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연합뉴스] ](http://www.fetv.co.kr/data/photos/20220834/art_16616716092458_7d0219.jpg)
[FETV=박신진 기자] 민간이 운영하는 부동산 시세 조사 기관 기준 'KB시세'로도 전국의 집값과 전셋값이 하락 전환했다.
28일 KB국민은행의 주택가격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5일 조사 기준 전국 주택(아파트·연립·다세대·단독주택 포함)의 평균 매매가는 전월 대비 0.14% 떨어졌다. KB시세로 전국 집값이 하락한 것은 2019년 7월(-0.01%) 이후 3년 1개월 만이다.
전국 집값은 이미 정부 공인 시세 조사기관인 한국부동산원의 통계로지난 6월(-0.01%)에 2년 10개월 만에 하락 전환됐다. KB시세로 서울의 집값은 0.07% 하락해 2019년 2월(-0.08%) 이후 3년 6개월 만에 하락했다. 특히 서울의 연립·다세대주택과 단독주택은 각각 0.02%, 0.08% 소폭 상승했다. 아파트는 0.15% 하락하면서 2019년 6월(-0.08%) 이후 3년 2개월 만에 하락 반전했다.
경기와 인천의 집값은 각각 0.18%, 0.24% 떨어졌다. 지난달 하락 폭인 0.04%, 0.11%보다 확대되면서 수도권 집값 또한 낙폭이 0.01%에서 0.15%로 커졌다. 5개 광역시(대전·대구·울산·부산·광주)의 집값도 이달 0.25% 하락했다. 지난달의 하락 폭(0.08%)보다 낙폭이 커졌다. 기타지방(세종시와 8개도)의 집값은 이달 0.02% 상승했다. 다만 전달 오름폭(0.13%)보다는 축소됐다.
이달 전국의 주택 전셋값은 지난달 0.04% 상승에서 이달 0.09% 하락으로 전환됐다. KB 시세로 전국 주택 전셋값이 하락 전환된 것은 2019년 9월(-0.01%) 이후 2년 11개월 만이다. 부동산원 시세로는 전국 전셋값이 지난 2월 하락 전환된 뒤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
같은 기간 서울(0.06%→-0.08%)과 경기(0.04%→-0.12%)도 주택 전셋값이 하락 전환됐다. 인천(-0.16%→-0.17%)은 낙폭을 소폭 키웠다. 이로써 수도권의 주택 전셋값(0.02%→-0.11%)은 하락으로 돌아섰다. 5대 광역시는 0.12% 하락에서 0.19% 하락으로 내림 폭이 더욱 커졌다. 기타지방의 주택 전셋값 상승 폭은 0.25%에서 0.08%로 대폭 축소됐다.
전국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지난달 74에서 이달 73으로 소폭 하락했다. KB부동산 가격 전망지수는 전국 4000개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해당 지역 집값의 상승·하락 전망을 조사해 수치화한 것이다. 100을 초과할수록 상승 전망이 높고, 반대로 100 미만이면 하락 전망이 많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