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새벽 을지로입구역 승강장에서 장석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5G 다운로드 속도 측정 결과를 확인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http://www.fetv.co.kr/data/photos/20200730/art_15954849957178_a40967.jpg)
[FETV=송은정 기자]이제 서울 2·9호선을 비롯해 지하철에서도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수도권 2·9호선 지하철과 광주·대구·대전·부산 등 비수도권 지하철에서 5G 망 구축이 완료됐다고 23일 밝혔다.
이 중 수도권 2호선은 시청역과 잠실새내역, 성수∼신설동, 신도림∼까치산 구간 등 일부 구간을 제외한 순환선 전 구간에서 다음 달부터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제외된 구간은 석면 환경개선·내진보강 등 공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망 구축을 진행할 예정이다.
나머지 노선은 내년 중반기까지 순차적으로 망이 구축될 예정이라고 과기부는 설명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는 올해 1월 광주 지하철 전 노선을 시작으로 설비 구축 작업을 공동으로 벌여왔다.
5G 주파수 특성상 LTE보다 더 많은 기지국이 필요해 평균 150~200m 간격으로 설비를 설치했다.
게다가 안전 문제로 지하철 운행이 중단되는 새벽에만 작업이 가능해 하루에 2~3시간으로 작업 시간이 제한됐다.
통신업계는 올해 5G 인프라 확충을 위해 시설 조기 투자 노력을 이어가고, 유동인구 밀집 지역과 주요 고속도로, 공항, 빌딩 등에서 망 구축을 확대할 계획이다.
장석영 과기정통부 2차관은 이날 0시 50분 서울 을지로입구역을 방문해 지하철 5G 공사 현장을 점검했다.
이 자리에는 문용식 한국정보화진흥원장, 이동통신 3사의 네트워크 총괄 책임자, 서울교통공사 기술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장 차관은 5G 무선신호 처리장치를 확인한 후 선로 터널 구간의 5G 안테나 설치 공사를 점검하고, 5G 접속 여부와 다운로드 속도 등 망 품질도 측정했다.
다운로드 속도 측정 결과 LTE는 467Mbps, 5G는 1355Mbps로, 5G가 LTE 대비 3배 상당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장 차관은 "5G는 '데이터 고속도로'의 핵심 인프라로서 디지털 뉴딜의 가장 중요한 기반"이라며 "중점적 투자를 통해 지하철뿐만 아니라 국민이 5G 서비스를 체감할 수 있는 곳을 중심으로 커버리지를 확대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