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두나무, UDC 2025 성료…"K-미래 금융 청사진 제시"

[FETV=박민석 기자] 두나무가 ‘업비트 D 컨퍼런스(UDC) 2025’를 통해 디지털자산 거래소를 넘어 글로벌 금융 인프라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자체 블록체인 ‘기와체인’과 지갑 서비스 ‘기와월렛’을 공개하며 웹3 기반 금융 생태계 확장에 나설 계획이다.

 

10일 두나무에 따르면, 전일 블록체인 컨퍼런스 ‘UDC’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블록체인, 산업의 중심으로(Blockchain, to the Mainstream)’를 주제로 열린 제8회 UDC에는 59명의 연사와 1200명이 넘는 참관객이 자리했다. 온라인으로 중계된 키노트 영상 조회수는 23만회를 기록했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오프닝 스테이지에서 “스테이블코인이 금융과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며 “스테이블코인 확산과 함께 지급결제, 자산관리, 자본시장 등 금융 서비스가 웹3 기반으로 재편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제는 돈이 아니라 신뢰를 설계하는 시대”라며 “두나무는 신뢰 위에 미래 금융 인프라를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두나무가 공개한 기와체인과 기와월렛은 ‘Global Infrastructure for Web3 Access’의 약자로, 겹겹이 쌓이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인프라를 의미한다.

 

오 대표는 “한국에서 시작해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금융 무대에 진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왔다”며 “두나무가 K-미래 금융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행사에서는 전통 금융기업의 디지털자산 진출 전략, 실물자산 토큰화(RWA) 확대, 디지털자산 규제 정비 필요성 등 굵직한 의제가 집중 논의됐다.

 

UDC에서 특별 대담에 나선 에릭 트럼프 트럼프오거니제이션 부사장은 “정부와 전통 금융의 가상자산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며 “주저하는 국가는 시장에서 뒤처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FIT21 법안’을 설계한 패트릭 맥헨리 전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장 역시 “디지털자산은 이미 주류”라며 “소비자 보호와 혁신은 상충하지 않고 상호 보완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UDC에는 이더리움재단, 테더, 리플랩스, 솔라나재단, 팍소스, 코인마켓캡 등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 관계자들이 연사로 참여해 산업의 미래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공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