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조성호 기자] 코스피가 10일 보합권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42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 보다 7.60포인트(0.41%) 오른 1843.81을 가리켰다. 지수는 전장보다 0.45포인트(0.02%) 내린 1835.76에 개장해 등락을 거듭하면서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간밤 미국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2조3000억달러 규모의 부양책 발표에 힘입어 소폭 상승했다. 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일보다 1.22% 상승했으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1.45% 오른 채 마감했다. 나스닥지수 또한 0.77% 올랐다. 하지만 주요 산유국들의 원유 감산 합의 소식에도 기대했던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면서 유가가 급락했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 증시는 연준이 전례없는 강력한 조치를 발표했음에도 국제유가가 하락 전환하자 일부 상승분을 반납하며 마감했다”면서 “국제유가가 변동성을 키운 점은 한국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은 1700억원, 외국인은 166억원 순매수했다. 기관은 1879억원 순매도했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FETV=조성호 기자] 코스피가 9일 개인 매수세에 힘입어 하루만에 반등에 성공하며 1% 넘게 상승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보다 29.07포인트(1.61%) 오른 1836.21에 마감했다. 코스피가 종가기준 1830선을 넘은 것은 지난달 12일 이후 한달여 만이다. 지수는 전일 대비 30.95포인트(1.71%) 오른 1838.09로 출발해 상승세가 이어졌다. 간밤 미국 뉴욕증시가 3%대 급등하며 상승 출발한 코스피는 장중 유가상승, OPEC+ 감산합의 기대감 등의 영향으로 개인 매수세가 유입되며 강세가 이어졌다. 다만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0.75%로 동결했지만 코로나19 사태 영향으로 올해 한국 경제가 0%대 성장 가능성을 예상하면서 상승폭이 제한됐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은 3031억원 순매수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868억원, 1336억원 순매도했다. 이로써 외국인은 지난달 5일부터 26거래일째 ‘팔자’ 행진을 이어갔다. 업종별로는 운송장비(5.7%), 운수창고(4.3%), 화학(2.7%), 섬유·의복(2.1%), 보험(2.0%) 등 대부분 강세였고 음식료품(-1.2%)만 약세를 보였다. 코스닥지수는 전일 대비 8.58포인트(1.41%
[FETV=조성호 기자] KB증권은 코로나19 여파로 밸류에이션 대비 과도한 낙폭을 기록한 주식자산을 활용한 ‘목표전환형 상품’을 4‧5월 주요상품으로 주력할 것이라고 9일 밝혔다. 자산가격의 안정성 여부를 평가하는 지표인 주가순자산비율(PBR)로 볼 때 지난 8일 블룸버그 기준으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과거 10년간 1.9~3.7배 수준에서 거래되었는데 최근 고점대비 22% 하락함에 따라 2.9배를 기록했다. 유로스탁스50은 고점 1.8배 대비 28% 하락한 1.3배,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는 고점 1.5배 대비 33% 하락한 1.0배, 니케이225지수는 고점 1.9배 대비 26% 하락한 1.4배다. 특히 KOSPI는 0.7배로 고점 1.4배 대비 50%까지 하락해 절대 저평가된 수준이다. KB증권 측은 “이처럼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등 글로벌 주요 국가의 주가지수가 과거 10년 동안 최저 PBR수준으로 밸류에이션 대비 절대적 저평가국면으로 투자매력도가 높은 상황”이라며 “이에 4‧5월 과대낙폭 주식자산을 활용한 ‘목표전환형 상품’ 출시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KB증권은 업계에서 종목 발굴 역량이 우수한
[FETV=조성호 기자] 미래에셋대우의 올 1분기 비대면 다이렉트 연금저축 계좌 전년 동기 대비 30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셋대우는 최근 비대면 주식 계좌 증가 추세가 비대면 연금 계좌에서도 나타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지난 2일 금융감독원이 배포한 ‘2019년 연금저축 운용 현황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연금펀드 계약 수 증가의 약 40%가 미래에셋대우의 비대면 계좌였다. 주로 비대면으로 거래하는 미래에셋대우 다이렉트 연금저축 계좌 현황을 보면 2019년 총 다이렉트 연금저축 신규계좌의 약 80%에 해당하는 숫자가 올해 1분기에 이미 개설됐으며 전년 동기 대비로는 30배 이상 증가했다. 비대면 연금이전 금액 또한 작년 총 이전 금액을 1분기만에 넘어섰다. 특히 30, 40대 비중이 전체 50%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젊은 층의 스마트머니가 연금계좌를 통한 직접투자로 흘러간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미래에셋대우에서 비대면으로 연금에 가입한 가입자들의 상품 거래 내역을 보면 ETF 비중이 약 50%를 차지하며 그 중에서도 TIGER 나스닥100, TIGER 미국채10년 선물, KODEX S&P500선물 ETF 순으로 거래
[FETV=조성호 기자] 신한은행은 미화 5억달러 규모의 5년 만기 외화 포모사채권 공모 발행에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이는 신한은행 최초의 포모사채권 발행으로 금리는 미 달러 3개월 리보에 1.70%포인트를 가산한 수준이다. 포모사채권 대만 자본시장에서 외국기관이 현지 통화인 대만 달러가 아닌 다른 국가의 통화로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 신한은행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로 유동성에 대한 염려가 커져있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외화 유동성이 풍부한 대만 지역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 전략이 경쟁력 있는 금리로 채권 발행됐다고 평가했다. 신한은행은 “이번 채권 발행으로 대만까지 투자자 저변을 확대했고 포모사채권과 글로벌본드 방식을 결합한 형태로 미주 지역 투자자들까지 참여시켜 한국계 포모사채권 사상 최대 규모로 발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시장 불확실성이 극대화된 상황에서 발행액 대비 4.2배의 초과주문을 이끌어 내 신규발행프리미엄 지급 없이 성공적으로 발행을 마무리했다는 설명이다. 지역별로는 대만 57%, 대만 외 아시아 36%, 미국 6%, 유럽 1%이며 유형별로는 은행 80%, 자산운용사·보험사·연기금 19%, PB·기타 1%의 투
[FETV=조성호 기자] 신한금융투자는 ‘2020년 입금고 이벤트 시즌1’을 진행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1000만원 이상 국내주식 거래를 한 고객이 주식을 입고하거나 현금을 입금하면 참여할 수 있다. 1000만원 이상 자산이 증대하면 현금 3만원, 1억원 이상은 10만원, 20억원 이상은 100만원 등 자산 증대 금액별로 현금을 지급한다. 오는 5월 31일까지 이벤트 페이지에서 신청버튼을 누르면 신청할 수 있으며 주식거래 금액은 이벤트 신청일로부터 6월 30일까지 체결한 금액을 합산한다. 또한 주식입고와 현금입금은 신청일부터 5월 31일까지 입금고된 금액을 합산하고 주식출고와 현금출금은 신청일부터 6월30일까지 출금고된 금액을 합산해 집계한다. 이에 6월에 입금과 입고된 내역은 인정되지 않는다. 이벤트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신한금융투자 홈페이지와 모바일앱 ‘알파’에서 확인할 수 있다.
[FETV=조성호 기자] NH투자증권은 지난 8일 지속가능발전소, 탱커펀드와 ‘iSelect 인덱스 개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iSelect’는 NH투자증권의 인덱스 대표 명칭이다. 서울 여의도 본사에서 열린 이날 협약식에는 임계현 NH투자증권 경영전략본부장과 윤덕찬 지속가능발전소 대표, 임현서 탱커펀드 대표 등이 참석했다. NH투자증권은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다양하고 혁신적인 인덱스 개발을 추진한다. 핀테크 기술을 활용해 금융 시장의 최대 화두인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투자 및 부동산 가격 평가 추적 체계 등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목표다. 우선 NH투자증권의 지수 개발 및 산출의 노하우와 지속가능발전소의 ESG 관련 데이터가 합쳐진 ‘ESG 지주회사’ 지수를 개발한다. 지속가능발전소는 기업의 지배구조와 리더십, 노사관계와 업무 문화, 환경 보호 기여도 등을 종합해 ESG 점수를 산출하고 있다. 특히 기업의 ESG 리스크 현황을 빠르게 반영하기 위해 90여개 언론사 뉴스를 매일 분석해 매주 ESG(사건사고) 리스크 점수를 산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ESG 지
[FETV=조성호 기자] 우리금융그룹은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해 헌신하고 있는 대구지역 거점병원 의료진을 위한 ‘든든한 도시락’ 사업을 다음달 15일까지 연장한다고 9일 밝혔다. ‘든든한 도시락’ 사업은 코로나19 확산으로 고군분투하는 대구·경북지역 의료진의 소식을 접한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의 제안으로 지난달 9일 시작됐다. 우리금융은 이번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 거점병원인 대구의료원과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의료진 400명에게 매일 점심을 제공했다. 이번 사업은 당초 이달 8일까지 예정돼 있었지만 병원 측의 요청에 의해 연장됐다.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관계자는 “우리금융그룹이 제공하는 도시락은 우리 의료진들에게 큰 힘이 되고 있다”며 “연장 요청에 흔쾌히 화답한 우리금융그룹 임직원분들께 감사하다”고 전했다. 손 회장은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에도 묵묵히 최선을 다하는 대구 의료진들에게 든든한 도시락이 조금이나마 힘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그룹 역량을 총동원해 코로나19 피해복구 지원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FETV=조성호 기자] 코로나19 여파에 국내 단기자금 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면서 지난달 기업어음(CP) 발행금액이 전월 대비 34%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동성 확보에 비상이 걸린 증권사들의 발행금액이 크게 늘었다. 9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기업들의 CP 발행금액은 21조2472억원으로 전월(15조8375억원) 대비 34.16%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증권사들의 발행금액이 크게 늘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유동성 경색 우려에 증권사들이 CP 발행을 크게 늘려 자금 확보에 선제적으로 나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신한금융투자의 경우 지난달 1조3000억원의 CP를 발행하며 전월(500억원) 대비 무려 26배 증가했다. 신한금융투자의 지난달 CP 발행금액은 국내 기업 가운데 최고액이다. 이어 한국투자증권(1조100억원), 미래에셋대우(1조원), 하나금융투자(6050억원), 삼성증권(3700억원) 등 증권사들이 지난달 CP 발행금액 상위권을 차지했다. 일반 기업 가운데는 정유사들의 CP 발행이 많았다. 지난달 SK에너지와 현대오일뱅크의 발행금액은 각각 8750억원, 7800억원에 달했다. 이는 전월 대비 각각 236.54%
[FETV=조성호 기자] 코스피가 9일 미국 증시 급등 영향에 힘입어 상승 출발했다. 이날 오전 9시 4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 보다 28.01포인트(1.53%) 오른 1835.15를 가리켰다. 지수는 전장보다 30.95포인트(1.71%) 오른 1838.09에서 출발해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간밤 미국 뉴욕증시는 코로나19 확산세가 정점을 찍은 것 아니냐는 관측과 함께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의 대선 경선 중단 선언에 급등 마감했다. 다우존스50산업평균지수는 3.44%,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3.41%, 나스닥 2.58% 각각 상승했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전일 대비 8.75포인트(1.42%) 오른 616.12를 나타냈다. 지수는 전장 보다 9.30포인트(1.53%) 오른 616.67에 개장해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