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연합뉴스]](http://www.fetv.co.kr/data/photos/20201250/art_16074815248487_ecfea6.jpg)
[FETV=유길연 기자] 금융당국이 은행들을 향해 ‘가계대출 총량 관리’에 집중할 것을 강하게 요구하고 나섰다. 이에 은행들은 가계대출 문턱을 더욱 높일 준비를 하고 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4일 금융감독원은 부원장보 주재로 시중은행 가계대출 담당 임원(부행장급)들을 모아 '가계 대출 관리 동향 및 점검' 화상회의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금감원은 지난달 가계대출 급증은 은행들이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은 탓이라며 강하게 지적한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9월 제출한 가계대출 총량 관리 목표를 은행들이 잘 지키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11월 한 달 간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 증가규모는 9조4195억원으로 10월 증가액(7조6611억원)에 비해 2조원 많았다. 특히 신용대출이 한 달 동안 4조8495억원 불었다.
금융당국의 이러한 압박으로 은행들은 가계대출을 더욱 조일 것으로 보인다. 주요 은행들은 지난 10월 이후 신용대출 금리 인상과 한도 축소 등으로 가계대출 문턱을 높인 상황이다.
KB국민은행은 당장 이날부터 연말까지 대출상담사를 통한 주택담보·전세대출 모집을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국민은행이 대출상담사 대출을 막는 일은 이례적인 일이다. 대출 총량 관리에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우리은행은 비대면 신용대출 주력 상품인 '우리 WON하는 직장인대출' 판매를 오는 11일부터 중단한다.
한편, 은행권 일각에서는 당국의 대출 규제 압박에 대한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달 신용대출 증가액은 당국의 규제 시행을 앞두고 수요가 몰린 결과일 뿐인데 이를 은행 탓으로 돌리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