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는 의과대학 증원에 대해 “2000명 증원은 최소한의 확충 규모”라고 한데 반해 전국 의대 학장들은 “350명 증원이 적절하다”고 해서 서로 물러서질 않을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2000명 증원’의 근거로 고령화율(65세 이상 비율)을 지적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발표에 따르면 2024년 1월말 기준 고령화율은 19%를 넘어 섰다. 이는 65세 이상의 고령인구가 전년보다도 5% 이상 증가했고,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2025년 65세 이상 인구는 20% 이상을 차지하고, 2030년에는 25%, 2035년이면 30%를 넘어설 전망이다.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고령자가 현재 900만 명대에서 10년 후에는 1530만 명대까지 늘어나 입원일수는 45%, 외래일수는 13% 증가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 서울대 등 연구기관의 연구 보고서에서는 2035년 의사 수가 약 1만 명 부족할 것이며, 의료 취약지의 필요한 의사 수 5000명을 더해 총 1만5000명 부족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이에 정부는 의사 1만 명을 확보하기 위해 올해부터 의대 정원을 2000명씩 늘려나가는 5개년 계획의 방침을 정하고 있다.
홍보대행사를 창업해 운영한지 15년이 됐다. 홍보대행사가 하는 일을 단순하게 표현하면 홍보를 필요로 하는 고객사와 미디어를 연결해 주는 일이다. 고객사를 대신해 세상에 알리고 싶은 정보와 홍보거리를 미디어에 전달하기도 하고 역으로 미디어가 찾는 취재거리를 고객사에게 알려주고 홍보기회를 만들어낸다. 창업 전 기간까지 포함하면 꽤 오랜 시간 홍보 업무를 하다 보니 ‘이렇게 오프라인 상에서 하던 일을 온라인으로 옮겨서 할 수는 없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 그렇게 되면 홍보비가 부담스러운 개인이 비용 부담 없이 자신의 이야기를 세상에 알릴 홍보기회를 얻을 수 있게 되고 나날이 치열한 콘텐츠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디어도 보다 다양한 취재풀(pool)을 확보하게 될 수 있을 터이니 말이다. 이런 생각에 기초해 지난해 자신의 '꺼리(거리)'를 홍보하고 싶은 사람들과 다양한 '취재거리'를 찾는 미디어가 직접 만나는 플랫폼을 론칭하게 됐다. 그런데 플랫폼을 론칭하고 운영하다 보니 예상치 못한 문제에 봉착하게 됐다. 홍보가 필요하다며 플랫폼에 가입한 사람들이 본인의 얼굴과 스토리를 플랫폼에 공개하지 않는 것이었다. 회원들에게 그 이유를 물으니, '자신을 공개하는 것이
'초고령사회'란 만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 5명중 1명이 65세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우리나라도 고령층 인구 비중이 높아지면서 오는 2025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해 12월 31일 기준 주민등록 인구는 5132만 5329명이며 이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전년보다도 5.0% 증가한 973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8.96%를 차지했다. 행안부는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2025년에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3593만 1057명으로 전년보다 0.96%(35만 97명), 핵심 생산가능인구(25~49세)는 1790만 728명으로 1.45%(26만 3240명) 줄어들었다. 초고령사회가 앞으로 1년여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기업의 대응도 더욱 시간을 다투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인구구조 악화는 새로운 이슈로 보기 어렵지만 그 속도가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 독일 등에 비해 빨라지고 있다는 점에서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기업들의 과제에 대한 사전적 대응이 필요한 것이다.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기업의 대응책은 어떤 것이 있을 수 있을까. 첫째, 기업은 고령층을 대상으
얼마 전 업무 관련으로 오랜 만에 예전 동료, 선후배 등 지인들에게 연락을 했다. 짧게는 몇 개월에서 길게는 수 년 만에 연락을 한 지인들과 결혼은 했는지, 아이들은 몇 학년인 지, 어디에 사는지 등 근황 토크를 하던 중 놀라운 사실 하나를 발견하게 됐다. 이름만 대면 누구나 알 만한 대기업에서 실세로 통하던 본부장, 외국계 기업의 잘나가는 이사였던 그들이 소식이 끊긴 지난 몇 년 사이 모두 '사장'이 되어있던 것이다. 사장이 되었다고 하면 ‘와, 성공했네’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꼭 그런 것만은 아니다. 그간 쌓아온 커리어를 밑천삼아 꽁꽁 숨겨왔던 야망을 실현하고자 과감히 사표를 던지고 창업을 한 경우도 있겠으나 대부분은 조직에서 부담스러워하는 연봉과 나이가 된 오십 전후 자의반, 타의반 회사를 나와 당초 인생의 로드맵에는 없던 '창업'의 길을 걷게 된 것이다. ‘그래, 이제 내 사업할 때가 됐지, 그간 해온 게 있으니 잘 될 거야’라며 덕담을 전하긴 했지만 내심 맘이 편치 만은 않았다. 충분한 준비 없이 조직이라는 안전한 아니 안전하다고 생각했던 울타리를 벗어나 그 후광과 계급장을 떼고 마주한 현실은 내가 한달 간 만들어낸 성과가 없으면 일원 한푼 들어
세계적으로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전됨에 따라 고령화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보고 있어 이에 대한 정부, 학계, 기업 등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고령화는 세계 전체의 문제이며 현재 고령화의 선두를 달리고 있는 국가는 이웃 일본이지만 우리나라를 비롯해 아시아 각국의 고령화도 현저해 일본을 뛰어넘는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 때문에 가까운 장래에 고령화가 경제 성장률이나 소득수준 등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 관심의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그러면 이러한 인구구조 변화는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첫째, '노동량'을 통해 경제성장률에 미칠 영향이다. '생산연령인구'의 감소가 노동량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알보자. 대부분의 아시아 주요 국가는 향후 30년 사이 생산연령인구가 감소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그에 따라서 '노동량' 통해 경제 성장률에 미치는 기여 부분도 대부분의 국가에서 마이너스(-)로 전환될 것이다. 둘째, '자본량'을 통해 경제성장률에 미칠 영향이다. 생산연령인구 비율의 감소가 '자본량'에 미칠 영향을 보자. '자본량'이 성장률에 미치는 규모는 국가에 따라 다양할 수 있지만 총체적으로 보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효과가 감소
유엔(UN)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로 분류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23년 65세 이상에 해당하는 고령인구가 전년보다 46만여명 늘어난 973만명에 달해 전체 인구의 19.0%를 차지하기에 이르렀다. UN의 분류에 따르면 우리나라도 오는 2024년에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전망이다. 국내외 매스컴은 2차 세계대전 이후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의 전 세계적인 은퇴인구 급증으로 노동인구보다 고령인구가 더 빠르게 늘어나기 때문에 점차 연금 혜택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5년부터 1965년 사이에 출생률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했으나 최근 들어 이 때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기 시작해 은퇴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향후 은퇴 인구가 더욱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은퇴 이후의 '잔존 여명기간'까지도 늘어나고 있어 은퇴 이후의 소득을 어떻게 보전할 것인가가 중요한 국가적, 사회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다시 말해 현재의 연금시스템이 유지되어 가기 위해서는 적절한 연령의 인구 구성비가 중요한데 '고령화'로 인해 노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