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박민석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금융투자업계 최고경영자(CEO)들과 첫 상견례 자리에서 투자자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삼겠다는 원칙을 재차 강조했다.
8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간담회에는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 및 증권사·자산운용사 CEO 26명과 금감원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 원장은 모두발언에서 “금융투자회사는 투자자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삼아야 한다”며 “임직원 스스로 이해하지 못하거나 가족에게 권하기 어려운 상품은 판매하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8일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금융투자협회에서 개최된 '금융투자회사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FETV]](http://www.fetv.co.kr/data/photos/20250937/art_17572950053602_7710db.jpg?iqs=0.7916277843413396)
특히 상품 설계부터 판매·운용까지 전 과정에서 CEO가 ‘사전 예방적 투자자 보호 문화’를 주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CEO 스스로 내부통제 책임자라는 점을 무겁게 인식하고, 내부통제 부서에 실질적 권한과 독립성을 보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이 원장은 투자자 보호와 함께 ▲ 퇴직연금 신뢰 제고 ▲모험자본 공급 확대 등 구체적 과제도 제시하며 업계의 적극적 역할을 당부했다.
그는 퇴직연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가입자 신뢰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이 원장은 “다층 연금체계에서 퇴직연금은 준(準) 공적연금으로 자리 잡는 것이 세계적인 흐름”이라며 “대표적 라이프사이클 상품인 타깃데이트펀드(TDF)를 중심으로 장기적인 수익률 제고가 가능하도록, 상품 설계와 판매 등 전 과정에서 가입자 중심의 혁신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 자본시장 성장과 발전을 위해 퇴직연금의 역할은 매우 크다”며 “금융감독원도 퇴직연금 활성화를 위해 위험자산 투자 한도(70%)의 단계적 확대 등 제도적 지원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모험자본 공급 역할도 강조했다. 이 원장은 “그간 업계가 부동산 PF와 대체투자 등 손쉬운 수익원에 치중해 온 것은 사실”이라며 “이제는 혁신·벤처기업 등 미래 성장산업을 적극 발굴하고, 과감하게 모험자본을 공급하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모험자본 공급은 금융투자회사의 본연의 책무이며 정책 지원이 있을 때만 고려하는 조건부 선택이 아니다”라고 못 박았다.
간담회에 참석한 업계 CEO들은 금융투자자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AI 등 미래 산업으로 자금이 원활히 흘러갈 수 있도록 모험자본 공급 확대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아울러 증권사의 법인지급결제 허용, 신기술사업금융업 추가 등록, 중기특화 증권사 제도 실효성 제고 등 기업 활동 지원을 위한 제도 개선에도 금융당국의 관심을 요청했다. 이와 함께 기관투자자의 역할 강화와 펀드를 통한 장기투자 활성화를 위해 제도적·세제적 지원도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끝으로 이 원장은 "금융투자회사가 지배구조 개선과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선도해 자본시장 선진화를 견인하길 바란다"며 "자산운용사가 투자자 이익 보호를 위한 수탁자 책임 이행을 통해 투명한 기업지배구조 확립에도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