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금융지주의 ‘코로나 대출’ 재연장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이자유예 비중 0.14%로 높지 않아...연장 여력 충분
경기침체 장기화 부실 급증 우려...선별적 지원 해야

 

[FETV=유길연 기자]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금융지주의 중소기업·소상공인의 대출 만기연장·이자상환 유예 프로그램의 재연장을 놓고 금융권에서 엇갈린 반응이 나오고 있다.

 

먼저 부실화의 척도로 여겨지는 이자유예 신청 규모가 크지 않아 정책을 다시 연장해도 부담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올해 경기 반등 폭이 예상보다 크지 않으면 부실규모가 일시에 급증할 수 있어 이자도 낼 수 없을 정도로 이미 부실화된 대출채권은 순차적으로 정리해야한다는 시각도 있다. 

 

18일 금융당국 및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6일 은성수 금융위원장과 5대 금융지주 회장은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원금 만기 연장 및 이자상환 유예 프로그램의 재연장에 뜻을 모았다.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지난해 2월 대출 원금 상환의 만기를 연장하고 이자 상환도 9월 말 까지 유예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장기화되자 다음 달말까지 재연장했다. 

 

이와 관련 지표만으로 보면 금융권은 만기연장 및 이자유예를 다시 연기할 여력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금융지원 정책을 시행하는데 있어 가장 큰 우려가 되는 부분은 이자유예 규모였다. 금융권에서 이자 지급 여부는 기업 부실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여겨진다. 경기침체로 현금 사정이 악화돼 이자는 낼 수 있지만 원금을 갚기 어려운 기업은 경기가 회복되면 대출 상환을 기대할 수 있어 은행 입장에서는 부담이 크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이자도 내지 못해 상환 유예를 요청한 기업은 이미 경영 상태가 한계에 직면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자유예 대출 규모가 커지면 은행이 떠 안아야할 부실 규모도 그만큼 커질 수 있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지난해 말 기준 4대 시중은행이 보유한 이자유예 신청 대출의 원금은 약 1조4600억원으로 집계된다. 이는 전체 원화대출(1048조290억원) 가운데 약 0.14%를 차지하는 정도로 규모가 크지 않다. 작년 말 4대 시중은행의 연체율(원화대출 중 원리금 상환이 1개월 이상 밀린 대출채권의 비중)의 단순산술 평균은 0.21%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자유예를 신청한 원금이 모두 연체된 대출채권으로 잡혀도 연체율은 0.40% 정도로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은 위원장이 작년 연말부터 정책의 재연장의 필요성을 언급한 이유도 이자유예 규모가 크지 않는 등 부실화될 대출 비중이 크지 않다는 점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는 지난달  '금융위원회 업무계획' 브리핑에서 ”금융권의 건전성이나 수익성을 볼 때 충분히 감내할 수준으로 판단된다"다며 "대부분 많은 차주들이 돈을 갚고 있기 때문에 큰 걱정 없이 다시 한번 만기연장을 해도 될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금융지주와 은행은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부실 규모가 커질 것을 대비해 충당금을 크게 늘렸다. 위기 상황에서 손실흡수력을 뜻하는 국제결제은행(BIS)자기자본비율도 끌어올렸다. BIS비율 개선을 위해 금융지주는 금융당국의 권고에 따라 배당도 줄인 상태다. 

 

그러나 은행권은 올해 경기가 기대만큼 회복하지 못하면 부실규모가 급격히 불어날 가능성이 있어 여전히 부담을 느끼고 있다. 특히, 이미 경영 상태가 악화된 기업의 이자 납입 시점만 늦춰주면 향후 부실이 일시에 늘어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이자를 내기 힘든 기업은 순차적으로 정리하고 상환 능력이 있는 기업을 우선으로 지원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자유예가 갚아야할 돈을 면제해주는 것이 아닌 만큼 계속 정책이 연장되면 이자 부담도 늘어나 결국 상환 능력이 더욱 떨어지게 될 것이다”라며 “이러한 ‘한계기업’의 이자 납입 시점만 늦춰주면 향후 부실이 일시에 발생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