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유길연 기자] 하나은행은 보이스피싱 사기를 사전에 차단하고 금융소비자 보호하기 위한 맞춤형 종합대책을 시행한다고 12일 밝혔다.
우선 영업점에서는 기존의 금융사기 예방진단표를 업그레이드해 도입한다. 고객 현금인출과 이체 시 모든 고객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던 문진 항목을 ▲카카오톡 피싱 ▲대출 빙자 ▲현금인출 유도 ▲구매대행 등 다양한 유형별로 세분화한 뒤 사례별 항목을 통해 정확한 문진이 가능하도록 했다.
또 새로운 금융사기 패턴 출현 시 문진 항목에 신속히 추가 반영하도록 했으며, 고령자에게는 별도의 보이스피싱 예방 알림을 발송한다.
비대면 대책으로는 금융사기 예방진단표를 도입하고 인증절차를 강화한다. 인터넷·모바일뱅킹, 텔레뱅킹 문진제도를 시행하고, 비대면 인증시 보이스피싱 위험이 감지된 경우에는 화상인증 등 맞춤형 추가 인증을 실시한다.
특히 휴대전화 개통과 악성 앱 설치를 이용한 보이스피싱을 예방하기 위해 '맞춤형 휴대폰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해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를 예방한다.
하나은행은 고객 분석을 통해 맞춤형 보이스피싱 예방 안내문도 발송한다.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해 대출사기, 검찰사칭 등 기존 피해 사례들을 분석한 뒤 피해가 예상되는 고객별로 맞춤형 알림을 발송한다.
백미경 하나은행 소비자보호그룹 전무는 “이번 보이스피싱 맞춤형 종합대책 시행으로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됐다”며 “앞으로도 고령자와 비대면거래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하여 고객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