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이건혁 기자] 전 세계적으로 갈등이 심화되는 상황을 두고 국내 방산업계에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방산업계 주가에도 긍정적인 흐름이 있을 전망인 만큼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선엽 AFW파트너스 대표는 27일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전 세계 안보질서의 재편과 2026 K방산 전망’ 기자간담회에서 “대륙 간, 국가 간 갈등 구도가 완성되고 있는 흐름이 국제적으로는 안타까운 상황이지만 우리 방산업계에는 기회”라며 “미·중 갈등으로 방산업계에서 경쟁자였던 중국과 러시아가 제외된 상황”이라 주장했다.
이 대표에 따르면 미국이 탈세계화를 추진하면서 제조업을 맡겼던 중국 등의 국가와의 평화 관계를 유지할 필요가 없어졌다. 오히려 제조업이 무너지며 발생한 미국 내의 문제 해결에 집중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런 국제적 흐름이 국내 방산업계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게다가 최근 일어난 국제전이 군사적 우위를 가진 침략자가 승리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분쟁 지역에 국경을 맞댄 국가들의 무기 체계에 대한 수요도 높아지고 있는 셈이다. 이 대표는 “1·2차 세계대전이 끝났을 때는 방산기업들이 파산하는 상황이 있었지만 현재 러우전쟁 등이 끝나가는 상황에도 방산에 대한 수요는 높아지고만 있다”고 말했다.
간담회 종료 후에 만난 이 대표는 “미국이 큰 무기들을 담당하면 우리나라가 포나 전차처럼 중간급 무기들을 판매하는 방식으로 양분된 상태”라며 “평화 시기가 찾아오며 많은 국가가 무기 개발을 소홀히 할 때도 방산업계가 발전했던 우리에게는 기회”라고 전했다.
뒤이어 발표한 장남현 한국투자증권 연구위원도 “방산업계는 전 세계적으로 공급자가 제한적인 시장”이라며 “정치적·외교적 요소에 따라 무기가 필요한 국가들이 새로운 공급자로 우리나라를 선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 방산업체들의 수출 증가 추세에 대한 우려는 과도하다”며 “동유럽으로의 수출 파이프라인도 견조한 만큼 꾸준히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연말 방산업계 주가 상승 모멘텀을 묻는 질문에 장 위원은 “3분기 실적 부진 우려로 최근 약세 흐름이 있었지만 현대로템·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방산업계 대장주 업체들이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보인다”며 “4분기 실적 기대감과 중동 국가들로의 수출이 가시화되면서 내년 초에도 성장할 것”이라 예상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최영진 한화자산운용 CMO(최고마케팅책임자)도 “미·중 패권전쟁은 우리의 삶뿐 아니라 투자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한화자산운용은 이런 패권전쟁 속에서도 다양한 투자 기회를 발굴해 소중한 투자자산을 고객들에게 안겨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