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혁진=음식연구가] 작은 배려 & 취나물쌈밥 재작년 5월 초에 일주일 동안 제주도 여행을 했답니다. ‘나만을 위한 쉼표: 제주에서 길을 찾다’라는 테마로 올레길을 걸었습니다. 제주도 1/2을, 서귀포시 올레길 7코스에서 제주시 올레길 17코스까지 총 178.4km를 걸었네요. 도중 올레길 13코스(용수~저지올레)에서 작은 쉼터와 마주쳤네요. 마을 청년회에서 설치해 놓았던데요. 커피, 가스버너, 엽서, 우체통 등. 지친 여행자를 미소 짓게 하는 작은 배려. 이 작은 배려가 큰 힘이 됐습니다. 모르는 사람들을 위한 이런 작은 배려가 가장 큰 건강식단이 아닐까요? 취나물쌈밥 특유의 향과 쌉사름한 맛이 특징인 취나물은 국내에 60여 종이 자생하고 있으며 그 중 참취, 개미취, 각시취, 미역취, 곰취 등 24종이 식용으로 활용되고 있다네요. 참취는 재배산채 중에서 더덕, 고사리, 도라지에 이어 4번째로 재배면적이 많으며, 단백질, 칼슘, 인, 철분 등 각종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알려지면서 연중 소비가 증대되고 있다고 하네요. 참취는 칼슘, 철분, 비타민
[권혁진=음식연구가] 감성 있는 브런치 제주도 올레길 배낭여행 중 우연히 만난 모슬포 착한가게 나비정원에서의 여유와 운치. 인도네시아산 핸드드립 만델링 커피 한잔. 여행은 이런 우연의 여유가 있어 좋습니다^^ 마크로비오틱 감자오이두부샌드위치 기본재료: 감자 1개, 오이 1/2개, 슬라이스 한 당근 2줄, 두부(부침용) 1모, 데리야키소스(간장, 청주, 조청 2큰술씩), 양상추 2장, 올리브유 1큰술, 소금 후추 녹말가루 조금씩, 통밀 식빵 3장 1. 감자는 푹 쪄서 뜨거울 때 껍질을 벗긴 다음 으깬다. 2. 오이는 얇게 송송 썰어 약간의 소금에 살짝 절인 뒤 물기를 꼭 짜고, 당근은 곱게 채를 썰어 1의 감자와 함께 섞고 올리브유와 소금, 후춧가루를 넣어 간을 한다. 3. 두부는 1.5cm 두께로 썰어 녹말가루를 고루 묻혀 기름을 넉넉히 두른 팬에서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굽다가 데리야키소스를 끼얹어가며 조린다. 4. 통밀 식빵 한 장 위에 2를 얹은 다음 다른 한장으로 덮고 그위에 양상추와 3의 조린 두부를 올린 후 다시 식빵으로 덮는다. 5. 유산지나 랩으로 4를 단단하게 싸서 잠시 안정시킨 다음 먹기 좋게
[권혁진=음식연구가]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수프, 히포크라테스수프 의사였던 슈바이쩌박사가 당뇨가 심했다는데요. 히프크라테스수프를 드시고 당뇨를 고쳤다고 하네요. 현재도 수많은 의사들이 온갖 매체에 언급해서 이미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수프랍니다. 히포크라테스수프는 어떤 수프인가요?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 암을 죽이는 건강한 면역세포인 면역! 이 면역체계를 살리는 것이 미네랄이라고 하네요. 미네랄은 건강한 신진대사를 할 때 그 과정과 과정 사이를 넘겨주는 역할을 합니다. 주요요소인 탄소, 수소, 질소, 산소를 제외한 나머지 원소가 미네랄인데요. 효소, 마그네슘, 칼륨, 망간 등 우리의 인체의 대사에 깊이 관여해서 도움을 주는 중요 미네랄들은 70여종 된다네요. 히포크라테스는 BC550경 몸 안의 독을 제거하는 수프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히포크라테스 할배 정말 대단하죠?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수프는 역사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1928년 독일 의사 막스거슨 박사는 이 수프를 재발견했답니다. 거슨요법은 식이요법, 생활습관교정, 심신단련 이 3가지가 요체입니다. 제가 이 3가지 요법을
[권혁진=음식연구가] 치킨브리또 멕시코의 대표 음식 치킨브리또를 만들어 볼까요. 치킨브리또는 맛이 있으면서도 건강을 생각한답니다. 1. 닭가슴살 - 향신즙과 소금 후추에 재었다가 익힌 후 식혀서 갈아 놓는다. 2. 사과 - 작은 깍둑썰기 한다(사방 0.3cm) 3. 양파, 샐러리 - 각각 곱게 다진 후 양파는 살짝 익히고 샐러리는 곱게 다져 물기를 뺀다. 4. 두부 - 끓는 물에 데친 후에 물기를 꼭 짠다. 5. 아몬드 다진 것 1/2C(물기에 따라 조절) 6. 또띠아 쓰임대로 소스아가베시럽, 올리브유, 레몬즙(사과식초로 대응), 옐로우 머스터드소스 - 거품기로 잘 섞은 뒤, 모든 재료들을 볼에 담고 소스를 넣어 버무린다. - 그리도 또띠아에 싸서 먹기 좋게 자른 후 접시에 담아낸다. ★ 또띠아 대신 통밀식빵(구워서)을 해도 맛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