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1.6℃
  • 맑음강릉 4.7℃
  • 맑음서울 5.5℃
  • 맑음대전 3.6℃
  • 맑음대구 2.6℃
  • 구름많음울산 4.8℃
  • 맑음광주 4.6℃
  • 맑음부산 7.1℃
  • 맑음고창 -0.9℃
  • 맑음제주 7.8℃
  • 맑음강화 0.3℃
  • 맑음보은 0.1℃
  • 맑음금산 0.4℃
  • 맑음강진군 0.9℃
  • 맑음경주시 1.0℃
  • 맑음거제 2.9℃
기상청 제공


화학·에너지


GS칼텍스,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뉴에너지 부문 1위 선정

 

[FETV=한가람 기자] GS칼텍스가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이 주관하는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조사에서 뉴에너지(New Energy) 부문 1위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조사는 혁신능력, 주주가치, 직원가치, 고객가치, 사회가치, 이미지가치 등 존경받는 기업이 되기 위한 핵심가치들을 평가해 각 산업별 1위 기업을 발표하고 있다. 이 조사는 2004년부터 시작해 올해 22회째이며 25일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세계 주요 이슈인 에너지 전환과 탄소 감축 기조에 따라 뉴에너지 부문이 신설되었으며 GS칼텍스가 저탄소 신사업을 확대하면서 에너지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에 주도적으로 대응해 온 노력을 평가받아 뉴에너지 부문 1위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허세홍 GS칼텍스 사장은 “GS칼텍스는 지속가능하고 수익성 있는 성장을 바탕으로 100년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에너지 전환에 균형있게 대응하여 지속가능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기 위해 저탄소 신사업을 꾸준히 확대해 나가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GS칼텍스는 그동안 기존의 정유∙석유화학 사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기반으로 수소, CCUS, 폐플라스틱 리사이클링, 무탄소 스팀, 바이오 연료 등 저탄소 신사업을 확대해왔다.

 

GS칼텍스는 청정수소를 공급하기 위한 수소 사업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다. 2023년 한국남동발전과 여수산단에 청정수소 밸류체인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를 바탕으로 여수 수소 허브 구축을 통해 여수 지역의 탄소 배출 감축과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 기여할 예정이다. 이어 2024년에는 여수광양항만공사와 사업부지로 쓸 율촌 융∙복합 물류단지 구매 계약을 체결해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수소 생산 공정 중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 방안으로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 사업을 개발중이다. 2022년 주요 기업들과의 CCUS 사업 업무협약 체결부터 시작해 2024년에는 여수산단 내 주요 기업들과 협의체를 구성해 협의체와 지자체와 함께 ‘여수 CCUS 클러스터’ 설립을 위한 민관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플라스틱 순환경제 구축을 위해 폐플라스틱의 화학적 재활용(CR: Chemical Recycling), 물리적 재활용(MR: Mechanical Recycling) 사업도 확대 중이다. 2021년에는 CR 기술을 통해 생산된 열분해유를 정유∙석유화학 공정의 원료로 투입해 자원순환형 제품을 생산하는 실증사업에 성공했다. 2024년에는 열분해유 도입을 통한 다양한 자원순환형 제품의 생산∙판매를 시작했다.

 

GS칼텍스는 무탄소 에너지원을 도입해 탄소배출량을 감축하는 사업도 추진중이다. 남해화학이 보유한 유휴 황산공장을 활용하여 생산된 무탄소 스팀을 GS칼텍스 여수공장에 도입해 기존 사용 중인 LNG원료 스팀을 대체할 계획이다.

 

글로벌 연료 시장 환경에 맞춰 바이오항공유, 바이오선박유, 화이트바이오 등 바이오 사업 밸류체인도 구축하고 있다. 바이오항공유는 세계 최대 바이오연료 생산 기업인 핀란드 네스테(Neste)의 SAF를 공급받아, 2023년 9월 국내 최초로 SAF 급유 및 시범운항을 시작해 총 6회에 걸쳐 성공적인 시범운항을 마쳤다. 네스테의 Neat SAF(100% SAF)를 공급받아 일반 항공유와 혼합해 제조한 ICAO(국제민간항공기구) 인증 CORSIA(국제항공 탄소상쇄 및 감축제도) SAF를 2024년 9월 일본 이토추 상사를 통해 일본 나리타 공항에 수출했다. 코프로세싱(Co-Processing)으로 생산한 CORSIA SAF를 국내 항공사에 2024년 12월부터 공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