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6 (목)

  • 맑음동두천 -4.2℃
  • 맑음강릉 -0.6℃
  • 맑음서울 -2.2℃
  • 구름조금대전 -1.7℃
  • 구름많음대구 -1.5℃
  • 구름많음울산 -0.4℃
  • 구름많음광주 -2.2℃
  • 흐림부산 -0.6℃
  • 흐림고창 -3.5℃
  • 제주 4.2℃
  • 맑음강화 -3.3℃
  • 맑음보은 -4.0℃
  • 구름많음금산 -1.6℃
  • 구름많음강진군 1.2℃
  • 구름많음경주시 -1.0℃
  • 구름많음거제 -0.1℃
기상청 제공


통신


LG유플러스, 영업이익 8631억원... 전년 대비 13.5%↓

 

[FETV=신동현 기자] LG유플러스는 2024년 연간 매출이 전년 대비 1.8% 증가한 14조 6252억원, 서비스 매출이 11조 8434억원, 영업이익은 8631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매출 성장은 유무선 서비스의 AI 전환(AX) 본격화에 따른 고가치 가입 회선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통화 에이전트 ‘익시오(ixi-O)’와 IPTV ‘AI 미디어 에이전트’ 도입이 영향을 미쳤다. 별도 기준 서비스 매출은 10조9820억원으로 전년 대비 2.3% 증가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신규 통합 전산 시스템 구축 비용과 4분기 일회성 인건비 증가로 인해 전년 대비 13.5% 감소했다.

 

연간 설비투자(CAPEX)는 20MHz 추가 주파수 할당에 따른 기지국 구축이 마무리되면서 전년 대비 23.6% 줄어든 1조9208억 원을 기록했다.

 

마케팅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한 2조 2091억원이다.

 

모바일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1.8% 증가한 6조4275억원을 기록했다. AX(AI 전환) 도입과 MVNO 가입자 증가, 로밍 수익 확대로 인해 고가치 가입 회선이 늘어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MNO와 MVNO를 포함한 전체 무선 가입 회선 수는 2851만 5000개로 전년 대비 13.6% 증가했다.

 

스마트홈 부문은 IPTV 및 초고속 인터넷 사업의 성장으로 전년 대비 3.7% 증가한 2조506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AI 기반 개인화 서비스와 초고속 인터넷 광가입자망(FTTH) 확대가 성장을 견인했다.

 

기업 인프라 부문은 IDC(인터넷데이터센터) 사업과 전용 회선 확대에 힘입어 전년 대비 1.3% 증가한 1조7055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LG유플러스는 향후 AI 인프라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파주 AIDC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올해 배당금을 주당 650원으로 확정했다. 배당 성향은 전년 대비 11.5%포인트 증가한 54.7%로 주주 가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방침이다. 또한,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검토해 주주환원율을 순이익의 40~60% 수준으로 유지할 계획이다.

 

여명희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는 “AI 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과 사업 구조 개편에 집중할 것”이라며 “연결 기준 서비스 매출 2% 이상 성장을 달성하고 기업 가치 및 주주 이익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