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양대규 기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은 19일 "지금까지 씨름을 잘해왔던 선수라도 당장 수영을 해서 경쟁하라고 하면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며 "수출 주도형 경제를 바꿔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출범 등으로 국제 질서의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이 같은 변화를 씨름에서 수영으로 경기 종목과 룰이 바뀌는 것에 비유하며 기존 수출주도형 모델로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는 글로벌 경제 연대, 수출 주도형 모델의 보완, 내수 확대 등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이날 KBS ‘일요진단’ 신년 대담방송에 출연해 "미국 주도의 관세 인상과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물가 인상) 압력, AI(인공지능)의 빠른 기술적 변화 등의 불안요소가 삼각파도로 다가오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 회장은 트럼프 1기 행정부 4년간 600억달러(약 88조원) 수준이었던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액이 바이든 정부 4년간 1500억달러(약 219조원)로 늘어난 것을 들며 통상 압력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그는 “너무 과도한 통상 압력을 받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것은 사실”이라며 “근본적으로 보면 수출을 통해 돈을 벌겠다는 모델을 바꿔야 하는 문제에 직면했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지금 (세계 경제) 룰을 결정하는 것은 1위 미국, 2위 중국, 3위 유럽연합(EU) 정도이고 우리는 그 룰을 테이크(수용)해야 하는 입장"이라며 "대한민국 혼자 국제 질서나 룰을 바꿀만한 힘은 부족하기 때문에 같이 연대할 수 있는 파트너들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세계경제 질서가 바뀐다는 것은 마치 씨름에서 수영으로 경기의 종목과 룰이 바뀌는 것과 같다”며 “지금까지 씨름을 잘해왔던 선수라도 (씨름방식으로) 수영 경쟁하면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단언했다. 그는 “피나는 노력으로 스스로 씨름 선수에서 수영 선수로 탈바꿈하거나 최소한 물 속에서 씨름을 하자고 (규칙을) 바꿀 수 있는 목소리를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최 회장은 "이웃에 있는 일본과 같은 나라도 우리보다 사이즈는 더 크고 목소리도 더 크지만 룰을 만들기보다 수용하는 데 익숙해져 있다"며 "그런 사람들과의 연대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해외 투자와 소프트웨어 등 기존 수출을 대체할 모델도 제언했다. 최 회장은 "우리는 경제 규모에 비해 해외에 전략적인 투자를 체계적으로 하고 있지 않다"며 "엔비디아가 크게 성장했을 때 엔비디아 안에 대한민국의 포션(투자 비중)이 얼마나 있을지 의문"이라고 투자 다각화를 강조했다.
또 "통상 압박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문화 상품들을 좀 더 체계적으로 만들어 판매할 필요가 있다"며 "만약 한식이 요리법, 먹는 방식, 요리하는 사람에 대한 훈련 등이 지금보다 더 체계적으로 움직여 돌아가면 우리가 그 안에서 얻을 부가가치는 훨씬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내수 확대를 위해 해외 인구 유입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저출생 노령화로 내수를 더 늘리기는 쉽지 않은 만큼 해외 시민을 유입해 단순 관광 정도가 아니라 장기 거주해 국내에서 일도 하고 세금도 내고 소비도 늘리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인구의 약 10%인 500여 만 명의 해외인력 유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최 화장은 한국이 처한 위기를 해결할 또 다른 방법으로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보상을 들었다. 그는 "많은 창의적인 사람이 사회 문제를 해결하도록 체계적인 방법론을 갖춰주면 사회적 비용(소셜 코스트)도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며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에게 보상(리워드)을 해주자는 아이디어를 냈다.
AI 패권전쟁에 대해선 AI를 활용해 제조 공정의 효율을 높이는 '제조 AI'와 '한국 차원의 거대언어모델(LLM)'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경제정책은 자원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배분할 것이냐가 핵심이고, 외부 변화에 대응하려면 자원을 새롭게 배분해야 한다"며 "대한민국 경제도 변화에 맞게 자원배분이 빠르게 진행돼야 하며 모든 것을 법으로 해결하는 것보다 모든 경제주체가 토의와 컨센서스로 속도감 있게 돌파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전시회 'CES 2025'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만난 것에 대해서는 "황 CEO가 제품의 속도를 상당히 강조하기 때문에 항상 만나면 그 다음 제품은 언제까지 만들지에 대한 논의를 한다"며 "그동안 빨리 개발하라고 했는데 이번에는 우리 개발 속도가 엔비디아(의 요구)보다 조금 빨랐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