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박제성 기자] 올해 8개월간 전세계 배터리 시장규모가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K-배터리 3인방인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을 비롯해 중국 CATL, BYD 등 세계적 규모의 배터리 기업들이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확대에 힘을 쏟고 있기 때문이다.
11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8월 전 세계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사용량이 작년 대비 50% 가량 늘었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SK온·삼성SDI의 3사 합산 전세계 시장 점유율은 전년대비 소폭 줄어든 반면 배터리 사용량은 증가한 양상을 보였다. 이는 중국의 파상공세가로 인해 글로벌 점유율은 하락했지만 양국간 배터리 공급량을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SNE리서치는 해당 기간동안 글로벌 시장의 전기차 배터리 총사용량은 429기가와트시(GWh)로 집계했다. 이는 전년대비 48.9% 증가했다.
세계 톱은 중국의 CTAL이 차지했다. 중국 CATL 배터리 사용량은 전년대비 54.4% 증가한 158.3GWh로 집계됐다. 전세계 배터리 기업 중 유일하게 30% 넘는 점유율을 기록했다. CATL은 유럽, 북미를 중심으로 K-배터리와 치열한 진검승부를 펼치고 있다.
유럽과 미국의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K-배터리와 차이나 배터리사 양쪽의 손을 뻗고 있기 때문에 더욱 경쟁을 치열하게 하고 있다. 특히 CATL은 중국의 자국 보호무역주의와 더불어 테슬라 모델3·모델Y, BMW iX, 메르세데스-벤츠 EQS 등 전기차에 탑재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3사 점유율은 1% 하락한 23.4%로 집계됐다. 다만 사용량은 증가했다. 회사별로는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사용량은 58.5% 증가한 60.9GWh로 글로벌 3위를 기록했다. SK온 배터리 사용량은 16.5% 증가한 21.7GWh로 5위, 삼성SDI의 경우 32.4% 증가한 17.6GWh로 7위를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테슬라 모델3·모델Y, 폭스바겐 ID.3·4, 포드 머스탱 마하-E 등이 주요 VIP 고객이다.
SNE리서치는 “전 세계 전기차 판매 성장률이 둔화하면서 보급형 전기차 시장을 중심으로 가격 경쟁력을 갖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채택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각국 무역 장벽으로 LFP(리튬, 인산, 철) 배터리에 강세를 보이는 중국 업체들의 직접적인 시장 진출이 어려워진 상황에 국내 3사의 LFP 배터리 전략에 따른 시장 점유율 변화가 주목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