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건설·부동산


서울주택 공시가 17.75% 올라…마.용.강 등 30%이상

전국 최고가 주택 이명희 신세계 회장 한남동 자택 270억원, 60% 올라
"현실화율 작년보다 1.2%포인트 오른 53%… 서민 주름 없도록 살필 것"

[FETV=최남주 기자] 올해 전국의 22만가구의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이 9.13%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고가 단독주택이 밀집한 서울은 17.75% 상승했다. 특히 용산구와 강남구, 마포구 등은 인상폭이 30%를 넘어섰다. 시세대비 공시가 비율인 현실화율은 무려 53.0%다.

 

24일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이같은 내용의 전국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전국의 표준주택 상승률은 9.13%다.

 

전국의 표준주택 공시가 상승률은 작년 5.51%를 기록하는 등 최근 수년간 4∼5%선에 머물렀으나 이번에 9% 선을 넘겼다. 이는 2005년 표준 단독주택 가격 공시가 시작된 이후 최대 상승치다.

 

시·도별로는 서울(17.75%), 대구(9.18%), 광주(8.71%), 세종(7.62%), 제주(6.76%) 순이다. 서울의 상승폭 역시 공시가 시작된 이후 최대치로, 전국 상승률을 견인했다.

 

국토부는 고가 단독주택의 공시가격이 지금까지 지나치게 낮아서 형평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됨에 따라 올해부터는 고가 위주로 현실화율을 높였다고 전했다.

 

국토부는 15억원 초과 고가 주택은 정밀 분석을 통해 시세반영률을 끌어올렸고, 15억원 이하 중저가 주택은 시세 상승률만큼 인상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특히 국토부는 고가 단독주택의 경우 아파트 등 공동주택 만큼 시세 반영률을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작년 기준으로 공동주택의 시세반영률은 68.1%다. 이중 경남(0.69%), 충남(1.82%), 울산(2.47%), 전북(2.71%), 경북(2.91%) 등 부동산 경기가 좋지 않은 곳도 소폭 상승했다.

국토부는 전국 표준주택의 시세반영률은 작년 51.8%에서 올해 53.0%로 1.2%포인트 올렸다. 전국 250개 시·군·구별로 전국 평균 이상 오른 곳은 28곳이다. 서울 용산구(35.40%), 강남구(35.01%), 마포구(31.24%), 서초구(22.99%), 성동구(21.69%) 등은 15% 이상 상승률을 보였다.

 

용산구는 용산공원 조성사업과 한남재정비촉진구역, 주택 재개발 및 재건축 사업 등의 영향으로 주택가격이 올랐다. 강남구는 국제교류복합지구 개발사업과 SRT 역세권 개발, 재건축 사업 등으로 공시가가 상승했다.

 

서울 송파구, 종로구, 경기 성남 분당구, 서울 관악구, 성북구, 경기 과천시, 서울 광진구, 경기 안양 동안구, 광주 남구 등은 전국 평균 상승률(9.13%)을 넘어섰다. 반면 경남 거제시(-4.45%), 경남 창원 마산회원구(-4.11%), 창원 의창구(-3.97%) 창원 진해구(-3.83%), 전북 군산시(-3.69%) 순으로 내렸다.

 

이들 지역은 조선이나 해양플랜트 등 사업 부진과 아파트 미분양 등 주택시장 침체로 인해 공시가가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전국적으로 공시가격이 20억원을 초과한 주택은 478호로 작년(233호)의 2배 이상이다. 이중 455호는 서울에 있고 경기도 16호, 제주 5호, 부산과 전북에 각 1호씩 분포됐다. 9억원 초과 20억원 이하 주택은 2534호로 작년 1678호에 비해 51.0% 늘었다.

 

1주택 기준으로 종합부동산세 과세 대상인 주택은 3012호로, 작년 1911호에 비해 57.6% 증가했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주택은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의 한남동 자택으로 270억원이다. 이 회장의 한남동 자택은 대지면적 1758.9㎡ 연면적 2861.83㎡으로 공시가격이 작년 169억원에서 올해 59.7% 상승했다.

 

반면 가장 싼 주택은 전남 신안군 흑산면의 주택(대지면적 115㎡·연면적 26.4㎡)으로 158만원이다. 이명희 회장 집과 비교하면 가격 차이가 무려 1만700배에 달하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