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김주영 기자] 지난 6일 중견 건설사인 신동아건설의 기업 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으로 건설업계 부실 문제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한때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 졸업으로 정상화의 길을 걷던 신동아건설이 5년 만에 경영 위기에 빠지면서, 부채 증가와 미분양, 공사비 상승 등 업계 전반의 구조적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그로부터 이틀 뒤인 8일 발표된 건설경기실사지수(CBSI)가 전월 대비 상승하며 긍정적 신호를 보였지만, 체감 경기와 실제 업계 재무 상황 사이의 간극은 여전히 크다는 분석이다.
CBSI는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이 건설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하는 체감 지표다. 2024년 12월 CBSI는 71.6으로 전월 대비 4.7p(포인트) 상승했으며, 신규수주지수가 69.4로 5.6p 증가하며 종합 실적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특히 주택(75.1, +8.3p)과 비주택건축(65.2, +10.6p) 부문에서의 수주가 크게 늘어난 점이 긍정적인 신호로 평가됐다.
하지만 이번 지수 상승은 연말 특수로 인해 나타난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분석이다. 건산연의 이지혜 연구원은 “12월은 연말 특성상 신규수주가 늘어나는 시기다. 이번 CBSI 상승은 이러한 계절적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연구원은 “CBSI는 설문조사 기반의 지수로 주관적인 답변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올해 5월부터 산출 방식을 개편해 신규수주, 공사기성, 자금조달 등 세부 지수를 가중 평균으로 합성하는 방식으로 개선했지만, 여전히 지수가 업계 현실을 완벽히 반영하지는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12월 CBSI가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신동아건설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사실은 업계의 어려움이 여전하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신동아건설은 2019년 워크아웃에서 졸업하며 경영 정상화를 이뤄낸 듯했지만, 5년 만에 다시 위기에 봉착했다. 2023년 말 기준, 신동아건설의 부채비율은 410%로 급등했으며, 이는 건설업계 평균 위험 수준(100~150%)을 훌쩍 넘어선 수치다.
특히 신동아건설은 최근 몇 년간 공사비 상승, 미분양 증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등 삼중고에 시달리며 재무 상태가 급격히 악화했다. 지난해 세종 리첸시아 파밀리에의 입주 지연으로 발생한 손실과 인천 검단신도시 대규모 미분양 사태는 경영 위기를 가속화했다. 건산연은 이번 사례가 단순히 한 기업의 실패가 아니라 중소·중견 건설사들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어려움을 극명히 드러내는 사례라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CBSI는 전체 업계의 흐름을 보는 데 적합하지만, 세부 지표인 자금조달지수나 공사대수금지수 등을 함께 살펴야 업계의 실질적인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며 “12월 CBSI 상승이 대형사를 중심으로 한 효과였던 만큼, 중소·중견 건설사들의 현실은 여전히 어렵다”고 밝혔다.
실제로 국내 주요 건설사 중 다수는 심각한 재무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2023년 말 기준 태영건설(747%), 금호건설(640%), 코오롱글로벌(559%) 등 중견 건설사뿐 아니라 GS건설(238%), 롯데건설(217%) 같은 대형 건설사들도 부채비율이 위험 수준에 가까워졌다.
업계 전문가들은 현재 건설업계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대형사들은 수도권 위주의 안정적인 프로젝트로 버티고 있지만, 중소·중견 건설사들은 지방 프로젝트 중심이라 더 큰 타격을 받고 있다”며, “특히 업계 전반적으로 PF(Project Financing) 대출이 막히면서 유동성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중소·중견 건설사들은 대형사와 달리 자금 조달 여건이 열악하고, 공사비 상승과 미분양 문제로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다”며 “이런 위기는 기업 자체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으며, 정부가 구조적 개선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