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유길연 기자] IBK기업은행은 ‘IBK카드 온라인 신규 회원 연회비 캐시백 이벤트’를 실시한다. 이벤트 대상은 이달 중 기업은행 홈페이지, 모바일 뱅킹 애플리케이션 i-ONE(아이원)뱅크에서 개인신용카드를 새로 발급하고 다음달 말까지 10만원 이상 사용한 고객이다. 대상 카드는 ‘데일리위드(DailyWith)’ 카드를 포함해 쇼핑앤조이카드, 일상의 기쁨카드 등 총 9개 카드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캐시백․주유․쇼핑 등 다양한 분야에 특화된 카드들을 이벤트 대상으로 준비했다“고 말했다.
[FETV=유길연 기자] 4대 금융지주의 주가가 배당락일 후 일제히 올랐다. 지난해에는 배당락일이 지나도 하락세를 이어갔지만 올해는 반등에 성공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 신한금융지주의 주가는 전장과 비교해 0.3% 소폭 하락한 2만2650원을 기록했다. 배당락일이었던 작년 12월 29일 종가(3만2000원)와 비교하면 6거래일 동안 5.2% 상승했다. KB금융지주도 배당락 후 같은 기간 7.1% 오른 4만6500원을 기록했다. 하나금융지주(3만7700원), 우리금융지주(9910원)도 각각 10.6%, 2.3% 상승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4대 금융지주의 주식을 사들인 덕분이었다. 이에 배당락 당일에 4.4~4.8% 급락했던 주가는 빠르게 회복되는 모양새다. 작년 4대 금융지주의 주가는 배당락일 이후 일제히 하락세를 거듭했다. 2019년 배당락일 이후 같은 기간인 6거래일 동안 금융지주의 주가는 신한금융이 -5.1%, KB금융이 -4.6%, 하나금융이 -6.8% 하락했다. 우리금융은 –8.6% 내려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 배당락일은 결산법인의 배당을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날을 말한다. 올해 금융지주의 주가가 예전과 달리 배당락일 이후 상승세로 돌아선
[FETV=유길연 기자] 하나금융그룹이 기축년 새해에도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다. 하나금융은 지난달 29일 세종시에 국공립어린이집 ‘다정하나어린이집’을 개원했다. 이날 개원식에는 함영주 하나금융 부회장과 이춘희 세종시장 등 양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어린이집 개원은 2018년 5월 세종시와 국공립어린이집 건립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약 2년 반 만에 맺은 결실이다. 세종시 다정동 복합커뮤니티센터 1층에 위치해 있으며, 전체 면적 902㎡ 규모에 총 94명의 어린이를 보육할 수 있는 시설로 지어졌다. 함 부회장은 개원식에서 “하나금융은 대한민국의 심각한 저출산 문제 해결과 일하는 여성의 경력 단절 방지 및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어린이집 100호 건립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며 “영유아 자녀를 두신 가정에서 믿고 맡길 수 있는 양질의 어린이집 건립을 위한 노력은 새해에도 계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우리사회가 당면한 심각한 문제 중 하나는 저출산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지난 3분기 기준 0.84명으로 2018년(0.98명), 2019년(0.92명)에 이어 3년 연속 0명대를 유지
[FETV=유길연 기자] 지난해 12월 국내 주식시장에서 약 2조4000억원 가량의 외국인 투자금이 빠져 나갔다. 8일 한국은행의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작년 12월 중 외국인 주식 투자자금은 21억9000만달러 순유출됐다. 12월 말 원달러 환율(1086.3원)로 따지면 약 2조3790억원이 빠져나갔다는 계산이 나온다. 11월에는 7년 만에 최대 순유입액(55억2000만달러)을 기록했지만 한 달 만에 순유출로 돌아섰다. 외국인들이 작년 말 코스피가 크게 오르자 차익실현을 위해 순매도에 나선 영향으로 해석된다. 채권 시장에서는 외국인의 순유출 규모가 11월 4억5000만달러에서 12월 1억7000만달러로 감소했다. 대규모 만기 상환이 있었지만, 동시에 스와프레이트(원화조달금리)의 마이너스 폭이 커지면서 외국인의 국채 차익거래의 유인이 발생한 결과로 풀이된다. 스와프레이트가 마이너스면 달러가 귀하다는 의미로, 외국인이 달러로 원화를 바꾸면 이자를 받을 수 있다. 주식과 채권을 합한 외국인의 증권 투자자금은 23억6000만달러 순유출됐다. 작년 10월(11억5000만 달러), 11월(50억7000만달러) 순유입을 기록한 후 세 달 만에 순유출을 기록
[FETV=유길연 기자] 우리금융그룹은 그룹사 경영진들이 기업 및 주주가치를 제고하기 위해 약 7만 5000주의 우리금융지주 주식(자사주)을 매입했다고 8일 밝혔다. 우리금융은 이번 자사주 매입을 통해 지난해부터 이어져 온 코로나19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올해 새로운 도약을 기필코 이루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 우리금융은 코로나19 위기 상황 속에서도 지주사 전환 후 성사된 인수합병(M&A) 성과에 수익구조 개선을 이뤘다. 또 건전성 관리 노력 등으로 금융환경 대처 능력을 끌어올렸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이미 입증된 견조한 펀더멘탈과 건전성 관리 능력을 바탕으로 새해에는 강화된 비은행 라인업과 시너지를 활용해 실적 반전을 이룰 것”이라며 “선제적 리스크 관리와 강력한 비용 효율화를 통해 그룹 경쟁력 강화를 위해 나아가겠다”라고 말했다.
[FETV=유길연 기자] 수출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경상수지가 7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8일 한국은행의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경상수지는 89억7000만달러(약 9조7952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1년 전 같은 기간(59억7000만달러)에 비해 흑자 규모가 50.3% 증가했다. 11월까지 누적 경상수지 흑자는 639억4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4.9% 늘었다. 작년 경상수지는 5월 이후로 7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작년 11월 경상수지를 부문별로 보면, 상품 수출입 차이인 상품수지 흑자가 95억40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1억5000만달러 늘었다. 수출(470억2000만달러)은 1년 대비 1.1% 증가한 반면 수입(374억8000만달러)은 4.2% 감소했기 때문이다. 서비스수지는 17억2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다만 1년 전과 비교하면 적자 폭이 11억7000만달러 크게 줄었다. 여행수지 적자(5억달러)가 같은 기간 4억5000만달러 축소된 영향이다. 해외 출국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96% 급감했다. 본원소득수지 흑자(4억2000만달러)는 배당소득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9억7000만달러) 대비 4억2
[FETV=유길연 기자] IBK기업은행은 지난해 12월 31일 리스크관리 수준 향상을 위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신용리스크 고급내부등급법 변경 승인을 받았다고 7일 밝혔다. 고급내부등급법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의 신용리스크 위험가중자산 산출 방법 중 가장 높은 등급으로, 리스크측정요소인 부도율(PD), 부도시손실률(LGD), 부도시익스포져(EAD)를 은행이 자체적으로 추정한 값을 적용한다. 기업은행은 고급내부등급법 변경 승인을 받기 위해 약 2년간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변경승인에 따라 기업은행은 최근 부도고객의 회수율 추세와 구조조정, 외부매각 등 변화된 여신사후관리 상황, 감독 규제 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해 부도시손실률(LGD)과 부도시익스포저(EAD)를 산출한다. 변경된 내용은 작년 4분기 BIS자본비율 산출 시부터 적용한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은행의 위기관리 능력이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이번 변경승인으로 더욱 정교한 신용리스크 측정이 가능해졌다”며 “BIS자본비율의 안정성과 신뢰도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FETV=유길연 기자]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사진>이 1년 더 임기를 이어간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금융은 지난 1일 함 부회장을 경영관리 부회장으로 선임했다. 연장된 임기는 1년으로 올해 12월31일까지다. 함 부회장은 2015년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의 통합 은행의 초대 행장으로 임명됐다. 이후 2019년 3월부터 하나금융 부회장직을 역임했고, 임기는 작년 12월 말까지였다. 추가 임기를 부여받으면서 함 부회장은 올해 초 진행될 하나금융 차기 회장 선출 기간에도 임기를 이어갈 수 있게 됐다. 함 부회장은 차기 회장 유력 후보로 꼽히는 인물 가운데 하나다.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의 임기는 올해 3월로 종료된다. 이에 하나금융 회장후보추천위원회는 올해 3월 정기 주주총회 전까지 차기 회장 최종후보 1인을 뽑아야 한다. 김 회장은 실적만 놓고 보면 연임도 가능하다. 하지만 김 회장은 현재 대내외적으로 연임 의사가 없다는 뜻을 밝힌 상태다. 현재 금융권에서 차기 회장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인물은 함 부회장과 이진국 하나금융 부회장 겸 하나금융투자 대표이사 등이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정기적인 임원 인사로 함 부회장은 1년 임기가 연장됐다”고 말
[FETV=유길연 기자] 기업은행이 지난해 실적 부진을 만회를 위해 비은행 계열사와 해외법인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며 반전을 꾀하고 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최근 자회사인 IBK캐피탈에 1000억원의 자금을 유상증자 방식으로 투입했다. 기업은행은 IBK투자증권, IBK연금보험에도 같은 방식으로 각각 2000억원, 1500원을 지원했다. 유상증자로 투입된 금액은 모두 각 자회사의 사업자금으로 활용된다. 작년 기업은행이 은행의 실적 부진 속에서도 그나마 전체 순익 감소 폭을 줄일 수 있었던 데에는 비은행 자회사들의 선전이 컸다. 주력 사업인 은행 부문의 작년 3분기 누적 순익은 9764억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0% 급감했다. 반면 전체 자회사 순익은 같은 기간 32.4% 급증한 2939억원을 기록했다. 이에 기업은행 전체 순익(1조1778억원)은 13% 줄었다. 자회사 실적 증대의 1등 공신은 IBK투자다. IBK투자의 작년 3분기 누적 순익은 1년 전 같은 기간에 비해 53.8% 급증했다. 특히, 투자금융(IB) 수수료수익(446억원)이 51% 크게 늘었다. '중소기업 특화 증권사'인 IBK투자는 중소기업의 코넥스·코스닥 상장 추진,
[FETV=유길연 기자] 지난해 3분기 가계가 주식투자에 쏟아부은 돈이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동시에 금융기관으로부터 빌린 자금의 규모도 역대 최대 규모로 집계되면서 최근 주식투자 열풍은 ‘빚투(빚내서 투자한다)’의 영향 때문이라는 분석에 힘을 실었다. 7일 한국은행의 '2020년 3분기 자금순환' 통계에 따르면 가계(개인사업자 포함)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금 운용액은 30조7000억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16조6000억원)과 비교해 14조원 급증했다. 순자금 운용액은 투자·예금 등으로 굴린 자금의 규모가 대출 등 조달액보다 더 많을 때 발생한다. 조달액을 고려하지 않은 가계의 전체 자금 운용 규모는 83조8000억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 기록한 규모의 2배에 달했다. 자금 운용을 부문별로 보면, 주식(지분증권) 및 투자펀드에 투입된 돈은 22조5000억원으로 사상 최대 기록 했다. 최대치 기록을 작성한 직전 2분기(21조3000억원)을 3개월 만에 경신한 것이다. 전년 3분기(-8000억원)에 비해서는 23조원 급증한 규모다. 채권(9조7000억원)도 1년 사이 10조원 넘게 불었지만, 2분기 증가 기록(11조5000억원)에는 미치지 못했다. 예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