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나연지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2024년 한 해 동안의 ESG 경영 활동 및 성과를 담은 ESG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리포트에는 ▲탄소 네거티브 전략 ▲협력회사 탄소발자국 산정 가이드라인 수립 ▲대·중소기업 안전보건 상생협력 사업 참여 등 LG에너지솔루션의 다양한 ESG 경영 활동 성과가 담겼다. LG에너지솔루션은 리포트를 통해 탄소 네거티브 전략을 기반으로 재생에너지 공급 확대, 협력회사 탄소발자국 산정 가이드라인 수립 등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30년 전 사업장 RE100 달성’ 목표를 위해 지난해 국내외 사업장에 PPA(Power Purchasing Agreement)제도를 도입했다. PPA는 기업이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로부터 전력을 구매하는 장기 계약방식이다. 이를 통해 오창 에너지플랜트와 폴란드, 인도네시아 등 현재 운영중인 사업장에서 재생에너지 확산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향후 신설되는 사업장에도 PPA를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지난해 2월에는 ‘협력회사 탄소발자국 산정 가이드라인’을 수립해 배포했다. 가이드라인에는 협력회사들이 EU 배터리 규제에 부합하는 탄소발자
[FETV=나연지 기자] 롯데케미칼이 환경(E), 사회(S), 거버넌스(G) 분야의 주요 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4 ESG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27일 밝혔다. 롯데케미칼은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ESG 정보 공개를 위해,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제정한 ‘IFRS S2(기후 관련 공시 기준)’ 파일럿 보고서를 본문에 반영했다. 해당 파일럿은 자발적 공시를 기반으로, 회사 비즈니스와 관련된 기후 위험·기회 요소, 각 요인이 기업 재무에 미치는 영향 등을 상세히 다뤘다. 롯데케미칼은 앞으로도 단계적으로 정보 산출과 공개 범위를 확대해, 향후 국내외 지속가능성 공시 의무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생물다양성 측면에서도 새로운 시도가 담겼다. 롯데케미칼은 국내 8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자연자본 의존도와 영향을 평가했다. 이 과정에서 TNFD(자연관련 재무공시 태스크포스)에서 권장하는 ‘LEAP 접근법(민감지역 식별, 의존성·영향 평가, 위험·기회 분석, 대응전략 마련)’을 적용해, 핵심 자연자본 주제별 리스크와 기회를 도출했다. 롯데케미칼은 계열사인 롯데화학군 전체를 아우르는 통합 ESG 전략도 강화했다. 2022년 발표한 ‘Green Promi
[FETV=나연지 기자] S-OIL이 산업정책연구원이 주관하고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하는 ‘2025 국가서비스대상’에서 주유소 부문 8년 연속, 주유 앱(My S-OIL) 부문 3년 연속 1위에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2018년에 도입된 국가서비스대상은 다양한 분야에서 서비스 발전에 기여한 우수 기업과 기관 및 브랜드를 선정하는 행사다. S-OIL은 고객 중심의 차별화된 마케팅과 서비스를 통해 지속적으로 고객 기반을 넓히고, 맞춤형 혜택을 제공해 고객 만족도를 크게 높인 것으로 평가받았다. 캐릭터 ‘구도일’을 활용한 TV 광고, SNS를 통한 다양한 계층과의 소통, 스포츠와 문화 공연을 결합한 체험 마케팅을 펼쳐 친근한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메가커피, 이마트24 편의점, 노브러쉬 자동세차 브랜드 ‘워싱데이’ 등과의 협업을 통해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 외에도 정품 정량을 보증하는 ‘믿음가득 주유소’, 장애인 등 주유 약자를 위한 ‘주유약자 도움 서비스’, 전문가 컨설팅 서비스인 ‘YES팀(Yellow Excellent Service Team)’ 등을 운영하며 고품질 서비스 제공에 집중하고 있다. My S-OIL
[FETV=나연지 기자] GS칼텍스가 LG유플러스에 액침냉각유를 공급하며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사업 확대에 본격 나선다고 26일 밝혔다. GS칼텍스는 LG유플러스의 하이퍼스케일급 데이터센터인 평촌2센터 내 실증 데모룸에 액침냉각유를 공급하고, 액침냉각 환경에서 AI 서버 운영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실증하기 위한 협력을 시작했다. 액침냉각은 서버, 배터리 등 열이 발생하는 전자기기를 전기가 통하지 않는 비전도성 액체에 직접 담가 냉각하는 기술이다. 기존 공기냉각 방식 대비 에너지 효율이 높고, 발열량이 높은 AI 서버 냉각에 적합해 차세대 냉각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LG유플러스 데이터센터에 공급하는 GS칼텍스 액침냉각유 제품은 ‘Kixx Immersion Fluid S 30’으로, 발열량이 많아진 데이터센터에 요구되는 높은 사용 안정성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했다. 전투기 전자장비용 냉각제, 의약∙식품 생산공장용 윤활유, 화장품 원료 등에 사용되는 폴리알파올레핀(Poly-Alpha Olefin)을 주요 소재로 사용했으며, 250℃ 이상의 고인화점 액침냉각유이다. GS칼텍스 관계자는 “이번 공급 및 협력을 통해 액침냉각 솔루션을 활
[FETV=나연지 기자] 고려아연이 은 제품에 대해 글로벌 인증기관 SGS로부터 ‘100% 재활용 원료’ 인증을 받았다고 25일 밝혔다. 지난해 동(銅) 제품에 이어 두 번째로, 제련 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 생산 체계가 다시 한번 공식 인정받은 셈이다. 고려아연은 온산제련소에서 아연과 연 정광을 제련한 뒤 남은 소성 더스트와 금속 찌꺼기에서 고농도의 은을 회수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난해 총 2010톤의 은을 생산해 약 2조384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체 매출의 29.5%로 아연(31.7%)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비중이다. 특히 올해 1분기에는 은 매출이 7471억원으로 아연을 앞질렀으며, 은 가격 상승과 산업 수요 증가로 당분간 비중은 더 커질 전망이다. 이번 인증은 고려아연이 ESG 경영에 힘쓰고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회사는 최근 세계 최대 의결권 자문사 ISS로부터 ESG 전 분야 최고 점수를 받았으며, 글로벌 조달 시장에서 저탄소·재활용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흐름 속에서 경쟁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됐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제련 부산물과 폐기물의 활용 가능성을 외면하지 않고 동과 은 등 유가금속을 회수하기 위해 끊임없이 기술개발한
[FETV=나연지 기자]고려아연과 영풍 간 지배권 분쟁의 핵심 고비였던 ‘정기주총 결의 효력정지’ 가처분 항고심에서 법원이 고려아연의 손을 들어줬다. 서울고등법원 제25-3민사부는 24일 영풍이 고려아연을 상대로 제기한 가처분 신청을 기각하며, 정기주총에서 이뤄진 의결의 효력을 인정했다고 25일 밝혔다. 재판부는 고려아연과 자회사 SMH가 보유한 상호주에 의해 영풍의 의결권을 제한한 조치가 상법 제369조 제3항에 따른 적법한 경영권 방어였다고 판단했다. 또 해당 조치가 방어권 남용이거나 신의칙을 위반한 것으로 볼 수 없으며, 상호보유주식은 타사의 지배 가능성을 차단하고 경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라고 명확히 밝혔다. 영풍 측이 주장한 배임, 자본시장법·공정거래법 위반 주장도 모두 근거 부족으로 배척됐다. 앞서 1심에서도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영풍이 낸 의결권행사 허용 가처분 신청을 기각한 바 있다. 이번 항고심 기각으로 고려아연은 지난 3월 정기주총에서 의결된 ▲이사 수 상한(19인) ▲이사회 의장 사외이사 선임 ▲배당기준일 변경 등 지배구조 개선안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법적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영풍과 사모펀드 MBK파트너스가 추진해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