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귀한으로 바이오시밀러에 강점을 가진 국내 기업에게 성장의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사진 픽사베이]](http://www.fetv.co.kr/data/photos/20241146/art_17313714287712_6cfea0.jpg)
[FETV=강성기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귀환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 측이 내세우는 주요 제약·바이오 공약인 약가 인하, 중국 의존도 줄이기 등은 한국 기업에 우호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의료비 부담이 큰 만큼 ‘약가 인하’에 대한 기조는 기존 정부와 동일하지만 바이든 정부가 제정한 법안인 ‘인플레이션 감축법’은 폐기될 거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바이든 정부는 미국 보험청이 제약사와 협상해 약가를 인하하도록 추진한 반면 트럼프는 정부가 통제하는 방식 대신 자국 내 바이오시밀러와 제네릭 육성을 주장했다. 바이든은 정부 입김을 강화한 반면 트럼프는 시장 경쟁을 촉진시킴으로써 약가 인하를 유도했다. 바이오시밀러에 강점을 가진 국내 기업에게 성장의 기회가 기대되는 대목이다.
그러나 미국은 자국 우선주의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이미 미국 시장에 진입한 셀트리온 등 일부 업체를 제외하면 신규로 미국 시장 진입 루트를 개척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와 더불어 과거 트럼프 집권 시절, 295개 성분에 대한 의약품 부족이 발생한 반면 중국은 미국 필수 의약품의 최대 생산지로 부상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트럼프는 관세와 수입 제한을 통해 모든 필수 의약품 생산을 미국에서 이루어지게 하겠다고 강조해왔다.
이로 인해 국내 CMO(위탁생산) 업계가 다소 위축될 수 있지만 국내 위탁생산은 항체 의약품 중심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그 영향은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 우세하다.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법안인 ‘생물보안법’은 연내 추진이 예상되면서 국내 기업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점쳐진다. 국내 기업의 기술력과 서비스 생태계 등이 양호해 중국 기업이 제재로 거래가 막힐 경우에 그 자리를 국내 기업이 대체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생물보안법은 미국 정부와 산하 기관의 예산을 지원받는 기업이 중국 바이오 기업과 거래하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미국 법안이다. 미국 상원과 대통령 승인 단계를 거치면 최종 확정되는데, 초당적으로 지지를 받고 있기 때문에 연내 제정될 가능성이 높다.
바이오텍 업계는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바이오업체간 인수합병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온 리나 칸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 위원장의 교체설은 우리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연방거래위원회의 위원장 교체로 인수합병 규제가 완화되면, 미국 바이오업체 간 빅딜 인수합병 및 바이오텍의 인수 등이 활발하게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우려하는 대목은 백신에 반대 입장을 견지해온 로버터 케네디 주니어가 트럼프 행정부에 입성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는 차기 트럼프 행정부의 보건기관 고위직 후보 물망에 오르내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내년 1월 전 세계 헬스케어 기업과 투자자들이 모이는 제약바이오 업계의 최대 행사인 J.P모건헬스케어컨퍼런스에서 다양한 기술 거래와 인수합병 소식이 잇따르면서 국내 업체에게 기회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