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산업


수출기업 절반 "ESG 미흡으로 계약파기 위기감 느껴"

 

[FETV=박신진 기자] 국내 수출기업의 절반 이상이 공급망 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미흡으로 원청기업으로부터 계약·수주 파기 위기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대한상공회의소는 '수출기업의 공급망 ESG 실사 대응 현황과 과제' 보고서를 발표했다. 대한상의는 지난달 20~30일 수출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52.2%가 이같이 답했다고 밝혔다.

 

유럽연합(EU)은 지난 2월 공급망 실사 기준 초안을 발표했다. 법안에는 인권, 환경, 기업 이사회의 의무, 인센티브 항목 등이 포함돼 글로벌 ESG가 주요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원청기업이 ESG 실사를 할 경우 이에 대한 대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ESG 실사 대비 수준을 묻는 항목에 '낮다'는 응답은 77.2% 였다.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22.8%에 불과했다. 실사 단계별 대응 수준을 묻는 항목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8.1%가 '대응체계 없음'이라고 답했다. '사전준비 단계'라는 응답은 27.5%였다. 

 

원청업체가 공급망 내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ESG 실사, 진단·평가, 컨설팅 경험 유무'를 조사한 결과에서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10% 수준에 그쳤다. ESG 실사를 위한 집행 가능 예산 범위를 물는 질문에는 '50만원 미만'(29.9%), '200만원 이상'(29.2%), '50만∼100만원 미만(26.3%) 등의 답변이었다. 

 

조사대상 기업들은 ESG 분야 중 가장 중요한 이슈로 환경(E) 분야에서는 '탄소배출'(47.2%)을 꼽았다. 사회(S) 분야는 '산업안전보건'(71.8%), 지배구조(G)는 '공정하고 투명한 기업문화'(66.1%)가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공급망 ESG 실사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 필요한 정책과제로는 '업종별 ESG 가이드라인 제공'(35.5%)이 가장 시급하다고 판단했다. 그 뒤를 'ESG 실사 소요 비용 지원'(23.9%), '협력사 ESG 교육 및 컨설팅 비용 지원'(19.3%), 'ESG 인프라 및 시스템 구축 금융지원'(16.3%) 등이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