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국내 주식 시장은 그야말로 요동쳤다. 롤러코스터를 타듯 오르내림을 반복했고, 각종 뉴스가 뒤섞여 정신없는 한 해였다. 최고 2900p 가까이 상승했던 코스피 지수는 지난 8월 5일에는 하루 9% 가까이 폭락하기도 했고 결국 2400선을 지키지 못하고 2024년을 마감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라는 고질적인 문제가 여실히 드러났다.
또 금융투자소득세,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밸류업 프로그램, 상법개정 등 좋은 화두가 던져졌고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개인 투자자들은 시장에 대한 불신으로 국내 증시 이탈 현상이 가속화 됐다. 2025년, 우리 주식 시장은 이대로 주저앉을 것인가, 아니면 다시 힘을 내서 도약할 수 있을까?
지난해 초, 정부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밸류업 정책을 발표했다. 기업 가치를 높이고 주주 이익을 증진하겠다는 취지였다. 자사주 매입, 배당 확대 등 여러 방안이 제시됐지만, 기업들의 참여는 일부에 그쳤다. 밸류업 지수나 ETF 같은 상품들이 출시되기도 했지만, 시장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다. 정책의 당근과 채찍 모두 적절치 못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내 증시는 정책 하나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태동적 문제로 꼽히는 기업들의 지배구조, 물적분할 등으로부터의 소액주주 보호 등 다양한 문제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 이사 충실 의무는 어디까지 봐야 하는지, 물적분할 같은 기업 구조 개편은 어떻게 봐야 할지 등 문제들이 산적해 있다.
최근 논의된 상법 개정안은 이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는 기대로 주목받고 있다. 이사의 충실 의무를 주주로 확대하고, 감사위원 분리 선출과 같은 개혁적인 제안들은 주주 권익 보호와 기업 경영 투명성을 강화하려는 시도다.
하지만, 개정안이 만능 해결책은 아니다. 기업가치 제고라는 본질에 집중해 주주 권익 보호와 함께 기업 경영 환경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기업들은 규제 강화가 경영 의사결정을 위축시키고, 주주 소송의 급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우려한다. 과거 외국 행동주의 펀드가 단기 이익을 위해 기업 경영권을 위협했던 사례가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주주 권익 보호와 기업 투명성 강화를 위한 변화가 필수적이다. 외국 투자자들이 한국 기업을 외면하는 이유 중 하나는 오너 중심의 경영 구조가 투명성과 효율성을 저해한다는 인식이기 때문이다.
2024년은 우리에게 여러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동시에 큰 숙제를 남겼다. 국내 주식시장이 투자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고 장기적인 건강한 성장을 이루어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더불어, 기업과 정부가 함께 책임의식을 가져야 한다. 올해 대한민국 증시는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을지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