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통신


[컨콜-SK텔레콤] 김양섭 CFO "4분기 배당규모, 아직 결정된거 없어"

[FETV=신동현 기자] SK텔레콤이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4조3388억원, 영업이익 3383억원, 당기순이익 832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소폭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37.1%, 당기순이익은 76.2% 줄었다.

 

이번 실적 감소는 고객 유심 교체, 대리점 손실보상 등 일회성 비용이 반영된 영향이다. 별도 기준 실적은 매출 3조1351억원, 영업이익 2509억원, 당기순이익 369억원이다.

 

 

신사업 분야에서는 AI 부문이 성장을 견인했다. AI 데이터센터 사업은 가동률 상승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3.3% 증가한 1087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AI 통합 솔루션인 AIX 사업도 15.3% 성장한 468억원을 기록했다. 자체 AI 서비스인 ‘에이닷(A.)’은 7월 말 기준 누적 가입자 수가 1000만명을 넘었고 최근 선보인 ‘에이닷 노트’와 ‘브리핑’ 베타 서비스는 출시 1달 만에 80만명의 사용자를 확보했다.

 

SK텔레콤은 지난 6월 아마존웹서비스(AWS), SK그룹 계열사들과 함께 국내 최대 규모의 하이퍼스케일 AI 전용 데이터센터 구축 계획도 발표했다. 울산 AI 데이터센터는 2027년 가동을 목표로 하며 서울 구로 데이터센터와 합쳐 총 300MW 이상의 용량을 갖추게 될 전망이다. 회사 측은 데이터센터 가동률 확대에 따라 2030년 이후 연간 1조원 이상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SK텔레콤은 최근 발생한 사이버 침해 사고에 대응해 ‘책임과 약속’ 프로그램을 전면 시행하며 고객 보호와 정보보호 강화에 나서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고객 안심 패키지, 정보보호 강화 투자, 고객 감사 패키지 등으로 구성된다.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을 완료하고 유심 무상 교체를 제공 중이며, 비정상 인증 차단 시스템도 최고 단계로 격상해 운영 중이다.

 

사이버 침해 보상 보증 제도와 함께 모바일 보안 솔루션 ‘짐페리움(Zimperium)’을 1년간 전 고객에게 무상 제공하고 향후 5년간 7000억원 규모의 정보보호 투자를 단행해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기반의 보안 체계도 본격적으로 도입한다.

 

고객 보상 차원에서는 8월 한 달간 통신 요금 50% 감면, 연말까지 매월 데이터 50GB 제공, T멤버십 릴레이 할인 확대 등 총 5000억원 규모의 ‘고객 감사 패키지’를 운영 중이다. 해지 고객이 6개월 내 재가입할 경우 기존 멤버십 등급과 가입 연수도 복구해주는 제도도 함께 시행된다.

 

■다음은 컨퍼런스콜 질의응답 전문이다.

 

Q. 이번 사이버 침해 사고에 대한 조치 사항과 재발 방지 대책을 구체적으로 설명해달라.

 

A. 이종훈 AI Infra 전략본부장


사고 이후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을 완료하고 유심 무상 교체 및 비정상 인증 차단 시스템을 최고 수준으로 강화했다. 글로벌 최고 수준의 모바일 보안 솔루션인 Zimperium(짐페리움)을 1년간 무상 제공하고 피해 발생 시 전액 보상하는 사이버 침해 보상 보증 제도도 함께 시행 중이다. 보안 체계 재정비 차원에서 악성코드를 제거하고 주요 시스템에는 EDR(Endpoint Detection and Response) 및 NDR(Network Detection and Response) 솔루션을 적용했으며 유심 정보도 암호화를 완료했다. 향후 5년간 7000억원 규모의 정보보호 투자를 통해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기반의 다단계 보안 체계를 구축하고 법적 요건을 초과하는 개인정보 보호 및 내부 검증 체계를 실행해 나갈 계획이다.

 

Q. 사이버 침해 사고로 인한 재무적 영향과 연간 실적 전망은 어떠한가.

 

A. 김양섭 CFO


2분기에는 유심 무상 교체, 대리점 손실 보상 등으로 약 2500억원의 일회성 비용이 반영됐고 사고 여파로  가입자 수가 약 75만명 감소하면서 무선 매출이 1분기 대비 387억원 줄었다. 하반기에는 '책임과 약속' 프로그램의 일환인 통신요금 50% 감면이 본격 시행돼 매출과 영업이익 감소가 불가피하다. 이에 따라 올해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17조8000억원에서 17조원으로 하향 조정했고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하락이 예상된다. 고객 기반을 지키는 것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철저한 신뢰 회복을 통해 장기적인 기업가치를 회복하겠다는 방침이다.

 

Q. 4분기 배당 규모는 유지될 수 있는가. 주주환원 정책 방향도 궁금하다.

 

A. 김양섭 CFO


2분기 배당은 주당 830원으로 결정됐으며 4분기 배당은 연간 실적이 구체화되는 시점에 이사회 논의를 거쳐 결정될 예정이다. 사이버 침해 사고로 인한 실적 하락과 함께 주주환원 정책도 면밀히 검토 중이며 주주의 신뢰 역시 SK텔레콤이 중시하는 핵심 가치로 삼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Q. 이탈한 가입자 회복을 위한 전략은 무엇인가.

 

A. 윤재웅 마케팅전략본부장


사고 이후 약 3개월간 105만명이 MNP 아웃, 33만명이 MNP 인으로 유입됐다. 신규 모집 제한, 위약금 면제 등의 여건 속에서도 고객 이탈을 줄이기 위해 5000억원 규모의 고객 감사 패키지를 제공했고 기기변경 중심의 마케팅도 평소보다 확대 집행했다. 이탈 고객에 대해선 정량적 목표보다 보안이 강한 기업으로 재포지셔닝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회복을 유도하는 것이 핵심 전략이다. 현재는 재가입 시 멤버십 등급과 가입 연수 복원, 멤버십 할인 혜택 제공 등 실질적 인센티브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특히 단통법 폐지 이후 대리점 지원금 지급과 프로모션 자율성이 높아져 개인화된 마케팅 중심의 고객 윈백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Q. 울산 AI 데이터센터의 투자 규모 및 수익성 전망은 어떻게 되는가.

 

A. 이현우 AIDC 추진본부장


울산 AI 데이터센터는 자회사인 SK브로드밴드가 인프라 구축을 맡고, AWS(아마존웹서비스)가 GPU 등 AI 컴퓨팅 장비 투자를 담당하는 구조다. SK브로드밴드는 2025년부터 2028년까지 대부분의 투자를 집행 예정이며 구체적인 수치는 AWS와의 비밀 유지 합의에 따라 비공개다. 울산 AI 데이터센터의 예상 매출 또한 구체적인 숫자를 밝히긴 어렵지만 회사 차원에서는 2030년까지 누적 300MW 용량 확보, 연간 1조원 이상 매출 달성을 목표로 한다. 초고집적 렉 설계와 고효율 냉각 시스템 적용과 함께 구역 전기 사업자인 SK 멀티 유틸리티로부터 전력 공급망 확보, 울산 지역의 넓은 지상 부지를 활용한 공사 기간 단축 등도 울산 AI 데이터센터의 수익성을 높이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한다.

 

Q. 울산 AI 데이터센터 투자로 중장기 CAPEX에 변화가 있는가.

 

A. 김양섭 CFO


울산 AI 데이터센터 구축과 정보보호 강화에 따른 투자 증가 요인은 분명 존재하며 올해 하반기 SK브로드밴드 기준으로 CAPEX가 전년 대비 약 1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5G 전국망 구축 종료 등의 구조적 변화로 인해 SK텔레콤 전체 연결 기준 CAPEX는 안정세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Q. 국가 AI 모델 개발 사업자 선정 관련, SK텔레콤의 참여 계획과 기대는 무엇인가.

 

A. 이현우 AIDC 추진본부장


SK텔레콤은 정부의 ‘소버린 AI(주권형 AI)’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지난 4일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의 최종 5개 정예팀 중 하나로 선정됐다. 또한 지난 5월 엔비디아 GPU 인프라 공급 사업자로 선정됐고 국산 LLM ‘에이닷 X 3.2’ 오픈소스 공개과 더불어 자사 AI 서비스에 자회사 리벨리온의 AI 반도체 아톰을 테스트하는 등 다양한 실적을 내며 AI 기술 자립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AI 고속도로 구축 및 혁신 거점 육성을 목표로 한 울산 AI 데이터센터구축 역시 국가 AI 전략과 긴밀히 연결돼 있으며 SK텔레콤은 이를 통해 국가를 대표하는 AI 기업으로의 위상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