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연합뉴스]](http://www.fetv.co.kr/data/photos/20201146/art_16054200459606_b9c158.jpg)
[FETV=유길연 기자] 대한항공을 계열사로 둔 한진그룹의 아시아나항공의 인수여부가 이르면 이번주 초에 나올 전망이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는 16일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 회의(산경장)를 열어 아시아나항공 정상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 회의에서 한진그룹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인수 방법은 산업은행이 한진칼의 유상증자에 재무적 투자자로 참여해 아시아나항공 인수자금을 마련하는 것이다. 한진그룹의 지배구조의 꼭대기에 있는 한진칼은 증자로 마련된 자금을 아니사나 항공 지분 30.77%를 사들인다. 이를 통해 한진칼은 아시아나항공 인수의 부담을 덜 수 있다.
당초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아이디어는 산업은행이 제기한 것으로 전해진다. 산업은행은 지난 9월 HDC현대산업개발의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무산된 후로 아시아나항공 정상화 방안에 대해 고심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항공업 정상화를 위해서는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판단하고 있는 분위기로 전해진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정부는 항공업 정상화를 위해 애쓰고 있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아시아나항공에 3조3000억원을 투입했고 기간산업안정기금으로 2400억원을 추가로 지원했다. 대한항공도 올해 4월 두 국책은행으로부터 1조2000억원을 지원받았다.
한진칼도 16일 아시아나항공 인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이사회를 여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후 인수의향서(LOI) 제출을 시작으로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위한 본격적인 작업에 돌입한다.
다만 한진칼이 증자를 통해 산업은행의 자금을 받아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면 혈세 투입 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두 거대 항공사의 합병으로 인한 독과점 시장 형성에 대한 우려도 넘어야할 산이다. 두 항공사가 결합하면 국내 점유율 60%가 넘는 초대형 항공사가 등장한다. 이에 공정거래위원회가 시장 경쟁 제한을 이유로 기업결합을 불허하거나 가격 인상 제한·특정 사업부문 매각 등 조건을 달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