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연합뉴스]](http://www.fetv.co.kr/data/photos/20201042/art_16027331047384_ad9ab0.jpg)
[FETV=유길연 기자] 8월 은행권의 전체 여신 대비 1개월 이상 원리금이 밀린 대출채권(연체율)의 비중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38%로 한 달 전에 비해 0.02%포인트(p) 올랐다. 1년 전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0.13%p 낮은 기록으로, 코로나19 사태가 은행 부실로 이어지는 현상은 아직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8월 한 달 동안 신규연체 발생액(1조1000억원)과 연체채권 정리규모(6000억원)이 전달에 비해 각각 2000억원, 1000억원 감소했다.
차주별로 보면 8월 말 기업대출 연체율은 0.47%로 전월 말 대비 0.03%p 상승했다.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0.51%)이 같은 기간 0.03%p 올랐다. 반면 대기업대출은 7월과 같았다. 다만 8월 기업대출 연체율은 작년 동기 대비 0.18%p 하락했다. 대기업·중소기업 대출이 같은 기간 각각 0.39%p, 0.13%p 내렸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27%로 한 달 전보다 0.01%p 올랐다. 다만 1년 전보다는 0.05%p 하락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18%로 7월과 같고, 작년 8월보다는 0.05포인트 낮다. 신용대출 등 나머지 가계대출의 연체율은 0.48%로, 7월에 비해 0.03%p 올랐고, 작년 8월에 비하면 0.07%p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