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박광원 기자] 탈모 인구의 증가가 꾸준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탈모로 병원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13년 20만 5000명에서 2017년 21만 5000명으로 꾸준히 늘어났으며, 여성 탈모 환자의 비율도 약 45%로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탈모는 중년 남성들의 고민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연령별 탈모치료 인구 비율을 살펴보면 20대(21.9%), 30대(26.9%), 40대(22.1%) 순으로 2030세대 탈모 치료 인구가 전체의 약 49%를 차지, 젊은 세대도 탈모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탈모 관련 산업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닐슨코리아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 탈모치료제 시장은 매년 14%씩 성장하고 있다. 또 탈모방지 샴푸 등 관련 제품군을 포함하면 시장 규모는 약 4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제약업계에서는 기존 오리지널 탈모치료제 외에도 제네릭(복제약) 등의 출시가 속속 이어지고 있고, 탈모치료기와 탈모방지 샴푸 등 탈모를 피하기 위한 대안이 다양하다.
바쁜 현대인들이 집에서 쉽고 간편하게 두피 관리를 할 수 있는 홈케어 탈모치료기도 있다. 가정용 탈모 치료기는 시간적, 경제적 여유가 없어 제대로 된 치료를 하기 어려운 이들을 위한 제품임을 소개하며 인기를 얻고 있다.
대부분의 가정용 탈모치료기는 전기 자극으로 두피에 레이저를 분사, 진피층을 자극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 세포 조직을 활성화시켜 모낭 재생 및 탈모 관리에 도움을 준다. 국내 최대 온라인 쇼핑몰인 옥션, G마켓의 올 1분기 탈모치료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70%, 224% 대폭 성장했다.
의학적인 탈모 치료는 약물이나 모발이식을 활용한다. 약물은 주로 현재 상태를 유지시키고 탈모가 더 악화되는 것을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는 반면, 모발이식은 단기간에 가장 확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탈모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보다 빠른 탈모 치료를 원한다면 모발이식을 고려해볼 수 있다.
이경구 원장은 “모발이식은 수술 후에도 관리를 계속해야 한다. 환자 스스로 절제된 생활과 의사의 처방에 따른 두피 관리가 필요하다”며 “모발 이식은 탈모 치료의 시작이라고 인식하고 수술 후 꾸준한 치료를 받아야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