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이신형 기자] 국내 철강업계가 중국발 공급과잉 여파로 실적 부진에 빠진 가운데 정부와 국회가 추진 중인 ‘K-스틸법’과 반덤핑 관세 등이 업황 반전의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철강 3사의 실적은 대체로 부진했다. 포스코는 글로벌 판매량 증가에 힘입어 매출 22조3469억원, 영업이익 1조1203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 대비 각각 0.3%, 31.3% 유일하게 증가했다. 포스코는 "글로벌 철강수요 부진 속에서도 원가 관리 강화와 판매 채널 다양화로 해외 철강 부문 영업이익이 개선됐다"고 2분기 실적발표에서 설명했다.
반면 현대제철은 매출 11조5090억원, 영업이익 827억원으로 전년 대비 4.0%, 46.2% 감소했고 동국제강도 매출 1조6192억원, 영업이익 341억원으로 전년 대비 13.3%, 63.3% 줄었다. 특히 현대제철은 2분기 IR에서 “저가 수입산 유입과 공급과잉으로 제품가격이 보합세”라고 밝혀 시장 상황의 어려움을 드러냈다.
![올해 상반기 기준 철강 3社 실적 추이 [자료 각사 반기보고서]](http://www.fetv.co.kr/data/photos/20250940/art_17592102897136_31cf0a.png?iqs=0.13714899248006818)
철강 실적 부진의 근본 원인은 중국산 저가 철 공급 확대와 연계 산업 부진이다. 업계에 따르면 중국의 7월 철강 수출은 984만톤으로 전년동기 대비 11.4% 증가했고 상반기 누적 수출도 6798만톤에 달했다. 중국산 열연 수출가격은 일본 대비 톤당 70달러 낮은 수준을 유지하며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다. 주요 수입국이 반덤핑 관세를 강화하자 중국 업체들은 수출 전략을 전환해 물량 공세를 이어갔다.
또 자동차와 건설 등 철강을 주로 사용하는 전방 제조업 업황이 부진했던 점도 실적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중국 경기 침체가 제조업 전반의 수요 위축으로 이어졌고 이는 철강 수요 감소로 직결됐다. 실제로 자동차와 건설 실적은 상반기 둔화 흐름을 보였다. 특히 동국제강은 2분기 실적발표에서 "건설부진 및 수요 감소에 따라 제품 약세를 보였다“고 언급하며 연계 산업 부진이 실적에 영향을 미쳤음을 설명했다.
이러한 과잉 생산은 수입국을 넘어 중국 내에서도 부작용을 낳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증권사 리서치에 따르면 중국 내에서도 8월 중순부터 9월 초까지 고강도 감산 조치가 시행되며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는 분위기다. 상반기 중국 철강사의 영업이익률은 1.97%로 산업 내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다.
국내 정부도 대응에 나섰다. 6월부터 중국과 일본산 열연에 대해 반덤핑 예비판정을 내리고 관세 부과를 시작했다. 하나증권 리서치에 따르면 무역위원회는 일본 JFE에 33.57%, 일본제철에 31.58%, 중국 바오스틸에 29.89%의 예비 관세율을 확정했으며 약 2개월 내 잠정관세 부과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업계는 관세 부과가 본격화될 경우 중국산 수입재가 연간 296만톤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8월 4일 여·야 의원 106명이 발의한 'K-스틸법(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녹색철강기술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 입법 예고 [이미지 국회입법예고 페이지 캡쳐]](http://www.fetv.co.kr/data/photos/20250940/art_17592109303973_832ba0.png?iqs=0.3598748236339224)
이와 함께 국회에 계류 중인 K-스틸법(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녹색철강기술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K-스틸법은 대통령 직속 철강산업특별위원회 설치, 녹색철강특구 지정, 세제·재정 지원 등을 통해 산업 경쟁력 회복을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여야 의원 106명이 공동 발의했고 여·야당이 모두 지난 8월 당론으로 채택하면서 조기 통과 가능성도 높아졌다.
결론적으로 중국의 과잉 공급이 국내 철강 가격 하락과 수익성 악화로 직결됐고 이는 중국 내 공급조절과 구조조정 움직임으로까지 이어졌다. 여기에 전방산업의 부진까지 겹치며 철강 수요 및 가격 회복세가 더디게 나타나는 상황으로 철강 업계의 부진이 지속된 것이다.
증권 업계는 단기적으로는 반덤핑 적용 과정과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가격 반등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하반기 관세 부과와 K-스틸법 등 여러 행정적 조치가 이뤄질 경우 수입재 감소, 내수 회복, 산업 구조 개편, 구조조정 효과가 동시에 나타나 철강업황 반등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