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박제성 기자] LG화학은 20억 달러(약 2조6000억원) 규모 외화 교환사채 발행을 완료했다고 12일 공시했다. 이번 교환사채의 교환 대상은 LG화학의 자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 보통주다. 현재 LG화학은 LG에너지솔루션의 81.84%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발행 주관사인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LG화학의 이번 교환사채 발행은 2021년 말 이후 전 세계에서 발행된 교환사채·전환사채(CB) 등 주식연계채권 가운데 가장 큰 규모다. 이는 한국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우 2002년 이후 가장 많다. 12일 LG화학에 따르면 전날 아시아·유럽 지역 투자자 대상 수요 모집에서 목표치 대비 5배가 넘는 100억 달러(12조8880억원)의 투자금이 모였다. 이번 수요 모집에는 투자자, 기관 150여곳에서 투자금이 몰렸다. 이번 교환사채는 미국 달러(USD)로 발행되며 만기는 5년과 7년이다. 만기 이자율은 5년물 1.25%, 7년물 1.6%로 확정됐다. LG에너지솔루션 보통주와 교환 가격은 LG에너지솔루션 11일 종가 55만원을 기준으로 1주당 5년물은 25%, 7년물은 30% 수준의 고 프리미엄으로 발행된다.
[FETV=박제성 기자] 에코프로그룹이 2분기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만족스러운 성적표를 받았다. 12일 에코프로그룹은 지주사인 에코프로를 비롯해 계열사 에코프로BM, 에코프로HN이 동시에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먼저 지주사 에코프로는 올해 2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 2조132억원, 영업이익은 1664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각각 63.4%, -2.1% 감소했다. 또 전 분기 대비 각각 -2.5%, -8.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에코프로비엠은 매출 1조9062억원, 영업이익은 114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대비 매출과 영업이익 각각 60.6%, 11.5% 상승했다. 이는 전 분기 대비 각각 -5.2%, 6.9%를 기록했다. 에코프로HN은 매출 565억원, 영업이익은 11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0.4%, 37.6% 상승했다. 또 전 분기 대비 각각 -5%, -6.4%를 기록했다.
[FETV=박제성 기자] SK이노베이션이 12일 SK이노베이션 계열의 탄소감축 비전을 담은 '2023년 브랜드 캠페인' 영상을 공개했다. 이번 브랜드 캠페인은 ‘이런 미래, 지금까지는 SF 지금부터는 SK이노베이션’이라는 슬로건을 바탕으로 제작됐다. SK이노베이션 계열의 탄소감축 노력으로 청정 행성이 된 미래 지구의 모습을 외계인의 시선에서 유쾌하게 표현했다. 캠페인 영상은 △지구 청약 편 △우주노래자랑 편 △에일리언 커머스 편 등 총 6가지 에피소드로 구성됐다. 이날 첫 공개된 지구 청약 편을 시작으로, 각 사업 자회사의 ‘카본 투 그린(친환경 탄소감축)’ 전략 비전을 담은 영상을 SK이노베이션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지구 청약 편은 SK에너지와 SK어스온의 탄소포집 및 저장(CCS) 기술로 살기 좋은 행성이 된 지구에서의 삶을 꿈꾸는 외계인들이 주인공이다. 지구에 사는 것을 경쟁률이 치열한 청약으로 묘사함으로써 흥미를 유발했다. SK이노베이션은 다양한 온ㆍ오프라인 채널을 활용한 브랜드 캠페인으로 SK이노베이션 계열의 탄소감축 목표와 노력을 쉽고 친근하게 전달하고 있다. 지난 5월부터는 명화 패러디, 인공지능(AI)이 제
[FETV=박제성 기자] S-오일의 사내외이사 명단에 고(高)스펙 인사들이 대거 포진해 눈길을 끌고 있다. 현대차 정몽구 재단 이사장부터 유명 로펌사무소 고문, 신재생에너지 전문가, 지방국세청장 및 부은행장, 부총리 출신 등 각 분야 리더 출신들이 다양하다. 올해 1분기 기준 S-오일의 사내외이사 구성원 현황을 보면 사내이사 1명, 비상무이사 4명, 사외이사 6명, 현직 임원의 경우 54명에 달한다. 먼저 유일한 사내이사로는 현 최고경영자(CEO)인 알히즈 아지가 있다. 아지 CEO는 정유계의 거대 공룡인 아람코 아시아 사장 출신이다. 그는 사우디의 서울대로 불리는 킹파드석유광물대학교에서 화학공학을 전공했다. 그는 1996년부터 27년간 아람코에서 석유가스 생산시설 관리, 사업개발, 투자현지화, 초대형 프로젝트 관리 등 에너지 분야의 전문가로 통한다. 특히 아람코 시절 쇼와셀석유(일본 도쿄), FREP SSPC(중국 푸젠성), 벤처 캐피털 펀드(프로스페리티7) 중국법인에서 이사로 경영에 참여앴다. S-오일 관계자는 “(아지 CEO 선임배경) 샤한프로젝트(울산 대규모 석유화학단지)의 성공적 건설을 통한 석유화학 사업 확장과 포트폴리오 고도화, 2050년 탄소중
[FETV=박제성 기자] LG화학이 신성장동력 투자 재원 확보를 위한 자금 조달에 나선다. LG화학은 11일, 글로벌 투자 자금 조달 목적으로 20억 달러(약 2조6000억원) 규모의 외화 교환사채를 발행한다고 공시했다. 교환사채란 회사채의 한 종류로 발행기업이 보유한 주식(자사주 또는 타사주)으로 교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를 말한다. LG화학은 확보한 자금을 미래 성장기반 확충을 위한 시설투자와 운영자금에 주로 사용할 계획이다. LG화학은 친환경 소재, 전지소재, 글로벌 신약 등 3대 신성장동력을 중심으로 2025년까지 총 10조원의 투자 계획을 밝힌 바 있다. LG화학이 발행하는 외화 교환사채는 미 달러로 발행된다. 5년물과 7년물의 만기 구조를 가지며 만기 이자율은 5년물은 0.75~1.25%, 7년물은 1.35~1.85% 수준이다. LG화학은 자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 지분 81.84%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이번 교환사채의 교환대상은 LG에너지솔루션 보통주다. 교환가격은 LG에너지솔루션의 11일 종가 55만원을 기준으로 1주당 5년물은 25%~30%, 7년물은 30~35% 수준의 높은 프리미엄으로 발행될 예정이다. 이는 향후 LG에너지솔루션에 대
[FETV=박제성 기자] LG그룹 배터리 쌍두마차인 LG화학과 LG에너지솔루션의 올해 2분기 성적이 윤곽을 드러냈다. 결론은 LG화학과 LG에너지솔루션 모두 “참 잘했어요!”다. 특히 최근 실적을 먼저 발표한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영업이익은 6616억원으로 전년대비 212.7% 증가했다. 한마디로 펄펄 날았다. LG에너지솔루션의 모기업인 LG화학도 2분기 영업이익 소폭 상승을 점치고 있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2분기 실적 발표에서 초대박 성적표를 공개했다. 영업이익은 6616억원으로 전년대비 212.7% 증가했고, 매출은 8조7735억원으로 73% 늘었다. 매출 기준으로는 6개 분기 연속 최대치 갱신한 성적표다. 이같은 호성적 비결은 미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에 따른 첨단 제조생산 세액공제(AMPC) 효과를 톡톡히 누렸기 때문이다. AMPC 세제 효과가 고스란히 2분기 영업이익에 반영되면서 얻어낸 어닝서프라이즈급 성적이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AMPC로 인한 2분기 세제 효과는 1109억원”이라며 “이를 제외한 영업이익은 5007억원, 영업이익률은 5.7%”수준이라고 덧붙였다. 즉 APMC가 효자 노릇을 톡톡히
[FETV=박제성 기자] S-OIL(에쓰-오일)은 서울창업허브와 함께 혁신기술을 보유한 유망 스타트업을 선발해 성장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에 나선다. S-OIL은 서울시의 중소기업∙스타트업 지원기관인 서울경제진흥원이 운영하는 서울창업허브와 공동으로 스타트업 협업 프로그램(2023 S-OIL X 서울 스타트업 오픈 이노베이션)에 참여할 혁신기술 스타트업을 선발한다. 모집 분야는 ▲신에너지 ▲환경 ▲화학∙소재 ▲모빌리티 ▲기타 (스마트 플랜트, 잠재적 신규 에너지∙화학 분야 사업 등) 분야의 스타트업이다. 선발 기준은 혁신(독창성), 서비스 지속가능성, 서비스 확장성, 사업성(부가가치)이 탁월한 기업이다. 이번에 선발된 기업에는 신기술이나 아이디어의 실증을 위한 사업화 지원금, 글로벌 진출 지원금, 사무공간 지원, 언론홍보, ESG 컨설팅 등 맞춤형 혜택을 제공한다. 또 협력 파트너사의 투자 유치 검토 대상에 포함, 추가로 후속 지원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S-OIL은 최종 선발된 기업을 대상으로 직접 투자를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모집기간은 8월 31일까지로 서울창업허브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접수한다. S-OIL과 서울창업허브는 스타트업과 대기업 간 파트너십
[FETV=박제성 기자] 글로벌 배터리 제조 기업인 SK온이 국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협력사와 동반 성장에 나선다. ‘모든 이해관계자의 행복 추구’라는 그룹 핵심 경영철학에 맞춰 협력사들의 경쟁력과 행복까지 함께 추구해 나갈 예정이다. 11일 SK온은 전날 오후 서울 종로구 관훈사옥에서 제2기 SK온 동반성장 협의회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출범식에는 지동섭 SK온 사장(CEO), 진교원 SK온 사장(COO), 최영찬 SK온 경영지원총괄 사장, 김경훈 최고재무책임자(CFO) 등 SK온 경영진과 동반성장 협의회 회원사 대표들이 참석했다. 2기 협의회에는 배터리 원소재를 포함해 총 42개 주요 전략적 협력사들이 참여했다. 지난 2021년 출범했던 1기 동반성장 협의회보다 10개사가 늘었다. 2기는 2023년 6월부터 2년간 운영된다. SK온과 42개 협력사는 상호 협력을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배터리 및 소부장 사업의 성장을 도모키로 했다. SK온은 이들 협력사들과 주기적으로 실무진 분과 모임이나 심포지움을 개최하고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품질, 제조 공정 효율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 역량에 기반한 프로보노 활동을 펼친다. 프로보노는 ‘공익을
[FETV=박제성 기자] HD현대오일뱅크가 AI플랫폼인 ‘뤼튼’과 제휴해 <당신이 상상한 OOO 주유소를 그려줘>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11일 밝혔다. ‘뤼튼’은 국내 생성형 AI플랫폼으로 고객이 원하는 이미지 생성을 지원한다. ‘선박 디자인 컨셉의 주유소를 그려줘’, ‘가우디가 주유소를 설계했으면 어땠을까?’ 등을 간단히 입력하면 고객이 생각하는 미래형 주유소를 직접 그려준다. 프로모션은 오는 23일까지 2주 동안 진행된다. HD현대오일뱅크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뤼튼이 그려준 주유소 이미지를 응모하면 된다. HD현대오일뱅크 유튜브인 ‘현대오일장’ 커뮤니티 투표로 우수작을 선정한다. 우수작에 뽑힌 5명에게는 10만원 상당의 주유상품권을 지급한다. 추첨을 통해 커피 기프티콘, 주유쿠폰, 뤼튼 플러스 요금제 1개월 이용권 등 다양한 경품을 증정한다. 자세한 프로모션 내용은 HD현대오일뱅크 보너스카드앱인 ‘카&앤’에서 확인할 수 있다. HD현대오일뱅크 관계자는 “최근 모빌리티 환경의 변화에 따라 주유소도 변신을 거듭하고 있다”며 “고객들이 생성형 AI의 도움을 받아 미래 주유소 디자인을 미리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FETV=박제성 기자] GS칼텍스가 11일 주유 결제 앱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에너지플러스 앱’을 리뉴얼해 고객 편의성을 강화했다. GS칼텍스는 2021년 9월 주유소에서 간편 주문·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인 바로주유 기능을 탑재한 에너지플러스 앱을 출시했다. 현재 월간 활성 사용자(MAU) 31만 명, 가입자 수 90만 명을 기록하는 등 주유 업계 모바일 앱 중 1위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에너지플러스 앱'은 고객이 유종, 주유량 등 주유 패턴과 결제 수단을 앱에 미리 등록해 두면 주유소에서 바코드 스캔이나 핀번호 입력만으로 주유 주문과 결제, 적립이 한 번에 이뤄지는 '바로주유 서비스'가 주요 기능이다. 현재 바로주유 서비스는 전국 GS칼텍스 주유소 2430여 곳 중 1147개소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번 에너지플러스 앱 리뉴얼에는 △위젯 기능&디자인 개선 △리터 단위 주유 옵션 △현대카드 M포인트 결제 등의 신규 서비스가 포함됐다. 우선 새롭게 추가된 에너지플러스 앱 위젯 기능을 통해 고객들은 앱을 실행하지 않고도 위젯 터치 한 번으로 바로주유 바코드를 활성화시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자주 가는 주유소의 가격도 빠르게 확인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