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6 (목)

  • 흐림동두천 -14.9℃
  • 맑음강릉 -8.3℃
  • 맑음서울 -10.9℃
  • 맑음대전 -10.2℃
  • 맑음대구 -6.5℃
  • 맑음울산 -6.2℃
  • 흐림광주 -7.0℃
  • 맑음부산 -5.8℃
  • 흐림고창 -10.3℃
  • 제주 2.1℃
  • 맑음강화 -14.4℃
  • 흐림보은 -13.5℃
  • 맑음금산 -11.2℃
  • 맑음강진군 -6.8℃
  • 맑음경주시 -7.1℃
  • 맑음거제 -4.1℃
기상청 제공


통신


KT 나스미디어, 내년 디지털 미디어·마케팅 트렌드 키워드 발표

 

[FETV=신동현 기자] KT그룹의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 기업 나스미디어가 ’2025년 디지털 미디어와 마케팅 전망 보고서’를 발행했다고 28일 밝혔다.

 
보고서는 디지털 미디어 변화의 중심에 있는 AI 기술과 초개인화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엔 내수 부진이 완화되며 광고 시장이 완만하게 성장할 전망이다. 미디어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디지털 광고가 전체 시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용자의 동영상 소비 형태가 변화함에 따라 세로형 동영상과 CTV(커넥티드TV) 광고상품을 주목했다. CTV란 TV에 인터넷 접속 기능을 내장해 PC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TV이다. 

 

네이버·카카오와 같은 국내 플랫폼사는 세로 전면형 광고 지면을 신규 발굴해 새로운 수익 창출을 시도할 계획이며 유튜브와 OTT 플랫폼의 TV 이용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CTV 광고 영역이 성장하리라 예상했다.

 

생성형 AI의 발달로 인해 광고 운영 과정이 자동화되고 개인 맞춤형 광고가 고도화될 것이라 전망했다.

 

나스미디어가 선정한 2025 디지털 미디어&마케팅 트렌드 키워드는 ▲장소의 콘텐츠화 ▲산업 경계를 넘나드는 숏폼 ▲차세대 광고·미디어 플랫폼으로 진화한 OTT ▲엔터테인먼트화되는 커머스 ▲AI 검색과 AI 에이전트 시장 부상이다.

 

지도로 대표되는 위치 기반 서비스는 AI 기술을 접목해 다양한 이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안하며 ‘장소’를 콘텐츠화했다. 이에 따라 위치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이 전개되고 이용자 참여의 장으로 지도 서비스의 역할의 확대를 예상한다.

 

숏폼의 영향력 증대에 따라 커머스, 콘텐츠, 음원 등 다양한 산업영역에서 숏폼을 도입해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숏폼드라마의 성장이 국내에서도 두드러질 것이라고 봤다.

 

OTT가 차세대 광고·미디어 플랫폼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OTT 시장이 자리 잡으면서 기존 고객 이탈 방지와 이용자 당 평균 매출 확대가 새로운 비즈니스 목표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커머스의 엔터테인먼트 요소가 강화된다고 예측했다. 국내에서는 유튜브와 메타가 유튜브 전용 스토어나 협력 광고 등을 활용해 쇼핑 채널로서 영향력을 강화 중이며 네이버와 카카오는 커머스 성장세를 지속하기 위해 AI를 접목한 커머스 부문 고도화로 초개인화 쇼핑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AI 검색과 AI 에이전트 시장이 부상하고 있다. 생성형 AI의 실시간 검색 서비스는 검색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으며 광고· 커머스 등 신규 서비스로 영역 확장을 통해 수익화를 추진 중에 있다. 개인형 AI 에이전트 시장도 부상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강남구 나스미디어 미디어본부장은 “2025년은 디지털 마케팅과 미디어 산업 전반에 AI가 폭넓게 적용되며 디지털 광고 시장이 또 한 번 도약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나스미디어에서 보고서가 다가오는 2025년 디지털 광고 시장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