), 한국투자증권(Baa2), 미래에셋대우(Baa2), NH투자증권(Baa1), 삼성증권(Baa2), 신한금융투자(A3) 등 국내 6개 증권사를 신용등급 하향 조정 검토 대상에 올렸다고 밝혔다. 이번 무디스의 하향 검토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글로벌 및 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증권사들의 수익성, 자본 적정성, 자금 조달, 유동성을 압박할 것이라는 예상 때문이다. 무디스는 “이들 증권사는 파생결합증권 관련 거래, 단기금융업과 우발부채, 저금리 환경에서 리스크 선호 확대에 따른 해외자산과 부동산
[FETV=조성호 기자] 코스피가 8일 미국 증시 하락 영향으로 하락 출발했다. 이날 오전 9시 55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 보다 14.41포인트(0.80%) 내린 1809.31을 가리켰다. 지수는 전장보다 7.85포인트(0.43%) 내린 1815.75에 출발해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간밤 미국 뉴욕증시는 소폭 하락 마감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보다 0.12% 하락한 2만2653.86에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 또한 각각 -0.16%, -0.33% 떨어졌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 증시가 경제 재개 기대 속 한 때 3% 넘게 급등하기도 했으나 국제유가가 OPEC+ 협상에 대한 불안으로 급락하면서 결국 하락 마감했다”면서 “이는 한국증시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최근 상승에 따른 차익 매물 실현으로 미국 증시가 하락한 점은 부담”이라고 전망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개인이 1702억원 순매수했으며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1519억원, 226억원 순매도했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전일 대비 1.84포인트(0.30%) 내린 605.06을 나타냈다. 지수는 전장보다 2.44포인
[FETV=조성호 기자] 한국투자증권은 온라인 금융상품권 할인 이벤트를 추가로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달 30일 온라인 금융상품권을 업계 최초로 출시했다. 카카오톡 선물하기 메뉴에서 커피쿠폰처럼 쉽게 구매‧선물하고 받은 상품권으로 주식‧펀드‧발행어음 등에 투자할 수 있는 온라인 상품권 서비스다. 한국투자증권은 오는 30일까지 할인 이벤트를 추가로 진행한다. 금융상품권 구매 고객 선착순 2만명에게 상품권 5%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또한 16일부터 30일까지 상품권 등록 고객을 대상으로 연 10% 금리의 특판 발행어음(91일물)가입 이벤트도 진행할 예정이다.
[FETV=조성호 기자] 코스피가 7일 미국 뉴욕증시의 급등과 삼성전자 깜짝 실적에 힘입어 1820선을 회복하며 상승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보다 31.72포인트(1.77%) 오른 1823.60에 마감하며 4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코스피 지수가 종가기준 1820선을 넘어선 것은 지난달 12일(1834.33) 이후 18거래일 만이다. 지수는 전일 대비 34.84포인트(1.94%) 오른 1826.72에 개장해 장중 1838.97까지 오르는 등 강세가 이어졌다. 다만 장 막판 차익실현이 나오며 상승폭이 일부 제한됐다. 간밤 미국 뉴욕증시는 코로나19 확산 둔화에 대한 기대감이 나오며 3대 지수 모두 7% 넘게 상승 마감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7.73% 오르며 지난달 24일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 역시 각각 7.03%, 7.33% 급등했다. 코스피 대장주인 삼성전자는 이날 연결기준 1분기 매출 55조원, 영업이익 6조4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매출은 전 분기(59조8848억원) 보다 8.1% 감소했지만 지난해 동기(52조3855억원) 대비 4.9% 늘었다. 영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