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맑음동두천 4.1℃
  • 맑음강릉 9.9℃
  • 구름많음서울 3.8℃
  • 구름많음대전 7.8℃
  • 맑음대구 9.7℃
  • 맑음울산 12.0℃
  • 구름많음광주 8.4℃
  • 연무부산 13.8℃
  • 구름많음고창 8.5℃
  • 맑음제주 14.5℃
  • 구름많음강화 2.5℃
  • 구름많음보은 6.2℃
  • 구름많음금산 7.1℃
  • 구름조금강진군 10.4℃
  • 맑음경주시 11.4℃
  • 구름조금거제 13.7℃
기상청 제공


통신


LG유플러스, 6G 통신·센싱 융합 백서 발간

[FETV=신동현 기자] LG유플러스가 6G 핵심 기술로 꼽히는 통신·센싱 융합(ISAC) 기술을 주제로 ‘2025년 6G 백서’를 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2023년부터 이어온 6G 백서 시리즈의 후속판으로, 차세대 통신망이 주변 환경을 인지하는 지능형 인프라로 확장될 가능성을 다뤘다.

 

ISAC 기술은 통신망을 센서처럼 활용해 스마트폰이나 IoT 기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까지 파악하는 방식이다. 통신 신호 반사 특성을 이용해 보행자 이동, 도로 장애물, 공장 설비의 진동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통신 인프라가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취득하는 형태다.

 

 

백서에는 ISAC의 기술 구조와 구현 방식이 포함됐다. 단일 위치 센싱, 이중 위치 센싱, 다중 위치 센싱 등 센싱 구조를 설명하고, OFDM 기반 센싱 신호를 활용해 통신 성능 저하 없이 센싱 기능을 함께 구현하는 기술 동향을 소개했다.

 

LG유플러스는 ISAC를 통해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XR 등 고부가가치 분야로 서비스 확장이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기존 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서비스형 센싱(Sensing-as-a-Service)’ 모델을 마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통신사의 역할과 수익원이 다양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백서에서는 ISAC의 활용 시나리오로 센싱을 통한 통신 최적화, 통신 인프라 기반 센싱 확장, 통신과 센싱 기능 융합 서비스 등을 제시했다. 도시 교차로 보행자 위치를 10cm 이하 정밀도로 감지하거나, 스마트팩토리 내 작업자와 로봇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는 사례가 포함됐다.

 

기술적 기반으로는 통신·센싱 융합 물리채널 설계, AI 기반 자원 최적화, 차세대 RF 및 안테나 기술, 센싱 전용 아키텍처, AI 기반 예측 기술 등을 다뤘다. 엣지 기반 분산 처리 구조는 ISAC의 실시간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로 제시됐다.

 

이혜진 LG유플러스 기술전략담당은 “ISAC는 6G 시대의 게임 체인저로, 통신 네트워크가 단순한 데이터 파이프를 넘어 세상을 감지하고 이해하는 지능형 인프라로 진화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이라며 “LG유플러스는 ISAC 기술 개발과 글로벌 표준화 활동으로 6G 시대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