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자동차


[하도급대금 결제 점검-현대차그룹] 완성차는 모범, 철강·물류는 구조적 후행

현대차·기아, 안정적…철강·중장비 상대적 아쉬움
‘현금·속도’ 격차… 계열사별 온도차 뚜렷

[편집자 주] 대기업과 협력업체 간 공정한 거래와 상생은 산업 전반의 경쟁력과 직결된다. 최근 포스코이앤씨에서 연이어 발생한 산재로 협력업체 안전 관리를 비롯한 거래 전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FETV가 하도급법 공시를 통해 산업계 전반의 하도급 대금 결제 실태를 짚어봤다.

 

[FETV=나연지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상장사들의 하도급 대금 지급 성적표가 공개됐다. 전반적으로 법정 기한은 지켰지만, 현금 결제 비중과 지급 기일 준수율은 계열사마다 온도차가 컸다. 완성차와 일부 부품사는 10일 내 지급 원칙을 충실히 지키고 있었지만, 철강·물류 계열은 비교적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FETV는 현대자동차그룹 내 상장사 12개사 중 금융·광고 계열사 2곳(현대차증권, 현대이노션)을 제외한 10개사(현대자동차, 기아, 현대모비스, 현대위아, 현대로템, 현대제철, 현대글로비스, 현대오토에버, 현대건설, 현대비앤지스틸 )의 2025년 상반기 하도급 대금 결제 공시를 분석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하도급 대금을 전액 현금성 수단으로 10일 이내 지급하는 구조를 유지했다. 양사의 10일 이내 지급 비율은 각각 74.23%, 71.77%에 달하며, 나머지도 대부분 15일 이내 지급하는 구조였다.

 

현대모비스도 현금 결제율 99.96%를 기록했다. 10일 이내 지급은 44.12%에 그쳤지만, 10~15일 구간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현대위아는 97.86%를 10일 이내에 지급했다. 공작기계·부품 등 완성차 생산라인과 직결되는 사업 특성상 납기 준수가 절대적이다.

 

이들 완성차·주력부품 계열은 ‘현금+단기 지급’ 원칙을 충실히 지키며 협력사와의 신뢰를 강화하는 구조로 평가된다.

 

반면 철강·중장비·물류 계열은 지급 지연 구조가 드러났다. 협력사의 단기 유동성 확보 관점에서 보면 ‘속도’와 ‘현금 비중’ 모두 아쉬운 구간이 적지 않다.

 

대표적으로 현대제철은 대금 지급 시점이 대부분 15~30일 구간에 몰려 있고, 현금으로 지급하는 비중도 상대적으로 낮았다. 장치산업 중심의 장기계약 구조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지만, 협력업체 입장에서는 자금 운용에 부담이 따를 수밖에 없다. ‘늦고 현금이 적다’는 이중 리스크가 동시에 존재하는 셈이다.

 

 

현대로템은 대금을 빠르게 지급하는 편이지만, 실제 지급 수단은 상생결제 중심으로 이뤄진다. 

 

현대글로비스는 현금 결제율은 높은 수준이지만, 지급 속도는 빠르지 않다. 대금 지급 시점이 10일 이내에 몰려 있는 완성차 계열과 달리, 글로비스는 10~30일에 걸쳐 대금이 분산 지급된다. 물류업의 정산 주기가 상대적으로 긴 업종 특성이 반영된 결과지만, 협력사 체감도는 낮을 수밖에 없다.

 

현대오토에버는 IT·SI 사업 특성상 대금 지급이 프로젝트 단위로 이뤄지며, 10~15일 구간에 지급이 집중됐다. 시스템 구축과 용역 계약이 중심인 만큼 제조업에 비해 다소 지연된 구조다.

 

현대건설은 상대적으로 우수한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대금의 대부분을 10일 이내에 현금으로 지급하고 있으며, 결제 지연 비중도 낮은 편이다. 다만 장기 프로젝트 특성상 일부 대금은 30일 이상으로 넘어가는 경우도 있었다.

 

현대비앤지스틸은 전액을 현금으로 지급하고 있으나, 지급 시점은 고르게 분산돼 있다. 10일 이내 지급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아 협력사 입장에서는 유동성 확보에 있어 즉각적인 효과를 체감하기 어렵다.

 

결과적으로 철강·중장비·물류 계열은 표면적으로는 ‘100% 결제’라는 외형을 갖췄지만, 실제 지급 구조를 들여다보면 계열사마다 편차가 컸다.

 

한편 업계에서는 ‘100% 준수율’이라는 성적표만으로는 협력사의 자금 운용 부담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특히 철강·중장비 계열의 경우 납품 단가 인하 압박과 맞물려 하도급 구조의 부담이 협력사로 전가되는 구조적 한계가 여전하다.

 

업계 관계자는 “하도급 정책의 신뢰성을 높이려면 지급 속도뿐 아니라 결제 수단의 안정성과 정보 공개의 투명성까지 전방위 개선이 필요하다”며 “겉으로는 100% 준수지만 실제 협력사 체감도는 계열사별로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