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건설·부동산


작년 서울아파트 청약경쟁률 2배이상 '껑충'

"집값 급등속 분양가 상한제로 주변시세보다 저렴…공급 감소도 영향"
전국-서울 경쟁률 2배 차…"실수요자 중심 청약 관심속 경쟁률 둔화 전망"

[FETV=최남주 기자] 지난해 서울지역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전년보다 2배 이상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가 상한제 등의 영향으로 주변 단지보다 낮은 가격에 분양되면서 청약 쏠림 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지방의 경우엔 잇따른 부동산 대책과 경기침체로 청약시장에 찬바람만 부는 등 한랭전선을 형성했다. 이에 따라 서울과 지방간 청약경쟁률 차이는 전년보다 더 벌어져 지역 간 양극화 현상이 노골화됐다.

 

20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2018년 서울에서 일반공급된 분양단지는 6149가구, 총 청약자 수는 18만7807명으로 집계됐다. 평균 경쟁률은 30.54대 1이다.1순위 청약자 수(18만7382명)만 고려한 1순위 경쟁률 역시 30.47대 1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2017년 서울지역 평균 경쟁률 12.94대 1(1순위 경쟁률 12.86대 1)과 비교하면 2.4배 올랐다. 서울과 지방간 온도 차는 커졌다. 지난해 전국 분양은 13만2550 가구 모집에 198만9811명이 몰리며 15.01대 1(1순위 14.86대 1)을 기록했다. 전년의 전국 경쟁률 12.43대 1(1순위 12.23대 1)보다 소폭 오른 수치다.

 

하지만 2017년은 전국(12.43대 1)과 서울(12.94대 1)의 경쟁률이 엇비슷했던 것과 달리 지난해(전국 15.01대 1·서울 30.54대 1)는 두 배 이상 차이가 났다.

 

지난해 서울에서 가장 경쟁이 치열했던 단지는 8월 노원구 상계동에서 분양한 '노원꿈에그린'으로 60가구(일반공급 기준) 모집에 5천877명이 청약해 평균 97.9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은평구 수색동 'DMC SK뷰'는 청약제도가 개정된 직후인 12월 분양했는데도 150가구 모집에 1만3743명이 몰려 연간 두 번째로 높은 91.62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영등포구 당산동5가 '당산센트럴아이파크'(79.90대 1), 신길동 신길파크자이(79.63대 1), 은평구 응암동 힐스테이트녹번역(59.5대 1) 등이 뒤를 이었다. 정부는 9·13 부동산대책의 후속 조치로 무주택자의 당첨 기회를 늘리도록 개정한 청약제도를 지난해 12월 11일부터 시행했다.

 

이에 따라 1순위 자격을 맞추기가 더욱 까다로워졌지만, 청약 열기는 식지 않았다. 올해 첫 분양인 경기 하남시 '위례포레자이' 역시 1순위 청약에서 487가구 모집에 6만3472명이 신청해 지난해 1위 기록을 뛰어넘는 평균 130.33대 1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서울 아파트값이 급등한 가운데 분양단지는 주변 시세보다 수천만원에서 수억원가량 낮은 수준으로 나오면서 청약 시장에 사람들이 몰렸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하반기 부동산대책이 잇달아 나오면서 예정된 분양물량의 상당수가 이듬해로 미뤄져 공급량이 전년의 절반 이하로 떨어진 것도 경쟁률을 높이는 데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서울지역 일반공급 가구 수는 6149가구로, 전년의 1만5400가구의 39.9%에 머물렀다.

 

부동산114 김은진 리서치팀장은 "서울의 경우 기존 아파트는 급등세를 보인 반면 신규 분양시장은 분양가 상한제나 분양가 간접규제로 시세 대비 저렴하게 분양가가 책정돼 가격 경쟁력이 부각되면서 수요가 몰렸다"고 평가했다.

김 팀장은 "올해는 서울이나 서울과 가까운 택지지구로의 수요 쏠림현상이 두드러지고 그 외 지역은 미분양이 늘어나는 등 양극화가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