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산업


[10대그룹 재해율] 포스코, ‘0.02% 재해율’ 이면의 진실

직원 안전은 '선진국형', 협력사 안전은 ‘진행형’…이중관리 지적
포스코, 임직원 재해율 0.02% ‘최저’…관계사와는 여전히 격차

[편집자주] 과거 산업현장은 잦은 재해와 느슨한 안전 통제로 사고가 끊이질 않았다. 하지만 이제 기업들은 맞춤형 안전관리와 교육을 통해 사고 예방 체계를 구축하며 이를 ESG 경영의 일환으로 삼고 있다. FETV가 국내 10대 그룹의 재해율은 물론 안전보건 교육과 시스템을 살펴보고자 한다.

 

[FETV=나연지 기자]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산업안전 지표가 기업 경영 평가의 핵심 축으로 떠오른 가운데 포스코가 임직원 재해율 0.02%라는 기록적인 수준을 기록했다. 그러나 내부 수치를 들여다보면 ‘조직 전체가 안전한가’에 대한 질문에는 고개를 갸웃하게 된다.

 

임직원과 관계사 간 TRIFR(총기록재해율), LTIFR(근로손실재해율) 지표 차이가 여전히 크고 재해자의 3분의 2 이상이 관계사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FETV가 확보한 포스코의 최근 3년간 산업재해율에 따르면 포스코 임직원의 2023년 재해율은 0.02%로 2021년(0.03%), 2022년(0.06%) 대비 뚜렷한 개선세를 보였다.

 

반면, 관계사의 2023년 재해율은 0.09%로, 같은 기간 중 0.07%(2021년) → 0.14%(2022년) → 0.09%(2023년)로 하락세로 돌아섰지만 여전히 임직원보다 4배 이상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실제 수치만 놓고 보면, 임직원과 관계사 모두 2022년 일시적으로 재해율이 상승한 이후 2023년에 뚜렷한 하락세로 전환된 모습이다. 그러나 임직원이 0.02%라는 철강업계 최저 수준의 재해율을 기록한 데 비해 관계사는 여전히 0.09%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점에서 안전 관리 역량이 그룹 내부에서 일관되게 적용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 내부 사정을 잘 아는 한 업계 관계자는 “본사와 계열사는 스마트 안전 솔루션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으나 협력업체는 인력 교체율이 높고 안전투자 여력도 제한적이라 사고 위험이 상존한다”며 “포스코 차원의 공동 안전관리 프로그램이 확대되지 않으면 격차는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산업안전 성과를 가늠하는 대표 지표인 ‘재해율’은 전통적으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업무상 재해 인정 건수를 기준으로 산출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전체 사고 건수를 대상으로 하는 ‘총 기록재해율(TRIR, Total Recordable Incident Rate)’이나, 일정 수준 이상의 중대 사고만 집계하는 ‘근로손실재해율(LTIFR, Lost Time Injury Frequency Rate)’보다 좁은 범위의 지표다.

 


포스코는 2022년부터 AI·IoT 기반의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VR 위험예지 교육, 자동화 공정 전환 등을 도입해 고위험 작업장의 사고 위험을 낮추는 데 주력해왔다. 실제로 본사 임직원 재해율은 2022년 일시적으로 상승했지만 2023년에는 다시 낮아지며 뚜렷한 개선세를 보였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주로 본사 및 정규직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어, 협력사에는 효과가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2023년 기준 포스코의 재해자 수는 임직원 7명, 관계사 23명으로, 재해자의 약 77%가 협력사에서 발생한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본사와 계열사는 예방 중심의 시스템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만 협력사는 인력 교체율이 높고 안전예산 여력도 부족하다”며 “포스코 차원의 공동 안전관리 프로그램 확산 없이는 격차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기존 산업재해율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업무상 재해로 인정된 사고만을 기준으로 삼는다. 하지만 글로벌 ESG 평가 기준에서는 TRIR, LTIFR과 같은 보다 광범위하고 정직한 안전지표를 중심으로 기업의 리스크를 분석하고 있다.

 

포스코는 이러한 흐름에 따라 2022년부터 일부 TRIR·LTIFR 수치를 공개했고 2023년에는 이를 구분 공시하며 안전성과의 정량적 소통을 강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