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이신형 기자] 포스코그룹이 ‘그룹 안전 특별점검회의’를 열었다고 22일 밝혔다. 회의에서는 각 사업장의 긴급 안전점검 결과를 공유하고 안전 혁신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장인화 회장이 직접 주재한 이번 회의에는 포스코 김성호 노조위원장, 10개 사업회사 대표, 그룹안전특별진단TF 외부 자문위원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포스코이앤씨 긴급 안전점검 결과 등 각 사업회사별 안전현안을 논의했으며 작업자들이 현장의 위험을 즉시 제보할 수 있도록 18일부터 시행한 ‘통합 안전제보 시스템’ 참여 확대를 독려했다. 장 회장은 “모든 작업자가 안전하게 일하고 귀가할 수 있도록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해 직원이 재해예방의 주체이자 서로의 보호자가 되는 안전 관리체제로 혁신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안전 전문회사, 산재가족돌봄재단 설립 등 안전 관리 혁신 계획을 차질 없이 조속히 수행해 달라”고 강조했다. 앞서 20일에는 포스코 본사 대회의장에서 ‘CEO와 함께하는 안전공감 토크’ 간담회가 열렸다. 현장 직원 80여명이 참여해 안전문화 저변 확대를 위한 독립적 안전기구 신설, 포상제도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장 회장은 “오늘의 안전이 내일을 지킨다. CEO인 나부
[편집자 주] 대기업과 협력업체 간 공정한 거래와 상생은 산업 전반의 경쟁력과 직결된다. 최근 포스코이앤씨에서 연이어 발생한 산재로 협력업체 안전 관리를 비롯한 거래 전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FETV가 하도급법 공시를 통해 산업계 전반의 하도급 대금 결제 실태를 짚어봤다. [FETV=이신형 기자] 국내 대표 정유 4사 중 GS칼텍스와 SK에너지가 하도급(협력업체) 대금을 가장 신속하게 지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S-oil과 현대오일뱅크는 11~30일의 중기 지급이 과반을 차지하며 기업별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정유 4사는 모두 하도급 대금을 100% 현금으로 지급하며 대부분 30일 이내에 결제한다. 이로 인해 산업 내 대표적인 신속·현금 지급 업종으로 평가된다. 정유업은 24시간 멈추지 않는 연속공정 구조를 갖고 있어 정기보수를 통한 안전 확보가 필수적이고 협력사가 자금난에 빠질 경우 생산 차질과 사고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산업적 특성이 정유사들의 높은 현금 지급 비율로 이어졌다고 분석한다. GS칼텍스는 2025년 상반기 현금 지급의 81.5%를 10일 이내 단기 결제했다. 2024년 상반기 단기 지급 비중이 75.
[편집자 주] 대기업과 협력업체 간 공정한 거래와 상생은 산업 전반의 경쟁력과 직결된다. 최근 포스코이앤씨에서 연이어 발생한 산재로 협력업체 안전 관리를 비롯한 거래 전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FETV가 하도급법 공시를 통해 산업계 전반의 하도급 대금 결제 실태를 짚어봤다. [FETV=나연지 기자] 포스코그룹 상장사들의 2025년 상반기 하도급 대금 지급 현황이 공개됐다. 5개 주요 계열사 모두 법정 기한인 60일 이내 지급 의무를 준수했지만, 현금 결제 비중과 지급 속도에서는 극명한 온도차가 드러났다. 특히 포스코퓨처엠은 현금 결제율이 64.7%에 그쳐 그룹 내 유일하게 70%를 밑돌았고, 지급 시기도 15일 초과~30일 이하 구간에 64.65%가 몰려 협력사의 단기 유동성 확보 부담이 크다는 지적을 받았다. 반면 포스코DX와 포스코엠텍은 각각 지급액 1886억원, 518억원에서 현금 결제율이 각각 99.8%, 95.3%를 기록하며, 15일 이내 지급 비중이 100%, 95% 이상을 차지해 신속 결제 관행을 정착시킨 것으로 평가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과 포스코스틸리온은 전액 현금 결제를 유지해 안정성이 돋보였지만, 지급 속도에서는 인터내셔
[FETV=이신형 기자] 고려아연이 국내 최고 권위의 한국경영학회 ‘혁신경영대상’을 수상했다고 21일 밝혔다. 한국경영학회는 개인회원 1만여명, 기관회원 20여개사가 가입한 학술단체로 국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영 분야 학회다. 또한 한국경영학회가 지난 2015년에 제정하고 주관하는 ‘혁신경영대상’은 학계와 산업계에서 권위와 신뢰성을 인정받고 있다.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 유에코(UECO)에서 열린 한국경영학회 주관 제27회 융합학술대회 시상식에는 양희동 한국경영학회장, 백순흠 고려아연 사장, 이준호 덕산그룹 명예회장, 권명호 한국동서발전 사장, 박종규 ㈜KSS해운 고문, 한국경영학회 관계자 등 400여명이 참석했다. 고려아연은 ▲전 세계 유일 아연-연-동 통합공정 개발 ▲국가핵심기술 보유 ▲ESG선도기업 ▲지속적인 미래 먹거리 발굴 노력 등의 성과를 인정받았다. 고려아연은 공정 개선 노력으로 통합공정을 도입해 원료에서 목적금속 회수 후 남은 잔재에서도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또 고순도 아연 제련 기술인 헤마타이트 공법이나 하이니켈 전구체 제조기술과 같은 국가핵심기술도 보유하고 있다. 최윤범 회장 취임 이후 적극적인 신사업 추진과 사업 포트
[편집자 주] 대기업과 협력업체 간 공정한 거래와 상생은 산업 전반의 경쟁력과 직결된다. 최근 포스코이앤씨에서 연이어 발생한 산재로 협력업체 안전 관리를 비롯한 거래 전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FETV가 하도급법 공시를 통해 산업계 전반의 하도급 대금 결제 실태를 짚어봤다. [FETV=이신형 기자] 포스코는 협력업체에 전액 현금 지급과 10일 이내 신속 결제를 유지해 모범적인 모습을 보였다. 반면 현대제철은 현금 결제 비중이 가장 낮고 지급 기간도 상대적으로 길어 가장 아쉽다는 평가다. 국내 대표 철강 3사(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가 최근 하도급법 대금 지급 관련 정보를 공시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하도급법 제13조와 제13조의3에 따라 대기업이 협력업체에 대금을 어떻게 지급했는지 반기마다 공시하도록 하고 있다. 공시 항목은 ▲지급수단별 지급금액 ▲지급기간별 지급금액 ▲분쟁조정기구 운영 여부로 세가지다. 제도의 취지는 협력업체가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대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분쟁 발생 시 해결 절차를 보장하는 데 있다. 포스코는 2023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모든 대금을 100% 현금으로 지급했다. 지급 기간 역시 전액을 10일 이내에
[FETV=이신형 기자] HD한국조선해양이 두산에너빌리티와 두산비나 주식 매매계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약 2900억원 규모의 이번 거래는 HD한국조선해양이 두산에너빌리티가 보유하고 있는 두산비나 주식 전량을 인수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두산비나는 베트남 중부 다낭에서 남쪽으로 120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지난 2006년 설립돼 화력발전 보일러, 항만 크레인, LNG 플랜트 모듈을 생산해왔다. HD한국조선해양은 기존 두산비나에서 영위하던 사업을 지속 유지하는 한편 이곳을 독립형 탱크 제작 기지 및 아시아 지역 내 항만 크레인 사업을 위한 거점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독립형 탱크는 LNG추진선·LPG운반선·암모니아운반선·액화이산화탄소운반선 등 친환경 선박의 핵심 기자재로서 최근 IMO 환경 규제 강화 등에 따라 그 수요가 지속 증가하는 추세다. HD한국조선해양 관계자는 “이번 거래는 양사의 이해관계가 충족한 가운데 정부의 협조와 지원이 뒷받침돼 이뤄질 수 있었다”며 “친환경 기자재 생산 능력이 확충된 만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친환경 선박 라인업을 확대해 수익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