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아시아나항공]](http://www.fetv.co.kr/data/photos/20250209/art_17404697884192_a78539.jpg)
[FETV=양대규 기자] 아시아나항공이 에어인천에 화물기사업을 매각한다.
아시아나항공은 25일(화) 강서구 오쇠동 본사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찬성률 99.93%로 에어인천과의 화물기사업 분할합병 계약 안건을 원안대로 가결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 1월 16일 에어인천과 화물기사업 분할합병 계약을 체결했다. 매각 대금은 4700억원이다. 이번 안건은 대한항공과의 기업결합에 대한 유럽 집행위원회와 일본 공정거래위원회의 승인 조건으로, 신주인수거래가 종결됨에 따라 이루어졌다.
유럽 집행위원회는 작년 2월 기업결합을 조건부로 승인하면서 대한항공의 유럽 여객 노선(파리·로마·프랑크푸르트·바르셀로나)의 양도와 아시아나항공 화물기사업 매각을 요구했다. 이에 유럽 여객 노선은 티웨이항공에 양도되고, 화물기사업은 에어인천으로 매각이 결정됐다. 이번 임시주총 가결을 통해 아시아나항공 화물기사업 분할합병의 형식적 절차는 마무리된다.
아시아나항공은 오는 6월 10일까지 화물기사업부의 에어인천 물적, 인적 이관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관 대상은 보잉747 화물기 10대와 보잉 767 화물기 1대 총 11대의 화물기와 약 800명의 직원이다.
아시아나항공은 2023년 말부터 직원들을 대상으로 전사 타운홀 미팅, 직종별 간담회를 통해 화물사업 매각 배경과 진행상황, 향후 절차 등에 대한 설명을 순차적으로 진행해 왔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이전 대상 직원들에게 설명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잔존하는 여객운송사업 역량을 보다 전문적으로 강화하고, 매각 교부금을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하여 경영 효율성을 증대하겠다”며 “또한 에어인천 이관 대상 직원들과 지속적인 미팅을 통해 화물기사업부 이전이 원활하게 마무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부는 1994년 11월 서울 – LA 노선에 첫 화물기 취항을 시작하여 현재 총 12대의 화물기를 운영 중이다.
2000년대에는 LCD TV 및 스마트폰, 반도체 등 고부가가치 수요에 대응하여 우리나라 수출 증대에 일조했다. 이후 외규장각 도서 반환과 남방큰돌고래 제주 앞바다 방류 등 축적된 노하우가 필요한 특수화물 운송 능력 또한 갖추는 등 30여년간 방대한 항공 화물사업 인프라를 구축해 왔다.
특히 코로나 펜데믹 시기에는 유휴 여객기를 개조하여 위생보호장비 및 진단키트 수요에 대응하고 백신을 수송하는 등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 당시 여객사업 매출이 전무하다시피 했던 아시아나항공의 이익 대부분을 책임지며 버팀목 역할을 했다.
2024년 화물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약 7% 증가한 1조7195억원을 기록했으며, 연간 화물 수송 실적은 83만1278톤이다.
![[자료 아시아나항공]](http://www.fetv.co.kr/data/photos/20250209/art_17404697878801_67dec2.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