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1 (토)

  • 구름조금동두천 11.7℃
  • 구름많음강릉 18.5℃
  • 맑음서울 15.9℃
  • 구름조금대전 14.8℃
  • 맑음대구 16.7℃
  • 구름조금울산 17.8℃
  • 맑음광주 16.6℃
  • 구름조금부산 17.0℃
  • 맑음고창 15.1℃
  • 맑음제주 16.0℃
  • 맑음강화 14.9℃
  • 구름조금보은 12.4℃
  • 구름조금금산 12.6℃
  • 맑음강진군 13.8℃
  • 구름조금경주시 13.9℃
  • 구름조금거제 15.0℃
기상청 제공



코로나 3년간 가계 초과저축 100조 넘어...빚 안 갚고 "투자 대기 중"

한은,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 및 평가’ 발표

 

[FETV=권지현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 가계가 이전보다 100조원 이상 더 저축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과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 3년간(2020∼2022년) 가계부문 초과저축 규모는 101조∼129조원으로 추산됐다. 이는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4.7∼6.0%(민간소비  대비 9.7∼12.4%) 수준이다.

 

초과저축이란 코로나 팬데믹 이전 추세를 웃도는 가계 저축액을 의미한다. 결국 코로나 사태를 거치면서 가계의 저축 규모가 과거 통상적 수준보다 최소 100조원 이상 더 불었다는 뜻이다.

 

 

한은은 초과저축 증가 원인으로 팬데믹 직후의 소비 감소와 지난해 소득 증가 등을 꼽았다. 저축률 상승분을 저축 동기에 따라 분해한 결과에서도 절반 이상을 코로나에 따른 소비제약 등 '비자발적 요인'이 차지했다. 가계는 이처럼 풍부한 저축을 소비 재원으로 활용하거나 부채 상환, 자산 취득 등에 쓸 수 있다. 

 

하지만 한은은 우리 가계가 초과저축을 추가적인 소비 재원으로 활용한 부분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해까지 이어진 고용 호조에 정부 지원까지 더해져 소득 여건이 좋았기 때문에, 저축까지 내어 소비하는 경우가 많지 않았다는 얘기다.

 

실제 2020∼2022년 명목 가계 처분가능소득은 평균 4.6% 늘었는데, 가계는 초과저축을 주로 예금·주식 등 유동성이 좋은 금융자산의 형태로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 시기 우리나라 가계의 금융자산은 2020∼2022년 현금·예금·주식·펀드를 중심으로 1006조원 늘었다. 2017∼2019년(591조원)의 거의 두 배에 이른다.


한은은 초과저축이 유동성 높은 금융자산 형태로 보유되면서 앞으로 실물경제 측면에서 부정적 소득 충격이 있을 때 완충역할을 할 수 있지만, 주택가격 상승, 가계 디레버리징(부채 정리) 지연 등을 유발해 금융안정에 부정적 요인이 될 가능성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