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3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철강·중공업


[2025 국감] 김기호 영풍 대표 소환, 환경오염·중대재해 리스크 살펴보니

2년여간 환경 제재 17건, 그 중 과태료 부과 9건·조업정지 2건
동일기간 노동 제재 18건, 과태료 부과 5건·부분 작업중지 3건

[FETV=이신형 기자] 김기호 영풍 대표가 오는 14일 국정감사에 출석 요구를 받으며 그간의 환경오염·중대재해 리스크가 도마 위에 오를 전망이다.

 

국내 대표 비철금속업체인 영풍이 석포제련소에서 발생한 환경오염과 중대재해로 영풍 김기호 대표가 국정감사 증인으로 소환됐다. 김기호 대표는 오는 14일 열리는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감에 출석 요구를 받은 상황이다. 사유는 영풍의 석포제련소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한 환경오염과 중대재해다. 

 

 

석포제련소는 2023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환경 관련 제재 17건을 받았다. 그중 과태료 부과는 9건, 조업정지는 2건이다. 제재 사유는 방지시설 관리 미흡, 자가측정 미이행, 허가조건 불이행 등이다. 대부분 기초 관리 부실에서 비롯된 조치로 제재가 반복되며 현장 관리 체계가 구조적으로 취약하다는 평가가 이어졌다.

 

 

조업정지 처분은 실제 생산 차질로도 이어졌다. 영풍은 2023년 이후 세차례의 조업정지 처분을 받았고 올해 초에는 58일간 가동이 중단됐다. 올해 가동 중단은 지난 2021년 물환경보전법 위반으로 내려진 행정처분이 지난해 말 대법원 상고심에서 기각되며 효력이 확정돼 집행됐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도 10일간의 조업정지 처분이 집행된 바 있다.

 

조업정지는 생산 감소로 직결돼 사업 실적에도 영향을 미쳤다. 영풍의 2024년 매출은 2조7874억원으로 전년 대비 26% 감소했다. 영업손실은 1607억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 올해 상반기 매출은 1조171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5% 줄었고 영업손실은 1504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반복된 조업정지와 환경 대응 비용이 실적에 반영된 결과로 환경 규제 대응이 단순한 행정 리스크를 넘어 재무 부담으로 전이되고 있다는 평가다.

 

 

중대재해를 비롯한 노동 관련 사고도 이어지고 있다. 2023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영풍은 노동 관련 제재 18건을 받았고 그중 과태료 부과는 5건, 부분 작업중지는 3건이었다. 특히 올해 6월에는 석포제련소에서 포크레인이 무너져 60대 노동자가 매몰돼 숨졌다. 2023년에는 비소 누출 사고로 노동자 1명이 사망했다. 또 하청 노동자가 급성 백혈병 판정을 받아 2023년과 올해 각각 1심 2심에서 산업재해로 인정된 사례도 있다. 

 

여기에 정부 규제 환경도 강화되고 있어 영풍은 이번 국감에서 각종 질타를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새정부 취임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친환경·탈탄소 정책을 강조했다. 특히 최근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로 이러한 기조가 앞으로도 강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 포스코이앤씨·SPC 등에서 발생한 중대재해 여파로 노동 안전도 정부 기조의 핵심 축으로 부상하면서 산업 전반에 대한 환경·노동 규제 압박이 확대되는 분위기다. 이러한 상황에서 영풍처럼 다수의 환경 제재와 중대재해 이력이 존재하는 사업장은 규제 강화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을 가능성이 크다.

 

이번 국감에서는 석포제련소의 환경·노동 제재 누적과 조업정지 집행 실태, 중대재해 사고 원인, 지역사회 환경 피해 등이 집중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특히 반복된 환경오염과 산업재해에 대한 대표이사의 경영 책임 인식과 대응 전략이 핵심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기호 대표는 환경오염과 산재에 대한 책임을 직접 설명해야 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