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임종현 기자] 한국투자신탁운용은 국내 최대 금 상장지수펀드(ETF)인 'ACE KRX금현물 ETF' 순자산액이 8000억원을 돌파했다고 6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ACE KRX금현물 ETF는 지난 4일 종가 기준 순자산액 8035억원을 기록하며 처음 8000억원을 돌파했다. 전일(5일) 종가 기준 순자산액은 8584억원으로 집계됐다. 해당 ETF는 지난 1월 23일 순자산액 7007억원으로 처음 7000억원을 돌파한 뒤 4거래일 만에 1028억원이 증가했다. 해당 상품은 지난해 국내 금 투자 펀드 전체 순자산 증가액에서도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금(타 금속 함께 투자하는 상품 제외) 상승에 투자하는 국내 공모펀드(ETF 포함) 13종의 2024년 전체 순자산 증가액은 5596억원이었다. ACE KRX금현물 ETF는 순자산액이 2023년 말 1095억원에서 2024년 말 6228억원으로 급성장해 몸집이 5배 이상 커졌다. 이 기간 해당 ETF의 증가액은 5133억에 달해 전체 금 펀드 순자산 증가액의 91.72%를 차지했다. 한투운용은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 및 해당 ETF의 우수한 수익률에 따른 개인투자자들의 순매수세
[FETV=임종현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아시아 최대 미국 대표지수 상장지수펀드(ETF)인 ‘TIGER 미국S&P500’와 ‘TIGER 미국나스닥100’ 2종의 총 보수를 연 0.0068%로 인하한다고 6일 밝혔다. 국내 상장된 ETF 중 최저 보수다. 이날부터 'TIGER 미국S&P500 ETF', 'TIGER 미국나스닥100 ETF' 2종의 총 보수는 연 0.07%에서 10분의 1 수준인 0.0068%로 변경된다. 2020년 11월 연 0.3%에서 0.07%로 인하한 이후 약 4년 만의 추가 인하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 대표지수 ETF에 대한 투자자의 높은 성원에 보답하고, 미국 주식 투자 기회를 확대하고자 보수 인하를 결정했다고 전했다. ‘TIGER 미국S&P500 ETF’는 지난해 국내 전체 ETF 중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 1위를 차지했다. 미래에셋 측은 이날 보수를 낮춘 두 ETF가 원금을 훼손하지 않는 수준에서 기초지수 대비 초과 성과분을 매분기 분배하는 원칙을 준수하며,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남기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부문 대표는 “2006년 국내 ETF 시장
[FETV=임종현 기자] 국내 최초의 대체거래소(ATS·다자간매매체결회사)인 ‘넥스트레이드’가 다음 달 4일 공식 출범한다. 금융위원회는 5일 정례회의를 열고, 넥스트레이드의 다자간매매체결회사 투자중개업을 본인가했다고 밝혔다. 2013년 다자간매매체결회사 제도가 도입된지 12년 만이다. 넥스트레이드는 3월4일 영업을 시작한다. 넥스트레이드 개장으로 우리나라의 하루 주식거래 시간은 12시간으로 늘어나게 됐다. 넥스트레이드는 한국거래소와 동시에 운영하는 정규 거래시간(오전 9시∼오후 3시20분) 외에도 프리마켓(오전 8시∼오전 8시50분), 애프터마켓(오후 3시30분~오후 8시)을 운영한다. 시가나 종가, 주가지수 등은 한국거래소의 정규장 기준이 유지된다. 복수 거래소가 도입되면서 수수료도 인하될 전망이다. 넥스트레이드는 현행 한국거래소의 매매체결 수수료보다 20~40% 수준 인하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넥스트레이드 시장 참여 의사를 밝힌 증권사는 총 32개다. 15개 증권사가 출범과 동시에 전체시장에 참여하고 일부는 프리·애프터마켓만 우선 참여하거나 오는 9월부터 전체 시장에 참여할 예정이다. 거래 종목은 시스템의 안정성 확보와 증권사·투자자의 적응 등을 위해
[FETV=임종현 기자] 서유석 금융투자협회 회장은 5일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의 가입 대상을 미성년자로 확대해 '주니어 ISA'가 도입될 수 있도록 당국에 적극적으로 건의하겠다"고 강조했다. 서 회장은 5일 서울 여의도 금투협에서 열린 신년 기자 간담회에서 "국민 자산 형성을 위해 도입된 ISA는 가입자 587만명, 가입금액 32조원으로 명실상부 국민 재테크 통장으로 자리 잡았다"고 밝혔다. 또 올해 2분기 내 공모펀드 상장도 추진한다고 밝혔다. 그는 "공모펀드를 낮은 비용으로 손쉽게 매매하게 된다면 기존 판매자 중심의 시장에서 투자자 중심의 직접투자 시장으로 급속히 전환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상자산 ETF 관련해선 "가상자산에 우호적인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이 더 활성화할 전망"이라며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TF는 한국에서도 상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50대와 60대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어 "포트폴리오의 일부로 가상자산을 포함시키고 싶다는 수요가 많은 만큼 당국과 논의해 관련 로드맵을 그리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최근 영향력이 커진 사모펀드(PEF)에 관해서는 "자본시장의 혁신
[FETV=임종현 기자] KB증권의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4.8% 증가한 7808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52.14% 급증한 5904억원을 매출액은 10조8320억원으로 6.5% 감소했다. 전 사업 부문에서 고르게 성장세를 보인 가운데 기관영업 부문에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자산관리(WM) 부문 자산이 64조원을 넘어서고, 수익도 2400억원을 초과했다. 특히 해외 브로커리지(위탁매매) 거래 활성화로 해외주식 자산이 11조원을 돌파했고, 해외 브로커리지 수익이 전년 대비 74% 증가했다. 기업금융(IB) 부문에서는 시장 변동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실적을 기반으로 시장을 선도한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 작년 4분기 실적만 보면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4.18% 줄어든 453억원, 당기순이익은 67.88% 증가한 377억원을 기록했다.
[FETV=임종현 기자] 코스피가 5일 미·중 양국의 관세 갈등이 누그러질 수 있다는 기대에 이틀째 오르며 2500대를 회복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27.58포인트(1.11%) 오른 2509.27로 거래를 마쳤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주가가 오르면서 지수를 끌어올렸다. 코스피에서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가 686억원, 322억원 매수했다. 코스닥지수는 11.06포인트(1.54%) 오른 730.98에 거래를 마쳤다. 원·달러 환율은 18.6원 내린 1444.3원에 마감했다.
[FETV=임종현 기자] 한화투자증권은 ‘미국 회사채 중개 서비스’를 오픈했다고 5일 밝혔다. ‘미국 회사채 중개 서비스’는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우량 회사채를 미국 정규장 시간 동안 주식처럼 간편하게 매매할 수 있는 서비스다. 기존에는 실시간 거래가 불가능하고 비교적 대량으로 매매가 이뤄졌다면, 이번 서비스는 시세와 매수·매도 호가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1000달러 단위 소액매매가 가능토록 해 고객 편의성과 접근성을 높였다. 또한 미국 회사채 매매를 통한 자본차익 및 환차익은 개인에 한해 비과세(법인은 과세) 적용되는 장점이 있어 포트폴리오 구성 시 활용도가 높다. 특히 만기수익률과 신용등급, 만기일자 등 거래 채권 상세 정보를 제공하며 미국 정규장(한국시간 기준 오후 11시30분~익일 오전 6시) 거래시간 외에는 예약 주문도 가능하다. 임주혁 한화투자증권 리테일본부 상무는 “미국 금리 인하로 미국 회사채 투자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채권을 포함한 고객들의 해외 투자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FETV=임종현 기자] 대신증권은 인공지능(AI) 분야의 대표 기업들을 주제로 오는 6일 오후 4시부터 라이브 세미나를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서영재 대신증권 연구원이 진행자로 나서 AI 기술의 발전과 주요 기업들의 AI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분석하고 향후 투자 전략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예정이다. 대신증권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AI 분야에 관심 있는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보다 전문적인 투자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계획이다. 세미나 참여 신청은 대신증권 홈체이지와 온라인 거래매체인 크레온과 사이보스을 통해서 하면 된다. 신청자에게는 세미나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URL)이 카카오 알림톡으로 제공된다. 박환기 대신증권 영업지원센터장은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앞으로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고객들이 더 나은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FETV=임종현 기자] 키움증권이 영업이익 ‘1조 클럽’에 복귀했다. 키움증권은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조982억원으로 전년보다 94.5%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5일 공시했다. 키움증권의 '1조 클럽'으로의 복귀는 2021년 이후 3년 만이며, 별도 기준으로 연간 영업이익 1조원을 넘은 건 올해가 처음이다. 작년 매출은 11조2803억원으로 전년 대비 18.18%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8349억원으로 89.43% 늘었다. 작년 4분기(10~12월)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802억원과 1462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흑자 전환했다. 매출과 순이익은 각각 3조6416억원과 1463억원이었다. 다만 시장이 예상했던 순이익 1894억원에는 미치지 못했다. 키움증권은 지난해 4분기 실적과 관련해 해외주식 약정 규모가 1개 분기 만에 32.6% 증가하면서 해외주식 수수료 수익이 국내 주식 수수료 수익을 웃돌았다고 했다. 키움증권의 4분기 해외주식 수수료 수익은 794억원, 국내 주식 수수료 수익은 656억원이었다. 또한 맘스터치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차환)과 에코비트·비앤비코리아 인수금융 등을 주선하며 수수료 수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우발부채는
[FETV=임종현 기자] 하나증권은 지난해 전 사업 부문에서 실적이 개선되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하나증권의 지난해 영업이익(연결 기준)은 1420억원, 당기순이익은 2251억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에는 영업손실 3668억원, 당기순손실 2천924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사업별로 보면 자산관리(WM) 부문은 해외주식 거래 수익과 금융상품 거래 증가로 수익 개선됐고, 기업금융(IB) 부문은 우량 자산 중심으로 수익이 확대됐다. 세일즈앤트레이딩(S&T) 부문은 금리 하락에 힘입어 수익성이 개선됐다. 다만 작년 4분기만 놓고 보면 보수적으로 충당금을 쌓은 결과 538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지난해 4분기 당기순이익은 보유자산의 가치가 오른 영향으로 433억원을 기록했다. 하나증권 관계자는 "전 사업 부문 실적 개선과 본업 경쟁력 강화에 힘쓰며 연간 실적 턴어라운드(반등)를 시현했다"며 "탄탄한 영업 기반을 구축해 안정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