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2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통신


KT, 엔비디아와 AI-RAN 글로벌 허브 구축 협력

[FETV=신동현 기자] KT가 엔비디아(NVIDIA)를 비롯해 삼성전자, SK텔레콤, LG유플러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세대학교 등과 함께 ‘AI-RAN 기술 및 서비스의 공동 연구 개발과 글로벌 확산’을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AI-RAN(Artificial Intelligence Radio Access Network)은 기지국과 네트워크 서버 간 트래픽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해 최적의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는 차세대 통신망 기술이다. 이번 협약은 한국을 AI-RAN 글로벌 허브로 육성하고, AI 네트워크 기술의 상용화와 국제 표준화를 추진하기 위한 것이다.

 

 

협약에 따라 국내외 주요 기업과 연구기관은 공동 연구·개발, 실증, 글로벌 확산, 표준화 등 전 과정을 포괄하는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KT와 엔비디아를 비롯한 참여 기관들은 단계별 협력, 공동 워킹그룹 운영,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등 다양한 활동을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KT는 지난 1월 AI-RAN 얼라이언스에 가입해 AI 네이티브 네트워크 기술 연구를 본격화했다. 이 협의체에는 글로벌 주요 통신사, IT기업, 학계 등 110여 개 회원사가 참여하고 있으며, KT는 기술 검증 및 표준화 활동에 기여 중이다.

 

KT는 지난 9월 삼성전자와 공동 개발 중인 ‘사용자 맞춤형 이동성 및 연결 안정화’ 기술을 AI-RAN 얼라이언스의 워킹그룹 1 신규 연구 과제로 제안해 관련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 기술은 사용자의 이동 경로와 네트워크 환경을 인공지능으로 실시간 분석해 문제를 예측하고, 최적의 네트워크 설정을 자동으로 적용하는 방식이다. 기존 셀 단위 설정의 한계를 보완해 안정적이고 빠른 통신 품질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KT는 오는 11월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AI-RAN 얼라이언스 전체 회의에서 관련 연구 성과와 실증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지난 8월에는 국내 최초로 상용 5G 네트워크에 AI-RAN 기술을 적용해 체감 속도 품질 향상을 검증한 바 있다.

 

이와 함께 KT는 아시아 지역 통신사 협의체인 SCFA(Strategic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를 통해 일본 NTT도코모, 중국 차이나모바일 등과 협력하며 AI 네이티브 네트워크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이종식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장(전무)은 “이번 MOU와 AI-RAN 얼라이언스 활동을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 혁신을 선도하고 6G 시대를 대비한 AI 기반 차세대 통신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국내외 주요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해 AI 네트워크 기술의 상용화와 글로벌 확산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