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이지혜 기자] 삼성전기는 올해 3분기 매출 2조8890억원, 영업이익 2603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회사는 IT 부문의 계절적 수요 확대와 함께 AI 관련 고부가 제품, 전장용 부품의 지속적인 성장이 실적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2조6153억원 대비 10% 증가했고, 영업이익도 2249억원에서 약 16% 늘었다. 산업·전장용 MLCC(적층세라믹캐패시터) 및 서버용 FCBGA(플립칩 볼그리드어레이) 등 고부가 제품의 공급이 확대된 결과다.
사업부문별로 보면 컴포넌트 사업부(MLCC 등)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1조3812억원이다. 삼성전기는 글로벌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보급 확대, AI 서버 및 네트워크 수요 증가 등 AI 관련 산업용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영향이다.
패키지솔루션 부문(FCBGA 등)도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한 593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삼성전기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향 대면적·고다층 서버용 FCBGA 및 메모리용 BGA 등 공급을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광학솔루션 부문(카메라 모듈)의 3분기 매출은 9146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 약 6% 증가했다. 해외 거래선향 IT용 카메라 모듈 수요는 감소했지만 전략 거래선향 2억 화소 슬림 OIS 및 폴디드줌 등 고성능 카메라 모듈 공급이 확대됐으며 전장용 카메라 모듈 라인업 확대가 매출 증가를 이끌었다.
이태곤 삼성전기 전략마케팅실 부사장은 "고용량∙고압 등 전장용 MLCC는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라인업을 강화하고, AI 서버 등 산업용 MLCC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라며 "글로벌 빅테크 고객의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고부가 제품 승인 기종을 늘리고 신규 고객사 다변화에도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거래선별 맞춤형 IT용 고성능 카메라 모듈 공급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컨퍼런스콜 질의응답 전문이다.
|
Q. 3분기 MLCC의 출하량, 재고, ASP가 전분기 대비 어떻게 변동했는지와 4분기 MLCC 시장에 대한 전망은 어떠한가.
A. 3분기 MLCC 출하량은 IT, 산업, 전장 전 응용처에서 증가했다. 재고 일수는 감소했고 ASP는 전분기와 유사했다. 4분기는 계절적 요인으로 출하량은 다소 감소하겠지만, 전장 및 서버용 공급은 견조해 ASP는 개선될 것으로 전망한다.
Q. MLCC 쇼티지(공급 부족) 전망에 대해 회사는 어떻게 보고 있으며, 내년 캐파 증설 변동을 고려했을 때 쇼티지 가능성을 어떻게 전망하고 있는가.
A. AI 서버, ADAS 등 산업·전장용 대형 고용량 제품 수요 증가로 MLCC 수급이 점점 타이트해지는 분위기이며 이러한 상황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당사는 AI 및 ADAS 등 성장 분야 중심으로 선제적인 공급 확대를 추진해 대응할 계획이다.
Q. AI 서버용 MLCC 및 FCBGA 매출이 증가하고 있는데, 올해와 내년의 관련 매출 성장 전망은 어떠한가.
A. AI 서버용 MLCC는 올해 전년 대비 큰 폭의 매출 성장이 예상되며 내년에도 고수익·고부가 제품 중심의 고성장 추세를 이어갈 것이다. FCBGA 역시 올해 AI 가속기용 제품 양산과 내년 클라우드 고객사 자체 ASIC 기판 수요 증가에 힘입어 올해보다 매출이 대폭 증가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Q. MLCC 가동률이 계속 Full에 가까워지고 산업 및 전장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당사의 캐파(생산 능력) 운영은 어떻게 계획하고 있는가.
A. 당사는 올해 증설 및 생산성 개선으로 캐파를 지속 확대했다. 2026년에도 산업 및 전장용을 중심으로 캐파를 선제적으로 확대하고 생산 거점을 다변화해 고객 수요 증가에 적기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Q. FCBGA 사업 구조가 하이엔드 중심으로 변화되는 가운데, AI 가속기 내용을 포함하여 전반적인 2026년 서버용 기판 산업 전망을 공유한다면.
A. 고성능 반도체 수요 급증에 따라 FCBGA의 고다층 대면적화 트렌드가 지속되며 제조 난이도가 높아지고 있다. 당사는 AI 가속기용 기판 공급 확대를 통해 올해 FCBGA 최대 실적을 예상하며 2026년에도 신규 고객사 확보 등을 통해 두 자릿수 이상의 매출 성장세를 지속할 것이다.
Q. 갤럭시 폴더블폰 수요 호조와 함께 휴머노이드 등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카메라 모듈 사업 대응 방향은?
A. 스마트폰은 초슬림 OIS, 고배율 광학줌 등 차별화 기술 제공 및 선행 개발을 강화할 것이다. 전장용은 ADAS 고도화 및 휴머노이드용 고정밀 센싱 카메라 수요 증가에 대응해 고신뢰성 액츄에이터 등 핵심 기술 개발과 신규 솔루션 제안을 강화할 계획이다.
A. xEV 확대 및 ADAS 보급 확산 영향으로 전장용 MLCC 시장은 지속 성장하고 있다. 당사는 고용량 고압 라인업 강화를 통해 전년도에 이어 시장 성장률을 상회하는 성장을 전망한다. 4분기에도 견조한 매출 성장이 지속될 것이다. 전장용 MLCC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만큼, 생산 능력 확대와 더불어 ADAS향 소형 고용량 및 xEV향 고압품 개발에 집중해 주요 공급 업체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다질 것이다.
A. 베트남 공장은 서버 CPU, AI 가속기 등 고부가 제품을 생산하며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당사는 패키지 기판의 초대면적화, 고다층화 추세에 따라 시장 수급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생산 거점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나갈 것이다.
Q. MLCC와 FCBGA 중심으로 업황이 점점 개선되고 있는 상황을 봤을 때 향후 실적 기대치도 높아지고 있다. 관련해서 4분기와 향후 실적 전망은 어떠한가.
A. 4분기는 계절적 영향에도 불구하고 AI 및 전장 관련 고부가 제품 공급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개선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2026년에는 MLCC 수급 타이트 지속과 FCBGA 고성장 기회 확대로, AI 서버·전장 시장 중심 매출 확대를 통해 견조한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휴머노이드 등 신규 응용 분야에서도 시장 선점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달성해 중장기 성장 기반을 구축할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