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CEO스코어]](http://www.fetv.co.kr/data/photos/20180729/art_15318727823088_2981d1.jpg)
[FETV=최순정 기자] 국내 대기업집단 계열사 내부거래의 93% 이상이 수의계약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의계약 비중이 100%인 기업도 무려 86%에 달했다.
18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공정거래위원회 지정 60개 대기업집단 중 총수일가가 있는 52개 그룹 977개 계열사의 지난해 내부거래 현황을 조사한 결과, 내부거래액 161조4318억원 중 수의계약이 151조3333억원으로 93.7%에 달했다.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 소속 기업들은 계열사 간 거래액이 50억 원 이상이거나 매출액의 5% 이상일 경우 공정위에 의무적으로 신고해야 한다.
조사대상 52개 그룹 중 19곳(36.5%)은 계열사 간 내부거래 100%가 수의계약이었다. 신세계(1조8566억원)와 중흥건설(1조8240억원)이 1조원이 넘는 규모의 거래를 모두 수의계약으로 진행했다. 반면 삼천리(26.4%)와 한진(41.3%), 한라(49.5%)는 수의계약 비중이 50% 미만이었다.
기업별로는 997개사 중 수의계약 비중이 100%인 곳이 859곳(86.2%)에 달했다.
SK에너지가 19조1485억원 규모 내부거래를 전부 수의계약으로 진행했고, 현대모비스(9조9976억원), SK인천석유화학(6조503억원), LG전자(4조3242억원), 서브원(4조2247억원), SK종합화학(3조4557억원), 삼성엔지니어링(2조6661억원), 현대오일뱅크(2조5373억원), LG화학(2조2120억원), 삼성전자(2조2045억원) 등도 동일했다.
반대로 내부거래 중 수의계약이 전무한 계열사는 997개 사 중 5.5%인 55개 사에 불과했다.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지주, CJ헬로, 삼광글라스, GS엔텍, HS애드, 롯데손해보험, 롯데캐피탈, 세아베스틸 등이 대표적이다.
내부거래 대금 결제 방식은 현금지급이 83조4801억원(51.7%)으로 전체의 절반을 넘었고, 나머지는 어음 43조1864억원(26.8%), 기타 34조7653억원(21.5%)이었다. 사업보고서상 ‘현금 및 어음·카드’ 등 결제 방식이 2개 이상 혼용된 경우는 기타로 분류했다.
현금지급 비중이 100%인 그룹은 호반건설, 한진, 하림, 금호아시아나, SM, 셀트리온, 카카오, 네이버, 동원, 넷마블, 금호석유화학, DB, 태광 등 20곳에 달했다. 반면 한솔(6.4%)과 OCI(8.8%), 현대자동차(9.4%)는 10% 미만이었다.
어음지급은 동국제강(65.5%), 두산(59.6%), LG(56.0%), 현대차(52.2%), 한라(52.1%)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