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연합뉴스] ](http://www.fetv.co.kr/data/photos/20230312/art_16795522984764_35da5f.jpg)
[FETV=권지현 기자] 금리 인상 등의 여파로 가계대출 차주의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년 만에 40%를 넘어섰다.
전체 차주 7명 중 1명은 원리금 상환에 소득 70% 이상을 쏟아붓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23일 공개한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10∼12월) 기준 가계대출 차주의 평균 DSR은 40.6%로 집계됐다. 가계대출 차주 평균 DSR이 40%를 넘은 것은 2018년 4분기(40.4%) 이후 4년 만이다. DSR은 소득 대비 갚아야 할 원리금의 비율을 뜻하는 지표다.
작년 4분기 새로 대출을 받은 신규차입 차주의 DSR은 17.3%로 차주 단위 DSR 규제 강화 전인 2020년 4분기(23.8%) 대비 하락했다.
다만 기존 대출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대다수 차주의 DSR은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같은 기간 33.8%에서 38.4%로 높아졌다. 가만히 있어도 매달 갚아야 하는 대출 원금과 이자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의미다.
![[자료 한국은행]](http://www.fetv.co.kr/data/photos/20230312/art_16795522986476_1c5c2e.jpg)
지난해 4분기 기준 전체 가계대출 차주의 68.1%(대출 비중 34.4%)는 DSR 40% 이하에 분포했다.
그러나 DSR이 70%를 초과하는 고DSR 차주가 7명 중 1명꼴인 전체의 15.3%(대출 비중 41.9%)였고, 100%를 초과해 소득보다 원리금 상환액이 더 많은 차주도 11명 중 1명인 8.9%(대출 비중 29.4%)로 집계됐다.
한은은 가계 전반의 부실위험은 낮지만 앞으로 채무상환 부담이 과도하고 자산처분을 통한 부채상환 여력도 부족한 고위험가구의 부실이 진행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DSR과 자산대비부채비율(DTA)가 각각 40%와 100%를 웃도는 고위험가구는 지난해 이후 이자 부담 증가, 자산 가격 하락으로 대출 연체 가능성이 더 커졌다는 지적이다. 이들 고위험가구의 평균 DSR과 DTA는 2021년 101.5%와 131.6%에서 지난 2월 현재 116.3%와 158.8%로 크게 상승했다.
고위험가구는 2월 현재 전체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5.0%, 금융부채의 9.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고위험가구의 평균 금융부채 규모는 2억5000만원으로, 비(非)고위험가구 1억원의 2.5배였다.
한국 가계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DSR은 지난해 3분기 기준 13.7%로 호주(14.9%)에 이어 주요국 중 두 번째로 높았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상승 폭은 2019년 말 대비 1.5%포인트를 기록해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