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1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PLUS ETF 환골탈태, 국내·해외 ETF 수익률 나란히 1위

[FETV=이건혁 기자] 한화자산운용(대표이사 김종호)은 ‘PLUS K방산’ ETF(상장지수펀드)와 ‘PLUS 글로벌HBM반도체’ ETF가 각각 국내, 해외 주식형 ETF 수익률 1위를 차지했다고 1일 밝혔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PLUS K방산’ ETF는 연초 이후 210.27%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국내 주식형 ETF(레버리지 제외) 중 가장 높다. 같은 기간 ‘PLUS 글로벌HBM반도체’ ETF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122.41%로 해외 주식형 ETF 중 가장 높다.

 

 

‘PLUS K방산’ ETF는 한화자산운용이 운용 중인 ETF 중 가장 먼저 순자산 총액 1조원을 넘은 간판 ETF다. 한화자산운용은 당시 고조된 지정학적 갈등과 안보 불안이라는 시대적 배경 아래 방위산업의 부상을 전망하고, 업계 최초로 방산 ETF를 선보였다.

 

특히, 해외 증시에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국내 증시, 그 중에서도 K방산의 미래 성장성을 포착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한 것이 특징이다.

 

‘PLUS K방산’ ETF의 주요 포트폴리오인 K방산 4개사(한화시스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현대로템)의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194.2% 증가한 2조2,087억원을 기록했고, 수주 잔고 100조원을 돌파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향후 전망도 긍정적이다. 미국 중심의 서방세력과 중국 중심의 반서방세력 간의 대결구도가 당분간 계속되면서 방산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또 글로벌 방산시장에서 K방산의 점유율이 높아지면서 협상력이 커진 K방산 기업들의 마진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PLUS 글로벌HBM반도체’ ETF는 국내외 HBM(고대역폭메모리) 제조 기업 및 관련 소부장(소재·부품·장비)에 투자하는 ETF다.

 

HBM은 AI(인공지능) 반도체 산업의 필수재다. 최근 크게 늘어난 AI 반도체 수요에 발맞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HBM 시장 규모는 2025년 140억달러에서 2027년 395억달러로 3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서버 D램 수요 증가로 부활한 D램 업황도 호재다. ‘PLUS 글로벌HBM반도체’ ETF의 주요 포트폴리오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은 글로벌 D램 매출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최영진 한화자산운용 최고마케팅책임자(CMO)는 “지난달 24일 기준 PLUS ETF 순자산 총액 7조2,366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2배 넘게 늘었다. 말 그대로 ‘환골탈태’”라며 “앞으로도 ‘세상을 움직이는 힘’에 집중하며, 투자자들의 안정적인 수익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