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증권사, 곳간 닫혔다...타개 나설까?

13곳 중 10곳, 신용공여 한도 90% 이상 소진
내부 한도 하향 조정 유력..."이자율 인상은 글쎄"

 

[FETV=이가람 기자] 빚을 내 주식에 투자하는 ‘빚투’ 현상이 심화되면서 주요 증권사의 곳간이 바닥났다. 여기에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압박이 겹치면서, 증권사들이 타개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분위기다.

 

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증권사 13곳이 개인신용공여 한도 관리 주문을 받았다. 특히 NH투자증권, KB증권, 삼성증권 등 3곳의 자체 한도 소진율이 100%에 가까웠다.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키움증권, 대신증권, 한화투자증권, 하이투자증권 등 7곳도 90%를 넘겼다. 하나투자증권과 유안타증권은 80%가량 제공해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다. 메리츠증권만이 홀로 30%대를 유지했다.

 

개인투자자들이 증권사에서 주식을 담보로 대출을 실행하는 신용거래는 지난해 3월 말 6조6000억원에서 지난달 13일 기준 25조7000억원으로 4배 가까이 치솟았다. 최근 들어서는 주가변동성이 확대되면서 반대매도금액 역시 급증하고 있다. 같은 기간 예탁증권담보대출과 신용대주의 규모도 증가했다. 이처럼 급락장세에서는 신용 거래 담보 유지 비율이 미달돼 반대매도물량이 늘어나면서 투자자 손실이 커진다. 이를 근거로 금감원은 투자자들이 신용거래의 위험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며 ‘소비자 주의 경보’를 발령했다.

 

증권사들은 고민에 빠졌다. 자본시장법상 자기자본 내에서만 신용공여가 가능하기 때문에 증권사들은 법적 한도보다 낮은 자체 기준을 세워 자금은 운용하고 있다. 신용공여 한도가 소진되면 신규 대출을 막고 기존 대출을 연장한다. 가장 빠른 방법은 증권사들이 자체 한도를 올리는 것인데, 금감원의 신용공여 한도 관리 의지가 강해 불가능한 상황이다.

 

고승범 금융위원장도 전날 자본시장 유관기관 간담회를 열고 증권사·자산운용사 관계자를 불러 모아 “역사적으로 과도한 레버리지와 자산쏠림 현상은 늘 금융 안정에 문제를 일으켰다”며 “작은 이상 징조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미리 대응하는 것이 우리의 책무”라고 강조했다.

 

자본시장 일각에서는 증권사들이 한도를 하향 조정해 대출 상환에 나설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여기에 이자율 인상이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통상 증권사들의 신용융자금리는 양도성예금증서(CD)나 기업어음(CP)의 금리를 기본으로 가산금리를 더해 책정하는데, 한국은행이 지난 8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올리면서 당위성도 생겼다.

 

복수의 증권사 관계자는 “보수적인 기준으로 한도를 규제해 둬 한도가 소진된다고 해도 위험하다고 보기는 어렵다”면서도 “금융당국의 기조에 맞춰 내부적으로 여러 가지 방안을 놓고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당장 이자율을 높일 계획은 없다”는 입장이다. 증권사들은 초저금리에도 한 달에 7%가 넘는 이자를 받아 오랫동안 고금리 논란에 휘말린 바 있다. 기준금리 인상이 몇 차례 더 단행된다면 모르겠지만, 서둘러 신용거래 이자를 올려 증권업에 대한 인식을 부정적으로 만들지 않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