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맑음동두천 18.5℃
  • 맑음강릉 24.0℃
  • 맑음서울 21.4℃
  • 맑음대전 20.3℃
  • 구름조금대구 19.4℃
  • 구름많음울산 18.7℃
  • 흐림광주 20.9℃
  • 흐림부산 21.0℃
  • 흐림고창 18.4℃
  • 흐림제주 21.8℃
  • 맑음강화 17.5℃
  • 맑음보은 16.8℃
  • 구름조금금산 17.4℃
  • 흐림강진군 17.4℃
  • 구름많음경주시 16.7℃
  • 흐림거제 16.6℃
기상청 제공



금감원, 'DLF사태' 국민·신한은행 중징계

 

[FETV=정해균 기자]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이 신탁 상품의 홍보 규정 위반과 파생상품 판매 규정 위반 등으로 금융당국의 제재를 받았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특정금전신탁 상품 홍보와 파생상품 판매 과정에서 규정을 위반한 국민은행에 기관경고 징계와 함께 25억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기관경고는 1년간 감독 당국의 인허가가 필요한 신사업 분야에 진출할 수 없는 중징계다.


국민은행 영업점 4곳에서는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100명이 넘는 고객에게 문자메시지로 특정금전신탁 상품을 홍보하다가 적발됐다. 자본시장법은 정보통신망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특정금전신탁 상품을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에게 홍보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금감원은 또 2016년 6월부터 2년간 국민은행 일부 영업점에서 파생상품 투자권유 자격이 없는 직원들이 파생상품인 ELS(주가연계증권)·ETF(상장지수펀드) 신탁의 투자를 권유한 사실도 적발했다. 2016년 6월 말 금융투자업규정 개정으로 해당 상품이 파생상품에 포함됐으나 국민은행은 작년 6월에 이르러서야 관련 내규를 개정했다. 그 사이 부적격 직원의 판매 자격 제한 조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국민은행의 한 지점에서는 지난해 2월 ELS 신탁을 투자자에게 판매하는 과정에서 적정성 원칙을 위반한 불완전 판매 사례도 있었다. '다소 높은 위험'으로 분류된 ELS 신탁이 투자성향이 '위험 중립형'인 투자자에게는 적정한 상품이 아니었는데 투자 위험을 충분히 알리지 않고 가입이 가능한 상품이라고 소개했다.

 

신한은행에는 기관주의와 과태료 30억원 부과의 제재가 내려졌다. 신한은행은 2016년 5월부터 작년 6월까지 1만여 명의 고객에게 문자메시지로 신탁 상품을 홍보해 규정을 위반했다. 또 5개 영업점에서 파생상품 투자권유 무자격자가 ELS 신탁 계약 투자를 권유하다가 적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